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망우산, 망우역사문화공원, 시루봉보루 늦가을 나들이~~~ ▲ 망우역사문화공원 사색의길 ▲ 망우산 관룡탑 ▲ 시루봉보루 늦가을이 절정에 이르던 11월 한복판의 어느 볕 좋은 날, 아차산 식구의 일원인 망우산(忘憂山, 282m)을 찾았다.이번 망우산 나들이는 망우리고개 서쪽에 자리한 망우저류조공원에서 시작했는데, 그 공원에서무덤이 즐비한 숲길을 4~5분 오르면 망우리고개(망우로)에서 올라온 길(망우로91길)과 ..

1. 망우역사문화공원 사색의길 동쪽 구간 2. 망우산 관룡탑 3. 시루봉보루 4. 무덤들로 수북한 망우저류조공원 동쪽 산자락 5. 망우역사문화공원 사색의길 입구 (인물가벽 직전) 6. 이태원묘지 무연분묘 합장비와 합장분 7. 이태원묘지 무연분묘와 유관순 분묘 합장표지비의 예전 모습 8. 망우역사문화공원 사색의길 동쪽 구간 9. 경서노고산천골취장비(노고산취장비) 10. 망우역사문화공원 사색의길 동쪽 구간 11. 사색의길 동쪽 구간에서 바라본 천하 12. 월파 김상용묘 13. 망우역사문화공원 사색의길 동쪽 구간 14. 해관 오긍선 일가 묘역 15. 해관 오긍선묘 16. 소파 방정환묘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 방정환 묘소) 17. 망우산 정상 전망대 18. 망우산 정상 전망대에서 바라본 천하 (중랑구, 봉화..

1. 용마산자락길 순환로3거리 시작점 (망우역사문화공원 사색의길 남쪽 종점) 용마산자락길은 사색의길 남쪽 종점인 순환로3거리에서 용마가족공원 남쪽까지 이어지는 2.2km의 나무데크 도보길이다. 아차산~용마산~망우산의 새로운 도보길로 전 구간이 경사가 완만한 나무데크 길로 이루어져 있으며, 조명이 넉넉히 설치되어 있어 어둑어둑한 저녁에도 편히 이용이 가능하다. 하 여 망우산에서 어둠을 만났을 경우 이 길로 탈출하면 편하다. 급한 경사를 크게 순화시켜 만든 길이라 마치 뱀의 허리에 올라탄듯 길이 구불구불하며, 자락길 주변 으로 면목동으로 빠르게 내려가는 산길도 있으니 취미와 성품에 따라 이용하면 된다. 2. 순환로3거리에서 시작된 용마산자락길 3. 무성한 숲을 지나는 용마산자락길 (순환로3거리 주변) 4. ..

1. 망우역사문화공원 계용묵묘 소설가 계용묵(1904~1961)은 1904년 평북 선천군에서 태어났다. 부친 계항교와 모친 죽산박씨 슬하 의 1남 3녀 중 장남으로 1918년 향리의 삼봉공립보통학교를 다니다가 순흥안씨 안정옥과 결혼했다. 1919년 졸업 후 서당에서 공부했으며, 보통학교 시절인 1920년 소년 잡지 '새소리'의 문예 공모에 시 '글방이 깨어져'로 응모해 2등으로 입선한 것을 기회로 문학에 진출했다. 조부 몰래 상경해 중동학교 와 휘문고보를 잠깐 다녔으나, 그때마다 신문학을 반대하는 조부에 의해 귀향해야만 했다. 서울에서는 김억과 같은 하숙집에서 숙식했다. 이때 염상섭, 남궁벽, 김동인 등과 교우하며 문학에 더 욱 뜻을 두었는데, 4년 동안 고향에서 홀로 외국문학서적을 탐독하다가 1928년..

