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봉제산 남쪽 능선길 (봉제산둘레길2코스) 봉제산 정상에서 매봉산으로 인도하는 능선길로 경사가 거의 완만하여 걷는 길이 부드럽다. 2. 늦가을에 퐁당 잠긴 봉제산 남쪽 능선길 3. 알록달록 단풍 그늘을 지나는 봉제산 남쪽 능선길 4. 매봉산 정상으로 인도하는 계단길 5. 태극기가 펄럭이는 매봉산 정상부 매봉산은 해발 99.1m의 뫼로 봉제산의 남쪽(동남쪽) 봉우리를 이루고 있다. 봉제산의 별칭 중 하나가 매봉산이었으나 세상이 여러 번 엎어지면서 봉제산의 부속 뫼로 성격이 바뀌었는데, 정상부에는 천하 제일의 국기로 찬양을 받는 태극기와 간단히 몸을 푸는 운동시설, 의자 등이 있다. 산 정상이긴 하지만 수목이 하늘을 가릴 정도로 너무 삼삼하여 조망은 꽝이다. 6. 매봉산 서쪽 계단길 (봉제산약수터 방향)..

1. 봉제산 북쪽 능선 봉제산은 해발 117.3m의 뫼로 강서구의 2번째 지붕이다. 등촌동과 화곡동 사이에 넓게 누워있는데, 위에서 내려다보면 마치 봉황새(또는 학)가 알을 품고 앉아있는 모습처럼 보여서 봉제산이란 이름을 지니게 되었다. 봉제산 정상에는 봉화대터가 있는데, 백제(또는 삼국시대) 때부터 있던 봉화대라고 전한다. 또한 산 일대는 백제 시절 군사 주둔지였다고 전하나 확실한 것은 없다. 봉제산은 능동산, 매봉산, 수당산, 화곡산 등의 별칭도 있는데, 1760년대에 제작된 해동지도에 능동 산이라 나오며, 매봉산은 주봉우리 이름에서 비롯되었다고 전한다. (매봉산은 봉제산의 동남쪽 끝봉 우리 이름으로 남아있음) 수당산은 서낭당이 있어서 유래되었으며, 1967년 이후에는 지역 이름을 따 서 화곡산이라 ..

1. 봉제산에 오르다 (등촌동 등촌로51길 기점) 봉제산은 해발 117.3m의 뫼로 등촌동과 화곡동 사이에 넓게 누워있다. 강서구의 2번째 지붕이자 남쪽 지붕으로 산세가 강서구에서 가장 넓어 그의 품에 들어서면 마치 깊은 산골에 들어선 즐거운 기분을 주는데, 봉제산이란 이름은 위에서 산을 내려다보면 봉황새(또는 학)가 알을 품고 앉아있는 모습처럼 보여서 유래되었다. 그런데 옛날에는 하늘을 나는 기계도 딱히 없었고, 봉제산 주변으로 그를 능가하는 뫼도 없거늘 어 떻게 위에서 내려다보았는지 궁금하다. 봉제산 정상에는 봉화대터가 있는데, 이곳 봉화대는 백제(또는 삼국시대) 때부터 있던 것이라 전한 다. 또한 산 일대는 백제 시절 군사들 주둔지였다고 하는데 확실한 것은 없다. 백제가 오랫동안 서울 지역을 장악했..

1. 염창산(증미산)에서 만난 작은 무덤 염창산 정상부 서쪽에 자리한 작은 무덤으로 남쪽을 바라보고 있다. 무덤 뒷쪽(북쪽)으로 한강이 있 고, 앞쪽으로 비록 수목에 가려지긴 했으나 강서구 지역이 펼쳐져 있어 자리 하나는 정말 좋아 보인 다. 무덤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모르겠으나 20세기 이후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며, 봉분 외에는 별 다 른 시설은 없지만 봉분 수풀이 그리 수북하지는 않아서 후손들이(또는 강서구청에서 염창공원 관리 차원에서) 계속 벌초를 하는듯 싶다. 2. 염창산 정상부 주변에 박혀있는 삼각점 3. 염창산 북쪽 자락 숲길 염창산은 해발 55.2m의 한강변 언덕이다. 예전 이름은 증산, 증미산으로 지금은 염창산과 증미산 두 이름이 같이 쓰인다. 조선 때 세곡선과 상선 등이 한강을 타고 양화..

1. 우장산에 들어서다 (우장산둘레길 우장산 서쪽 구간) 강서구 한복판에 자리한 우장산은 해발 96.1m의 뫼로 내발산동과 화곡동에 걸쳐 있다. 개화산과 봉 제산, 증미산(염창산), 궁산, 수명산, 꿩고개산(치현산)과 더불어 강서구의 주요 지붕으로 옛날에 가 뭄이 심하게 들었을 때 양천고을(서울 강서구, 양천구, 영등포구, 구로구, 김포 고촌읍, 부천시 일부 지역) 현감이 여기서 기우제를 지냈다. (기우제를 지내던 제단은 사라졌음) 기우제는 3번에 걸쳐 진행되었는데, 3번째 기우제를 올리는 날에 보통 비가 오기 때문에 미리 비옷을 준비해서 올라갔다고 하며, 그로 인해 우장산이란 이름을 지니게 되었다고 전한다. 우장산은 2개의 봉우리를 지니고 있는데, 남쪽 봉우리는 원당산(또는 우장산), 새마을지도자탑이 ..

1. 다시 찾은 수명산 (덕원중교 동쪽 숲길) 수명산(해발 70.4m 또는 72m)은 개화산과 봉제산, 우장산, 증미산, 궁산, 치현산(꿩고개산)과 더불어 강서구의 주요 지붕으로 내발산동과 외발산동, 양천구 신월5동에 작게 걸쳐있다. 호랑이가 담배 맛을 알기 이전부터 광명리 등 주변 마을 사람들이 산에서 동제를 지내며 수명장수(무병장수)를 빌었다고 해서 수명산이란 이름을 지니게 되었는데, 조선 때는 파려산, 발산이란 별칭도 지니고 있었다. 발산 같은 경우는 위에서 산을 내려다 보면 산 모양이 마치 밥 주발을 엎어놓은 모양이라 해서 비롯된 이름이라고 전하며, 그 발산에서 발산동(내발산동, 외발산동)이란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 세조가 수양대군 시절에 파려산(수명산) 아래 광명리 사람들의 효성 이야기를 듣고..
' 의성 허준(許浚)과 동의보감의 탄생지, 서울 가양동(加陽洞) 산책 '▲ 상상으로 재현된 양평군 허준 상 (허준박물관 소재)겨울 제국의 위엄이 저물고 황사(黃沙)와 봄의 해방군이 천하를 두고 다투던 3월 중순 주말, 후배와 가양동 나들이를 나섰다.가양동은 한강 기슭에 자리한 동네로 1990년까지만 해도 김포평야의 동쪽 끝을 이루던 농촌이었다. 허나 개발의 물결이 거치게 밀려오면서 인근 등촌동(登村洞)과 함께 아파트단지가 조성되어 조그만 신도시를 이루게 되었다. 지금은 강서구(江西區)의 일원이자 서울을 이루는 무수한 동의하나로 무심히 지나치거나 자세한 사연도 모르고 사는 사람들이 많지만 이곳은 옛날 양천(陽川)고을의 중심지이자 양천허씨의 영원한 고향으로 많은 명소를 품고 있다.양천은 지금의 가양동을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