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다시 찾은 수명산 (덕원중교 동쪽 숲길)
수명산(해발 70.4m 또는 72m)은 개화산과 봉제산, 우장산, 증미산, 궁산, 치현산(꿩고개산)과 더불어
강서구의 주요 지붕으로 내발산동과 외발산동, 양천구 신월5동에 작게 걸쳐있다. 호랑이가 담배 맛을
알기 이전부터 광명리 등 주변 마을 사람들이 산에서 동제를 지내며 수명장수(무병장수)를 빌었다고
해서 수명산이란 이름을 지니게 되었는데, 조선 때는 파려산, 발산이란 별칭도 지니고 있었다.
발산 같은 경우는 위에서 산을 내려다 보면 산 모양이 마치 밥 주발을 엎어놓은 모양이라 해서 비롯된
이름이라고 전하며, 그 발산에서 발산동(내발산동, 외발산동)이란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 세조가 수양대군 시절에 파려산(수명산) 아래 광명리 사람들의 효성 이야기를 듣고는 크게 감동
을 먹고 마을에 경문을 세워주었는데, 그때 산이 기뻐서 울었다는 일화가 있다.
수명산의 면적은 약 235,800평방미터로 산의 절반 가까이를 우정학원 소속의 학교들(덕원중교, 덕원
여고, 덕원예술고)과 군부대가 차지하고 있으며, 덕원중교와 덕원여고 정문(강서구 마을버스 05번을
타고 발산초교나 덕원여고, 덕원예술고 정류장에서 하차), 수명산근린공원 북쪽 부분, 수명산다목적
체육관, 신월5동 수명산롯데캐슬아파트에서 접근하면 된다.
이 땅에 흔한 도시 뒷동산으로 산 북쪽과 서쪽에 수명산근린공원이 닦여져 있으며, 작은 덩치에 비해
숲이 무성하여 숲내음이 진하다. 또한 숲길도 담백하여 가볍게 산책이나 운동으로 거닐기에 아주 좋
다.
이번 수명산 나들이는 덕원중교, 덕원여고 정문에서 시작하여 수명산근린공원과 수명산 정상을 찍고
수명산다목적체육관으로 내려왔다. (소요시간은 40분 내외)
2. 덕원중교 철책을 따라가는 덕원중교 동쪽 숲길 (남쪽 방향)
3. 수명산근린공원에서 만난 망주석
수명산근린공원은 수명산 북쪽 자락(덕원중교 북쪽)과 서쪽 자락, 정상부 주변에 씌워진 공원으로 근
린공원 북쪽 부분에 무덤에 쓰였던 망주석 1기가 우두커니 자리해 은근히 호기심을 자극시킨다.
모양새를 봐서는 20세기 것으로 여겨지는데, 그가 이렇게 있다는 것은 이 주변에 무덤이 있었다는 소
리이다. 그 무덤은 산사태로 사라지거나 이장된 것으로 여겨지나 자세한 것은 모르겠으며, 지금은 공
원의 장식물로 조용히 살아간다.
4. 수명산 서쪽 자락 숲길 (수명고등학교 방향)
5. 수명산 정상으로 이어지는 서쪽 산길 (덕원예술고 서쪽 길)
6. 나무가 무성한 수명산 서쪽 산길 (수명산 정상 북쪽 구간)
7. 수명산 정상 직전
수명산 정상(해발 70.4m 또는 72m)에는 체육시설과 쉼터가 닦여져 있어 사람들로 늘 부산하다. 하여
대놓고 정상부 사진을 담지 못했다.
8. 수명산근린공원 안내도
'서울 사진 답사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장산 새마을지도자탑과 검덕산, 우장산약수터, 우장산둘레길 (0) | 2023.08.13 |
---|---|
양천현감이 기우제를 지냈던 강서구 지역의 달달한 뒷동산, 우장산 (우장산둘레길, 원당산, 검덕산) (0) | 2023.08.10 |
강서구의 작은 뒷동산, 내발산동 수명산 (수명산근린공원, 수명산 정상) (0) | 2023.08.07 |
백련산 백련사 석조관세음보살상, 명부전, 약사전, 독성각, 극락전, 융경삼년명동종 (0) | 2023.07.27 |
홍은동 백련산 백련사 (일주문, 무량수전, 원통전, 약사전, 백련사 융경삼년명동종) (0) | 2023.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