
1. 거창 상림리 석조보살입상상림리 석조보살입상은 거창군청에서 서쪽으로 1.4km 떨어진 곳에 있는 석불이다. 건계정과 거열산성을 보러가던 중에 잠시 인연을 지었는데, 그는 거창 지역에서 대표적인 늙은 석불(보살상)로 추앙을 받는 존재이다. 이 보살상은 화강암으로 다진 3.5m 높이의 존재로 연꽃(복련)이 새겨진 8각의 연화대좌에 서 있다. 이 부근에 건흥사란 절이 있었다고 전하고 있어 그 절에서 애지중지하던 보살상으로 여겨진다. 머리 위에는 상투 모양의 보계가 솟아 있으며, 보관은 없어진 상태이다. 양감이 줄어든 얼굴에는 작고 가는 눈, 다문 입이 표현되어 있으며, 어깨는 각이 져 있고, 신체는 장방형으로 보살상 특유의 유연성은 부족해 보인다. 가슴에 장식된 목걸이와 양 어깨에 걸쳐 입은 천의는 매우..

1. 울주 간월사지(간월사터)간월산과 신불산 그늘인 등억온천단지(상북면 등억알프스리) 내부에 간월사터라 불리는 늙은 절터 유적이 있다.간월사는 신라 진덕여왕(재위 647~654) 시절에 자장율사가 창건했다고 전하는데, 절터에서 수습된 유물은 신라 후기와 고려 것들이라 창건 시기는 조금 맞지 않다. '동국여지승람'의 언양현 불우조, 서석린(1710~1765)이 쓴 '간월사지'에 절의 이름과 내력이 나와있으며, 임진왜란 때 파괴된 것을 1634년에 중건했으나 19세기에 다시 사라지고 말았다.이후 석조여래좌상과 3층석탑을 속세에 내밀며 조용히 웅크리고 있다가 1984년에 1달 동안 발굴조사를 받았는데, 이때 금당터와 석탑 자리를 발견하였으며, 금당터에서는 금동불 2구와 기와, 토기, 자기류 등을 건졌다. 금당..

1. 안성 아양동 보살입상(왼쪽)과 석불입상(오른쪽) 안성은 미륵불의 고장이라 일컬어질 정도로 늙은 석불이 많이 전하고 있다. 그들 가운데 안성 시내인 아양동 주택가 속에 오랫동안 미륵불로 애지중지되던 석불 2기가 있는데, 왼쪽에 키가 큰 석불은 아양 동 보살입상, 오른쪽에 키가 작은 석불은 아양동 석불입상이란 이름으로 살아가고 있다. 아양동 보살입상은 화강암으로 조성된 것으로 고려 때 것으로 여겨진다. 믿거나 말거나 전설에 따르면 옛날에 어느 젊은 장수가 무예 수련을 위해 도기리 탑산에서 훌쩍 뛰어올라 알미산을 딛고 비봉산 장수 바위로 넘어가던 중에 실수로 여미륵(아양동 보살입상)의 목을 차서 부러뜨렸다고 한다. 그것 때문인지 그 장수는 전쟁에서 전사했고, 마을 분위기도 조금은 흉흉해져 마을 사람들이 ..

1. 영양 신구동3층석탑 (신구리3층석탑) 영양군 입암면의 중심지인 신구리 북쪽 신구2리 마을에 늙은 3층석탑이 있다. 그는 2중 기단과 3층 탑신, 머리장식을 지닌 신라 후기 석탑으로 탑신과 지붕돌은 각각 하나의 돌로 조성되었으며, 지붕 돌 층단 받침이 4단으로 되어 있다. 탑 머리에는 노반과 복발 등의 머리장식이 있으며, 3층 탑신은 어느 세월이 잡아갔는지 사라지고 없는 것을 1999년에 석탑을 해체 복원하면서 새로 채워넣었다. 1층 탑신 상부에는 직사각형 사리공이 있으나 사리장치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탑 뒷쪽에는 조그만 늙은 석불이 있어 호랑이가 담배 맛을 알기 훨씬 이전부터 이곳에 탑과 석불을 보듬던 절이 있던 것 으로 여겨진다. 허나 장대한 세월이 워낙 급하게 잡아가서 절에 관한 기록은 전하지 ..