1. 잔잔하게 펼쳐진 망우역사문화공원 사색의길 서쪽 구간 (서울둘레길2코스) 사색의길은 망우역사문화공원(망우리묘지)의 중심 길로 4.7km의 순환형 코스로 이루어져 있다. 숲 이 무성하고 경사가 거의 느긋해 거닐기에 아주 좋으며, 길 주변으로 근현대사 인물의 무덤이 많이 자리잡고 있다. 서울둘레길2코스가 사색의길 서쪽 구간을 따라 남북으로 흘러가며, 구리둘레길(사색의길 동쪽 구간) , 중랑둘레길(사색의길 서쪽 구간)도 이곳의 신세를 진다. 2. 사색의길 서쪽 구간 (용마약수와 이중섭묘 입구) 3. 국민강녕탑 사색의길 서쪽 구간 중간 정도에 국민강녕탑이라 불리는 큰 돌탑이 있다. 시루봉 서쪽에 숨겨진 관룡 탑과 함께 아차산에 있는 큰 돌탑의 일원으로 세모 모양으로 조성되었는데, 경남 산청에 있는 전 구형 ..

1. 춘파 서동일 묘소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 서동일 묘소) 춘파 서동일(1893~1965)은 경북 경산 출신이다. 1923년 북경으로 넘어가 국민당에 입당하여 재정 부장을 담당했는데, 여기서 국민당은 장개석의 국민당이 아닌 남형우, 배천택 등이 나라의 국권회복 을 위해 군대를 양성하고 무력으로 독립을 쟁취하고자 만든 조직이다. 1924년 1월 군자금 모금의 밀명을 받고 본토로 들어와 대구 일대에서 군자금 1,300여 원을 조달해 다음달 2월 북경에 있는 국민당 본부에 전달했으며, 1925년 1월 남형우의 명을 받고 다시 본토로 들 어가 군자금을 조달했다. 1925년 4월 북경 마사묘에서 항일 비밀결사 다물단의 단원이 되었는데, 여기서 다물은 옛 땅과 영광 을 되찾는다는 의미로 고구려가 옛 조선의 영광..

' 망우산, 망우역사문화공원 늦가을 나들이 ' ▲ 망우역사문화공원 사색의길 ▲ 지석영 선생묘와 지성주묘 ▲ 죽산 조봉암 선생묘 수도권 고구려 유적의 대표 성지(聖地)이자 서울의 동쪽 지붕인 아차산(峨嵯山) 산줄기는 남쪽은 아차산(295.7m), 중간은 용마산(龍馬山, 348m), 북쪽은 망우산(忘憂山, 281m)으로 이루어진 남북으로 길쭉한 산맥이다. <옛날에는 중랑구 북부에 자리한 봉화산(烽火山)까지 아차산의 일원이었음>아차산과 용마산은 나의 즐겨찾기 뫼로 아침부터 저녁(야간 등산)까지 고루고루 찾아가안긴 횟수만 무려 300회가 넘는..

1. 망우역사문화공원 사색의길 동쪽 구간 2. 송촌 지석영묘와 지성주묘 3. 죽산 조봉암 선생묘 4. 망우저류조공원에서 망우역사문화공원으로 인도하는 숲길 5. 무덤들로 수북한 망우저류조공원 동쪽 (망우역사문화공원) 6. 망우역사문화공원 인물가벽 직전 (사색의길 북쪽 시작점) 7. 망우역사문화공원을 품고 있는 망우산 8. 망우역사문화공원 사색의길 동쪽 구간 9. 송촌 지석영묘와 지성주묘 10. 정면에서 바라본 송촌 지석영묘와 지성주묘 11. 망우산 능선길 12. 망우산 역사의 전망대 13. 망우산 역사의 전망대에서 바라본 천하 (구리시, 한강, 강동구, 하남시 등) 14. 화가 이인성묘 15. 애국지사 김봉성 묘터 16. 도산 안창호 묘터 17. 태허 유상규묘 18. 망우산3보루터

