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신빈김씨묘역 홍살문화성시청 남쪽 산자락에는 세종의 후궁인 신빈김씨의 묘역이 있다. 남양 읍내와 화성시청에서 팔탄으로 넘어가는 시청로 동쪽 언덕에 자리해 있어 찾기는 무지 쉬운데, 묘역 앞에 붉은 피부의 홍살문이 있어 신빈김씨의 묘역을 알려준다. 신빈김씨는 청풍김씨 집안인 첨지중추원사 김원의 딸이다. 일찌감치 궁녀의 길을 걸어서 처음에 내자시에서 일했으며, 13살에 궁궐에 들어갔다. 그러다가 세종의 눈에 흔쾌히 들어 후궁이 되었으며, 1427년 계양군을 생산했다. 이후 세종과의 사이에서 무려 6남 2녀를 두면서 세종의 후궁 중 가장 많은 자녀를 생산했다. 하지만 후궁 소생의 한계와 소헌왕후(세종의 왕후) 심씨 소생의 왕자들이 많아서 그의 아들과 딸은 그 시절 흔한 조선 왕족의 일원으로 평범하게 살았다..

1. 남양성모성지대성당(남양성모마리아대성당)남양성모성지 남쪽 언덕에 장대하게 자리한 대성당은 2017년에 짓기 시작해 2023년에 완성을 본 이곳의 야심작이자 상징 같은 건물이다. 마리아보타가 설계한 것을 바탕으로 조성된 것으로 건물 상당수가 주황색 피부를 지니고 있는데, 미사와 예배, 여러 행사들이 여기서 열린다. 2. 동쪽에서 바라본 남양성모성지대성당의 위엄 3. 산듯한 모습의 남양성모성지대성당 앞 산책로 (북쪽 방향) 4. 바로 앞에서 바라본 남양성모성지대성당 5. 남양성모성지 동쪽 숲에서 바라본 대성당과 자연에 묻힌 남양성모성지 6. 남양성모성지 동쪽 숲길남양성모성지는 숲이 매우 삼삼하고 숲길이 매우 고와서 남양읍 지역의 소중한 공원 역할을 한다. 게다가 누구에게나 활짝 열려있어 천주교 신..

1. 2006년에 세워진 자비로운 예수상왼손으로 주름진 무언가를 잡고 오른손으로 무슨 표시를 보이고 있는데, 무슨 뜻인지는 모르겠다. 2. 자비로운 예수상 주변 3. 자비로운 예수상 주변 숲길남양성모성지는 숲이 무성하고 숲길 또한 달달하여 굳이 천주교 신자가 아니더라도 한번쯤은 거닐만한 곳이다. 이곳은 숲길이 거의 절반은 먹고 들어간다. 4. 성모마리아상 주변 5. 하얀 피부의 성모마리아상 6. 강제 낙태된 태아들의 묘탑과 그들을 기리는 공간 7. 저 멀리 바라보이는 남양성모성지 대성당 8. 성모마리아상과 그의 밑도리를 껴앉은 애기상 9. 십자가에 못박혀 처형된 예수상 예수가 못박힌 십자가가 반듯하게 서있지 않고 넘어져 있다. 무슨 의미가 있는 것 같은데 모르겠음. 10. 남양성모성지대성당(남..

1. 화성 남양성모성지로 들어서다화성시청이 있는 남양읍내 서쪽 부분에 남양성모성지가 넓게 둥지를 틀고 있다. 남양읍은 화성시 서부 지역의 중심지로 조선 후기까지 수원 고을을 능가하는 남양부(남양도호부)의 중심지로 바쁘게 살았는데, 세상이 여러 번 엎어지면서 이제는 화성시 그늘에서 살아가고 있다. 그래도 화성시청을 지니고 있는 읍치고는 규모가 큰 읍으로 화성시 승격 초기에는 '동'을 썼지만(화성시 남양동) 지역 주민들의 민원으로 '화성시 남양읍 ~~리'로 바뀌었다. 남양은 19세기 천주교 신자들을 처형하던 곳으로 특히 1866년 병인박해 때 많이 처단되었다. 보통 그때 잡힌 신자 중 양반들은 서울이나 공주로 넘겨 거기서 처리했지만 평민층은 주로 남양으로 보내 남양부사의 재량에 맡겼다. 남양부사는 모진 매질..

1. 화성 남양 풍화당화성시 서부 지역의 중심지인 남양읍내에 풍화당이란 늙은 기와집이 있다. 남양읍은 지금은 비록 화성시 그늘에 있지만 원래는 남양부란 독자적인 고을로 수원 못지 않게 잘나갔던 곳이다. 풍화당은 1854년 지역에서 뜻을 같이 하는 선비들과 관직에서 물러난 양반들이 지역의 학문 발전과 예의, 미풍 양속을 진흥한다는 이유로 장만했다. 조정에서 은퇴한 양반들을 예우하고자 전국에 세운 기로회의 역할도 겸했는데, 남양부사 홍길모가 이곳 기로회가 사회의 본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미풍미화'의 의미를 담아서 집 이름을 풍화당이라 했다. 풍화당 초기에는 남양부의 공창 건물을 손질해서 사용했는데, 현재 풍화당으로 살아가는 건물은 1867년 남양부 관아의 내아로 세운 것으로 1929년 남양기로회가 그 ..
' 가을 산사 나들이 ~ 화성 봉림사 (당성) ' ▲ 비봉산 봉림사 가을이 한참 숙성되어가던 10월의 한복판에 화성시 서부에 자리한 봉림사를 찾았다. 수원 역에서 친한 후배를 만나 갈증에 지친 목구멍을 달랠 겸 커피 음료를 섭취하며 갈만한 곳 을 물색하다가 아직 미답처(未踏處)로 남아있는 남양(南陽) 봉림사를 그날의 메뉴로 정했 다. 수원역(수원역 환승센터)에서 봉림사까지는 수원 400-4번(광교웰빙타운↔마도면 바이오단 지입구)을 타면 되는데 그 버스를 잡아타고 40분 정도를 달려 봉림사입구에 두 발을 내린 다. 예전에는 남양/사강/서신 방면 아무 시내버스나 타고 북양1통에서 40여 분 발품을 팔 아야 했으나 근래에 봉림사입구까지 가는 버스편이 생겨 접근성은 좀 좋아졌다. (단 배차 간격이 좀 긴 것이 ..
' 화성 제암리(堤岩里) 삼일절 나들이 ' ▲ 제암리 3.1운동 순국기념관 새해가 밝은지 정말 엊그제 같은데 벌써부터 삼일절(三一節)의 아침이 창 밖을 두드린다. 천 하의 주요 국경일인 3.1절을 맞이하여 무엇을 할까 궁리를 하다가 그날에 맞는 3.1절 유적지 를 찾기로 했다. 3.1절에 3.1절 명소를 찾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것이지만 지금까지 그것을 실행한 적은 없다. 석가탄신일에는 불교 신자도 아니면서 시간이 모자를 정도로 하루 종일 오래된 고찰(古刹)들 을 찾아 댕기면서 왜 3.1절에는 그에 어울리는 곳을 가지 않았을까?? 그래서 내 자신에게 질 문을 던지니 그날은 썩 유쾌한 날이 아니라는 답이 마음에서 강하게 메아리를 쳤다. 그렇다. 3.1절은 6.25처럼 그리 기분 좋은 날은 아니다. 이 땅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