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한강과 맞닿은 강동구의 북쪽 지붕, 고덕산 나들이 (양지마을, 광주이씨광릉부원군파묘역, 양천허씨묘역, 서울둘레길)
도봉산고양이 2020. 10. 19. 23:43
' 강동구의 북쪽 지붕, 고덕산 나들이 '
▲ 광주이씨 광릉부원군파 묘역
봄이 아쉬움 속에 저물고 여름 제국이 서서히 이빨을 드러내던 5월의 끝 무렵, 강동구(江 |
|
♠ 암사3동에서 고덕산까지 |
양지마을을 벗어나 시내와 시골의 경계를 이루는 암사동 북쪽 도로(아리수로)를 따라 동쪽으 |
|
잘익은 보리가 여름 바람에 살랑살랑 몸을 움직인다. 보리밭 남쪽에는 원두막까지 두어 전원 |
|
암사정수센터교차로 동북쪽에 고덕산으로 인도하는 산길이 있다. 나를 이곳으로 부른 고덕산( |
|
아리수로와 맞닿은 암사정수사업소 동남쪽 숲을 강동아름숲이라 부른다. 이곳은 주민들이 가 |
|
2000년 이후 도보길이 크게 유행을 타면서 천하 곳곳에 둘레길 같은 도보길이 닦여지고 있다. |
|
♠ 조선 초기에 활동했던 이극배(李克培)와 그의 후손들이 묻힌 | |
고덕산 서쪽 숲길을 거닐다보면 나무 사이로 무덤들이 복병처럼 모습을 비출 것이다. 암사정 | |
| |
|
이극배 묘역 서쪽에 자리한 신도비는 1496년에 |
| |
이극배 묘역은 1495년에 조성되었다. 부인인 경주 최씨와 쌍분(雙墳)을 이루고 있으며, 무덤 | |
| |
묘역을 장엄하게 꾸미는 문인석과 무인석들은 다른 사대부의 석인보다 큰 편으로 이극배의 오 | |
| |
광릉부원군파 묘역 동쪽을 이루고 있는 이극배 후손들의 무덤은 9기 정도 된다. 가장 앞에 선 | |
| |
▲ 이수겸 묘역 망주석(望柱石)과 문인석 |
▲ 이세충 묘의 문인석 |
이수겸과 이세충 형제의 무덤 문인석은 이극배 묘역의 장대한 문인석과 달리 덩치가 매우 작 | |
| |
이시무(?~1593)는 이극배의 현손으로 이건(李乾)의 아들이다. 자는 군우(君遇)로 1576년 별시 | |
|
♠ 고덕산 마무리 | |
광릉부원군파묘역에서 산길을 마저 오르면 'T'자형으로 갈리는 3거리가 나온다. 여기서 왼쪽 | |
| |
고덕산에서 그나마 하늘과 가까운 곳이긴 하지만 나무의 방해로 겨우 북쪽만 속시원히 바라보 | |
| |
고덕산은 광주이씨와 양천허씨 등의 문중 묘역과 사유지가 많다. 게다가 군사구역도 섞여 있 | |
| |
고덕산 서쪽 봉우리에서 능선길을 따라 동쪽으로 15분 정도 가면 높이가 좀 낮아지면서 4거리 | |
| |
고덕산 북쪽 자락에 숨겨진 양천허씨 묘역은 상우당 허종(尙友堂 許琮, 1434~1494)의 손자인 | |
| |
허순의 아들인 허운의 묘가 묘역 제일 말단에 자리해 있다. 허운은 결성현감(結城縣監, 충남 | |
▲ 표정이 밝아보이는 좌측 문인석 |
▲ 우측 문인석 |
| |
허순(許淳, 1485~1546)은 허종의 손자이자 허광(許曠, 1468~1534)의 아들이다. 그의 무덤 뒷 | |
▲ 약간 인상을 지은 듯한 우측 문인석 |
▲ 우측 문인석과 많이 닮아 보이는 |
| |
허흔(1543~1622)의 묘는 허순 묘역에서 제일 윗쪽에 자리해 있다. 그는 허순의 손자이자 허운 | |
▲ 허흔묘 상석 좌우에 자리한 조그만 동자석(童子石) | |
묘역에서 가장 하늘과 가까운 곳에는 허종과 허광(許曠)의 숭모비가 자손들의 무덤을 바라보 | |
| |
양천허씨묘역을 둘러보고 고덕산 등산로와 만나는 고개를 지나면 전원 분위기가 물씬 풍기는 |
* 까페(동호회)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1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
집니다. <단 블로그와 원본은 1달까지임>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해주세요.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등으로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에 따라 글이 조금 이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 공개일 - 2020년 10월 4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Copyright (C) 2020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서울 사진 답사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 성종과 정현왕후 윤씨의 능인 선릉 (선정릉 재실, 500년 묵은 은행나무, 선릉 정자각) (0) | 2020.12.08 |
---|---|
옛 한성백제의 흔적이 깃든 도심 속에 상큼한 너른 공간, 올림픽공원 늦가을 나들이 (몽촌토성, 성내천) (0) | 2020.12.05 |
불암산 서쪽 끝을 잡고 있는 하계동 충숙공 이상길 묘역 (벽진이씨충숙공묘역, 이상길 신도비, 충숙근린공원) (0) | 2020.10.17 |
이 땅 최초의 신학교 건물은 용산신학교와 그 부속으로 지어진 원효로 예수성심성당 (독서당터) (0) | 2020.10.06 |
100년 이상 묵은 오래된 성당, 원효로 예수성심성당 (0) | 2020.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