1. 오재영 묘소 (망우독립유공자 묘역, 오재영 묘소) 오재영(1897~1948)은 부산 출신이다. 1919년 비밀결사 혈성단에 가입하여 활동했으며, 임시정부 기 관지인 독립신문과 경고문 배포, 본토와 상해임시정부와의 연락 등을 담당했다. 1920년 9월 14일 의열단 단원인 박재혁이 부산경찰서장에게 폭탄을 던져 중상을 입혔는데, 오재영은 박재혁이 상해에서 가져온 폭탄 1개를 맡아두는 등 그의 거사를 도왔다. 이 사건으로 왜경에게 체포되 어 1921년 8월 3일 대구 복심법원에서 제령 7호 위반으로 징역 1년형을 선고 받고 옥고를 치렀으며, 이후 만주일보 경남지사, 조선일보 부산지국을 운영하는 한편 신간회에서도 활동했다. 해방 이후 박재혁 추모사업을 추진하다가 1948년 51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으며,..

1. 대향 이중섭 묘 용마약수(용마천) 북쪽에는 '소'라는 그림으로 유명한 화가 이중섭의 무덤이 있다. 이중섭(1916~1956) 은 평남 평원에서 부농의 아들로 태어났는데, 평양 오산학교를 졸업하고 왜열도 동경으로 넘어가 문화 학원에 진학했다. 그리고 그곳에서 후배인 야마모토 마사코(이남덕)와 교재하여 1945년 원산에서 혼 인했다. 두 아들을 두며 단란한 가정을 꾸렸지만 6.25 때 월남하여 부산과 제주도에서 피난 생활을 했으며, 먹 고 살기 힘든 상황이라 훗날을 기약하며 부인과 아들을 왜열도로 떠나보냈다. 가족과의 재회를 위해 1955년 개인전을 개최하여 화단의 높은 평가를 받았지만 경제적으로는 실패했 으며, 이후 술로 나날을 보내다가 1956년 병원에서 사망하니 그의 나이 겨우 40세였다. 묘비는..

1. 명온공주와 김현근 묘역 망우역사문화공원 사색의길 동쪽 구간에 명현공주, 김현근 내외의 무덤이 있다. 명온공주(1810~1832 )는 순조의 딸이고, 그의 남편인 김현근(1810~1868)은 안동김씨 집안으로 김상용의 8대손이다. 김현근은 어려서부터 말과 글을 잘해 15살에 부마가 되었는데, 순조가 명온공주의 남편을 물색하고자 12~15세 남성을 대상으로 간택령을 내렸다. 하여 그해 5월 22일 17명 후보 중 8명을 골랐고, 5월 25 일에 3명으로 줄였으며, 6월 2일 3번째 간택에서 진사 김한순의 아들인 김현근이 최종 합격되어 동년 위로 봉해진 후 7월 17일 혼인을 하였다. 명온공주는 일찍 병을 얻어 1832년 22세의 젊은 나이로 사망했으며, 김현근은 청나라 사신 업무, 판 의금부사 등을 지..

1. 망우역사문화공원 소파 방정환 묘소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 - 방정환 묘소) 소파 방정환(1899~1931)은 아동문학가이자 애국지사로 어린이날과 '어린이'란 용어를 만든 인물로 유명하다. 서울 당주동 출생으로 어린이에게 나라의 미래가 있다며 어린이 운동에 온 생애를 바쳤는 데, 죽음 직전에 '어린이들을 잘 부탁한다','여보게 밖에 검정말이 끄는 검정 마차가 와서 검정옷을 입은 마부가 기다 리니 어서 가방을 내다주게'란 말을 남기며 32세의 짧은 나이로 운명하고 말았다. 그의 유골은 홍제동 화장터에 있었으나 1936년 후배 최신복 등이 나선 모금 운동으로 망우리묘지에 유택을 마련해 안장되었다. 무덤은 흙으로 다진 봉분 대신 쑥돌을 표석처럼 세웠는데, 비석 글씨는 위창 오세창 선생이 썼다. 오세창은 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