1. 화천 성불사지 석불입상 햇살도 들어오기 힘든 용화산 북쪽 자락 깊은 산골에 고색의 향기가 진한 성불사지 석장승과 석 불입상이 꽁꽁 숨겨져 있다. 그들은 성불사 소속 암자터의 옛 유물로 그 암자터에는 성불암 간판 을 내건 작은 절집이 들어앉아 있는데, 여염집 스타일의 법당과 요사를 지니고 있다. 성불사지 석장승은 절 바로 남쪽 바위에 있어서 찾기는 쉬우나 문제는 석불입상이다. 절에서 그 를 알리는 이정표도 전혀 없어서 초행인 경우 도대체 어디에 붙어있는지 알 수가 없기 때문이다. 처음에는 석장승 주변을 수색했으나 그럴싸한 것도 없어서 요사 뒤쪽(북쪽) 숲을 뒤적거렸는데, 길 비슷한 것이 있긴 하나 워낙 찾는 이가 없어서 수풀에 완전 뒤엉켜있다. 그런 길을 한 10분 정 도 뒤적거리며 올라가니 뭔가 수..
' 여름맞이 산사 나들이 ~ 논산 쌍계사, 송불암 ' ▲ 쌍계사 대웅전 ▲ 쌍계사의 자랑, 대웅전 꽃창살 ▲ 송불암 미륵불 여름이 봄을 몰아내고 제국의 기틀을 다지던 6월의 첫 무렵, 오랜만에 충남 논산(論山)을 찾았다. 논산으로 멀리 발걸음을 한 것은 그곳 쌍계사의 꽃창살이 그렇게나 아름답고 유명하다 하 여 직접 내 눈으로 확인하고자 함이다. 그래야 나중에 저승에 가서도 꾸중을 듣지 않겠지? 다행히 쌍계사입구까지는 시내버스가 1일 10여 회 오가고 있어 접근편도 벽지치고 양호하 다. 아침 일찍 집을 나서 영등포역에서 호남선 무궁화호 열차에 나를 담아 논산역으로 보냈다. 논산까지는 3시간 정도가 걸렸는데, 버스 시간에 아직 여유가 있어 논산역 동쪽에 자리한 논산시내버스 종점(덕성여객)으로 이동해 차를 기..
' 폐허의 옛 절터를 거닐다, 보령 성주사지 ' ▲ 눈에 뒤덮힌 폐허의 성주사지 겨울 제국의 한복판을 헤매던 1월의 어느 평화로운 날, 충남 예산과 보령 지역을 찾았다. 우선 예산에 먼저 들려 예산읍내 근처에 있는 향천사(香泉寺. ☞ 관련글 살펴보기)를 둘 러보고 예산역으로 나온 다음, 장항선 무궁화호 열차를 타고 보령시(保寧市)의 관문, 대 천역에서 두 발을 내렸다. 장항선 대천역과 보령시외터미널이 보령시내 도심인 옛 대천역에서 현 자리로 이전을 했 지만 보령시내버스 대부분은 여전히 옛 보령역을 기/종점으로 고집하고 있다. 그래서 그 곳까지 20분 정도 가볍게 걸어가 오천(鰲川)으로 가는 시내버스를 타고자 했다. 허나 버스 시간도 맞지 않고 일몰까지 코앞에 다가와 그야말로 마음이 급해졌다. 겨울의 한복..
' 가을의 길목에서 만난 쌍미륵불 ~ 파주 용미리 석불입상(龍尾里 石佛立像)' ▲ 용미리 마애2불입상 (용미리 석불입상) (* 용미리 석불의 문화재청 지정 명칭은 '용미리 마애2불입상'이나 오랫동안 용미리 석불입상, 용미리 석불이라 불렸으므로 본글에서는 이들 명칭을 같이 썼음) 늦가을이 한참 여물어가던 10월 한복판에 쌍미륵불로 유명한 용미리석불(마애2불입상)을 찾 았다. 파주시 문산, 파주, 광탄 지역에서 서울을 이어주는 서울시내버스 703번(문산 선유리↔서울 역)을 타고 고양시 동부와 해음령, 용미리 남부 지역을 지나 용미1리로 넘어가는 고개를 넘 으면 고개 중턱 숲 사이로 고개를 내밀며 따뜻한 눈길을 보내는 무엇인가가 눈에 들어올 것 이다. 바로 용미리석불이다. 석불 밑에는 그를 후광으로 절을 꾸리..
' 팔공산(八公山) 갓바위 ' ▲ 갓바위(관봉 석조여래좌상)의 위엄 겨울의 제국(帝國)이 가을을 몰아내며 천하를 거의 접수하던 11월 끝 주말에 소원을 들어주기 로 명성이 자자한 팔공산 갓바위를 찾았다. 아침 일찍 서울강남고속터미널에서 대구행 일반고속버스를 타고 약 3시간 30분을 달려 서대구 고속터미널에 도착했다. 여기서 경산시내버스 708번을 타고 대구(大邱) 시내를 동서로 가르며 1시간 정도를 달려 경산시 하양읍(河陽邑)에 도착, 다시 갓바위로 올라가는 경산시내버스 803 번(경산역,중산동↔갓바위)을 타고 약 40분을 달려 비로소 갓바위 종점에 이르렀다. 갓바위 종점은 해발 600m 고지로 선본사 바로 밑이다. 시내버스는 여기까지 들어올 수 있지만 일반 수레들은 약 1km 밑에 닦여진 주차장에서 바..
* 과천 관악산 보광사 정부과천청사 남쪽에 자리한 보광사는 1946년에 지어진 현대 사찰이다. 경내에는 지방문화재로 지정된 3층석탑과 석불입상, 목조여래좌상이 있는데, 이들은 모두 다른 곳에서 가져온 것으로 순수 보광사 유물은 아니다. 관악산 연주암과 함께 과천의 대표적인 사찰이다. * 보광사 명부전 * 명부전 지장보살상 * 명부전 10왕(시왕상) * 보광사 문원리 석조보살입상 인근 문원동 절터에서 가져온 석불로 고려 후기 또는 조선 초기에 조성된 것으로 여겨진다. * 관악산을 앞뜰로 삼은 보광사 경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