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남한산성 제3남옹성~동문 구간제3남옹성을 지난 남한산성 성곽은 동문까지 내리막길이 펼쳐진다. 일부 구간은 각박한 경사를 보여 은근히 숨을 헐떡이게 하고 도가니까지 아프게 하는데, 다행히 그 구간은 그리 길지 않다. 2. 제3남옹성으로 이어지는 암문 3. 군포터군포는 성을 지키는 초소이다. 남한산성에는 무려 125개의 군포가 설치되어 산성을 꼼꼼하게 지켰는데, 지금은 아쉽게도 모두 터만 남아있는 실정이다. 산성에 설치된 군포는 정면 3칸, 측면 1칸의 기와집으로 집 3면은 토석벽으로 두르고 앞쪽만 활짝 개방시킨 형태이다. 4. 각박한 경사 밑으로 보이는 남한산성 동문 5. 동문(좌익문) 남쪽에 있는 동암문(제11암문)동암문은 남한산성에 설치된 16개 암문의 일원이다. 암문이란 비상용 문으로 보통..

1. 남한산성 제2남옹성~제3남옹성 구간남한산성 남쪽 구간은 남문에서 제1남옹성, 제2남옹성, 제3남옹성을 거쳐 동문으로 이어진다. 남문에서 제1남옹성과 제3남옹성 이후에서 동문 구간은 경사의 패기가 좀 있으나 일단 그곳을 오르면 완만한 성곽길이 오르락 내리락 이어진다. 남한산성이 유명 관광지로 찾는 사람들이 무지하게 많으나 남쪽 구간은 사람이 별로 없어서 늘 한산한 모습을 보인다. 2. 군포터군포는 성을 지키는 초소 건물이다. 남한산성에는 125개의 군포가 설치되어 산성을 꼼꼼히 지켰는데, 그 많은 군포는 어느 세월이 잡아갔는지 모두 사라지고 다들 터만 남은 실정이다.이곳 군포는 약간 높고 평탄한 대지에 닦여진 것으로 정면 3칸, 측면 1칸 규모의 맞배지붕 기와집이었다. 집 벽은 토석벽으로 닦았으며,..

1. 제1남옹성과 제2남옹성 사이에 자리한 성문 (성문 안쪽)이 성문은 남한산성에서 검단산으로 이어지는 임도 통행을 위해 근래 닦여진 것이다. 산성 안쪽은 이렇게 터널 모습이고, 산성 바깥은 홍예문처럼 해놓았는데, 기존 성곽과 너무 이질적인 모습을 보인다. 2. 검단산으로 이어지는 임도와 그 임도를 물끄러미 바라보는 남한산성(제1남옹성~제2남옹성 구간) 3. 어색한 홍예문 모습을 보이는 제1남옹성과 제2남옹성 사이 성문 (성문 바깥쪽) 4. 동쪽으로 달려가는 남한산성 남쪽 성곽남한산성은 수도권 유명 관광지이자 답사 및 등산 명소로 무지하게 바쁘게 산다. 하지만 남문~서문~북문, 수어장대 주변, 동문 주변, 산성로터리, 남한산성로에만 사람들이 크게 몰릴 뿐, 그 외에는 한산한 모습을 보인다. 특히 이번에..

1. 남한산성에서 검단산(536.4m)을 이어주는 임도남한산성 남문 안쪽에서 검단산을 이어주는 임도이다. 성남 약사사에서 동쪽 산길을 10여 분 오르면 이 임도와 만나는데, 여기서 남쪽으로 가면 검단산과 남한산성에 딸린 신남성으로 이어지고, 북쪽으로 가면 남한산성 중심부와 제1남옹성으로 빠진다. 나는 여기서 제1남옹성 방향 북쪽 길을 택했다. 2. 남한산성 제1남옹성남한산성 남쪽 성곽(남문~제1/2/3남옹성~동문 구간)에는 3개의 옹성이 닦여져 있다. 옹성은 성문이나 성곽 앞에 둘러진 성곽으로 성문과 성곽 수비력 증대를 위해 설치하는데, 이곳 제1남옹성(제1옹성)은 기존 성곽에서 남쪽으로 160m까지 길게 옹성을 쌓았다. 이 옹성은 1638년에 조성된 것으로 옹성 내부에 장대가 설치되어 남한산성 정상부인..

