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우장산(검덕산) 새마을지도자탑 조성 기념비
우장산의 북쪽 봉우리인 검덕산 정상(87.3m)에 새마을지도자탑과 그것을 세운 것을 기리고자 1987년
5월에 세운 조성기념비가 자리해 명소가 딱히 없는 우장산의 조촐한 볼거리가 되어준다.
2. 새마을지도자탑
검덕산 정상에 우뚝 솟은 새마을지도자탑은 1986년 8월 새마을운동중앙본부에서 새마을 운동의 영속
적인 발전과 새마을지도자의 봉사정신을 표창하고자 세웠다. 이곳에 탑을 세운 것은 그 시절 새마을운
동중앙본부가 이곳 밑에 있어서(지금은 다른 곳에 있음) 그런 것으로 알고 있는데, 전국 23만 새마을지
도자들에게 성금을 받아 무려 8개월 만에 완성을 보았다. 그때 새마을운동중앙회장은 마르지 않는 29
만원으로 악명이 높은 전두환 전 대통령의 아우인 전경환(1942~2021)이었다.
검덕산 정상 400평 부지에 직경 40m의 원형 바닥을 닦고 그 위에 높이 15m, 13단으로 이루어진 화강
암 재질의 지도자탑을 세웠는데, 탑신은 전국 9도와 1개 특별시(서울), 3개 직할시(부산, 대구, 인천)
를 뜻한다고 한다.
8각형 바닥에 깔린 231개의 돌은 전국 231개 시,군,구에서 가져온 것으로 각 지역에서 국가와 지역 발
전을 위해 헌신하는 새마을지도자들의 화합과 단결을 뜻한다. 그리고 탑신 중 2개가 수직으로 결합된
형태는 도시 새마을운동과 농촌 새마을운동의 협동정신을 상징한다고 하며, 사각형의 탑신은 근면, 자
조, 협동, 자립의 새마을정신을 의미한다고 한다.
3. 새마을지도자탑의 뒷모습
우장산에 이런 탑이 있는 것은 생각도 못했다. 솔직히 우장산만 알았지 검덕산의 존재도 여기서 처음
알았다. 탑의 건립 의도와 의미는 좋지만 그 당시 새마을지도자중앙회장인 전경환의 주도로 지어진
것이라 탑을 조성하면서 적지 않은 돈을 꿀꺽했을 것이다. 그는 그의 형 못지 않게 많은 비리와 착복
을 저질렀으며, 인생 말년에는 막대한 빚을 지면서 주변 사람들을 꽤 피곤하게 만들었다.
4. 새마을지도자탑 아랫도리에 있는 지도자탑 건립문
5. 무성한 숲을 지나는 검덕산 북쪽 자락 숲길
6. 시원스럽게 빠진 우장산둘레길 검덕산 구간 (검덕산 서쪽 자락)
7. 우장산약수터
우장산근린공원 공영주차장 옆에 자리한 약수터로 아직 수질은 양호하다. 우장산에는 이것 외에도 많
은 샘터들이 있어 동네 사람들의 식수 역할을 했지만 개발의 칼질로 인한 식수 오염과 수원 고갈 등으
로 이제는 이곳이 유일하다.
하여 샘터를 보존하고자 특별히 보호각까지 씌웠지만 샘터의 미래는 솔직히 장담하기 어렵다.
8. 우장산약수터를 머금은 6각형 모습의 보호각
9. 우장산둘레길에서 만난 돌조각품 (조각품 이름은 '우리 함께')
10. 우장산과 검덕산에 씌워진 우장산근린공원 안내도 (우장산공원)
11. 우장산둘레길 우장산 서쪽 자락 구간
12. 우장산둘레길 우장산 남쪽 구간에서 바라본 강서구 우장산동, 화곡동 지역
우장산이 아무리 높다 한들 주변에 시가지가 빽빽하여 조망은 별로이다. 하지만 동네 뒷동산에 완전
최적화되어 많은 지역 사람들이 이곳에 의지한다.
'서울 사진 답사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염창동 한강변에 자리한 작은 언덕, 염창산(증미산) <염창산 산책길, 염창산에서 바라본 한강> (0) | 2023.08.15 |
---|---|
다시 찾은 강서구 우장산 1바퀴 (검덕산, 새마을지도자탑, 우장산둘레길, 우장산 쪽동백나무 군락지) (0) | 2023.08.14 |
양천현감이 기우제를 지냈던 강서구 지역의 달달한 뒷동산, 우장산 (우장산둘레길, 원당산, 검덕산) (0) | 2023.08.10 |
다시 찾아간 내발산동 수명산 (수명산근린공원, 무덤을 잃어버린 망주석) (0) | 2023.08.08 |
강서구의 작은 뒷동산, 내발산동 수명산 (수명산근린공원, 수명산 정상) (0) | 2023.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