1. 성보전 바깥에 보관된 기와조각들성보전은 약사사의 보물 창고로 이곳에서 소유하고 있는 문화유산과 오래된 서적, 여러 불상과 보살상, 탱화, 절을 꾸리는데 공헌을 한 승려와 신도의 사진들, 사회에서 받은 여러 상장을 머금고 있다. 절을 세운 석인왕 대종사를 비롯해 절 승려와 신도들이 수집하거나 기증한 것들로 1999년 대웅보전 신축 공사 때 발견된 옛절에 기와조각와 도기, 자기 파편도 있다.약사사 자리에는 이름이 전하지 않는 절이 있었는데, 그 절의 흔적으로는 깨진 기와조각와 도기와 자기 파편, 석탑 등이 있으며, 석탑은 발견된 부재를 적당히 이어붙여 다시 일으켜 세웠다. 그 탑은 경내에서 만덕3층석탑이란 이름으로 살아가고 있다. 2. 유리막에 들어있는 옛 절터의 도기, 자기 파편과 여기저기서 수집한..

' 남한산성 봄맞이 나들이 ' ▲ 남한산성 ▲ 수어장대 ▲ 남한산성 남문(지화문) 차디찬 겨울이 저물고 봄이 조금씩 기지개를 켜던 3월의 끝 무렵, 그 이름도 유명한 남한산성을 찾았다.점심 쯤 도봉동(道峰洞) 집을 나서 지하철로 거의 1시간 반을 이동, 갈아타기도 무려 3번씩이나 하여 남한산성에서 가까운 산성역에서 비로소 어두컴컴한 땅굴에서 벗어났다.산성역(8호선)은 남한산성을 품은 청량산의 서남쪽 끝자락 100m 고지에 자리해 있어 깊이가 제법 된다. 그러다 보니 역을 빠져나오는데도 한참이 걸린다. 밖으로 나와서 광주시내버스9번(사..

1. 영조가 남긴 무망루 현판 2. 매바위와 수어서대 바위글씨 3. 남한산성 수어장대입구~서문 구간 4. 바위를 비석으로 삼은 병암남성신수비 5. 남한산성 서문(우익문) 6. 서문 주변 성곽 (북쪽 방향) 7. 서문 주변 성곽 (남쪽 방향) 8. 국청사 약수터 9. 국청사 일주문 10. 국청사 대웅전 11. 국청사 삼성각 12. 국청사 경내 13. 남한산성 서문~북문 성곽길 14. 서문~북문 구간에서 바라본 하남시 상사창동(고골) 지역 15. 남한산성 서문~북문 구간 16. 동쪽을 향해 흘러가는 남한산성 17. 북문으로 내려가는 성곽길 18. 남한산성 북문(전승문) 19. 북문 주변 성곽 20. 북문에서 고골로 내려가는 길 21. 겨울에 잠긴 고골 22. 고골로 23. 하남 상사창동 연..

1. 남한산성 2. 남한산성 수어장대 3. 남한산성 남문(지화문) 4. 남한산성 비석군 5. 남문 남쪽 성곽 6. 남한산성 남문(지화문) 7. 남문 북쪽 성곽 8. 남한산성 성곽길 동쪽 산책로 (남문에서 서암문 방향) 9. 남한산성 남문 주변10. 남한산성 남문~영춘정 구간 11. 남문과 영춘정 사이에서 바라본 성남시내(분당 포함) 12. 남한산성 영춘정~남문 성곽 능선과 검단산 13. 남한산성 영춘정 14. 영춘정 주변 남한산성 성곽길 15. 영춘정 주변에서 바라본 위례신도시 16. 남한산성 서암문 17. 청량당 18. 수어장대 19. 수어장대 내부 20. 수어장대 현판의 위엄 21. 수어장대 소나무 22. 수어장대 23. 탁지부측량소 삼각점 24. 무망루 현판을 머금은 1칸짜리 기와집과 이승..
' 남한산성 늦겨울 나들이 ' ▲ 남한산성 장경사 ▲ 지수당 ▲ 연무관 차디찬 겨울 제국이 드디어 그 끝물을 보이던 3월의 한복판에 일행들과 광주(廣州) 남 한산성을 찾았다. 오전 11시에 집을 나서 지하철을 3번씩이나 갈아탄 끝에 남한산성의 서쪽 입구의 하나 인 산성역(8호선)에 이르렀다. 이 역은 해발 100m 고지에 자리해 있어 신금호역(5호선 ), 만덕역(부산3호선)만큼이나 장대한 깊이를 자랑한다. 하여 역을 빠져나오는데만 한 참이 걸린다. 어두컴컴한 지하를 벗어나 산성역 정류장으로 이동하여 남한산성으로 들어가는 성남시 내버스 52번(성남동 대형주차장↔남한산성)을 잡아탔다. 산성역에서 남한산성 내부(산 성리)로 들어가는 버스는 9번과 9-1번, 52번, 53번이 있는데, 52번은 평일에만 바퀴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