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산천동 부군당 삼호정터 표석과 안내문을 지닌 산천동 마을마당 북쪽에는 맞배지붕을 지닌 산천동 부군당이 있다. 부군당이란 서울 지역에서 많이 나타나는 마을 제당으로 주로 '부군'이란 신을 봉안해 마을의 안녕 을 기원한다. 이곳 부군당은 1,600년대에 지어진 것으로 전하고 있는데, 한강변이라 물놀이 사고는 물론 배 침몰, 사고 등이 빈번했다. 하여 그 액운을 막고자 마을 사람들이 세운 것이다. 처음에는 한강변인 산천동 173번지(산천동 리버힐삼성아파트 남쪽)에 있었는데, 용산 지역 부군당 중에서 이곳의 명성이 대단했다. 하지만 세상이 여러 번 엎어지면서 부군당의 위치도 크게 흔들리게 되었고, 1980년대 후반에는 회색빛 아파트 단지에게 밀려나는 처지가 되었다. 부군당 자리에 아파트 와 그를 보조하는 ..

1. 이태원부군당(이태원부군당역사공원)에서 바라본 천하 (서북쪽 방향) 푸른 하늘(이때가 5월이었음) 아래로 이태원동과 용산동, 후암동, 남영동, 남산 자락이 두 망막에 들 어온다. 2. 이태원부군당에서 바라본 서쪽 방향 (이태원동과 용산미군기지, 용산구 서부 지역) 3. 이태원부군당에서 바라본 이태원동과 남산(목멱산) 남산서울타워가 있는 남산 꼭대기와 송신탑이 있는 남산 동쪽 봉우리가 시야에 들어온다. 4. 이태원부군당 이태원시장(6호선 녹사평역과 이태원역 사이) 북쪽 언덕에 이태원 부군당이 자리잡고 있다. 이곳은 1619년에 세워진 것으로 전하는데, 원래는 여기보다 북쪽인 남산 중턱(남산외인주택 자리로 추정됨) 에 있었다. 그러다가 왜정이 훈련소를 짓는다며 개난리를 피워 1917년 이곳으로 자리를 옮..

1. 이태원 부군당 역사공원 서양 냄새와 유흥가의 기운이 지나치게 심한 이태원, 그 이태원에 고색의 명소가 하나 숨겨져 있다. 바로 이태원시장(이태원로) 북쪽 언덕에 있는 이태원 부군당이다. 이태원 부군당이 자리한 곳은 남산의 남쪽 자락이다. 남산은 이태원과 보광동, 한남동까지 산자락을 늘어뜨리고 있는데, 이곳 부군당은 앞에 자리한 부군묘 비석에 1619년에 세웠다는 내용이 있어 그때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원래는 이곳보다 북쪽인 남산 중턱(남산외인주택 자리로 추정됨)에 있었으 나 왜정이 훈련소를 짓는다며 아주 개난리를 부려서 1917년에 부득불 이곳으로 자리를 옮겼다. 부군당은 서울 지역에서 많이 나타나는 마을 제당으로 한강 주변에 많이 분포한다. 17세기 이후 한강 을 중심으로 한 경강상업이 발전하..

1. 보광동 흥무대왕 김유신사당 보광동 오산중고등학교 동쪽 가파른 곳에 김유신 장군 사당이 둥지를 틀고 있다. 속세에서 이곳을 찾으려면 서빙고로에서 각박한 계단길을 올라가거나 리버빌아파트에서 계단을 이용해야 되는데, 사당은 아쉽게도 제사일(매년 음력 정월 초하루)과 김유신장군 사당 제향(보통 11월 중/하순에 하 고 있으며, 용산구청에서 지원하는 지역 행사로 자리를 잡음) 등 일부 날에만 들어갈 수 있다. (그 외에는 사당 정문인 용화문까지만 접근할 수 있음) 김유신 장군(595~673)은 신라 중기를 대표하는 장군으로 가락국(금관가야) 왕족 출신이다. 그는 백제와 고구려를 멸하고 신라 땅을 북쪽으로 만주, 요동까지 확장시켰으며, 당나라군도 토벌해 신 라를 반석 위에 올렸다. 그 공으로 사후 흥무대왕으로..

1. 동빙고 부군당 동빙고동 주택가 속에 자리한 동빙고 부군당은 조선 초기(14세기)에 세워졌다고 전한다. 동빙고 주 민들이 마을의 안녕과 국태민안을 기원하던 마을 제당으로 천하의 시조인 단군성조와 성비가 봉안 되어 있는데, 고약했던 왜정 시절에도 제사 전통을 유지했으며, 1945년 이후 뜻 있는 인사들이 사당 을 중수하고 사당 유지 비용을 담당하는 등, 그런데로 명맥을 유지했다. 그러다가 6.25시절 사당 일부가 총탄으로 파괴되었고, 탱화까지 분실되었으며, 윗당(동빙고동17번 지)이 건물 노후로 파손되자 아랫당(동빙고동 62번지)으로 제신을 옮겼다. 현재 부군당은 1992년 11월에 보수한 것으로 사당과 대문, 부속 건물을 지니고 있으며, 대지 39평, 건평 27평 규모이다. 매년 음력 정월 초하루에 ..

1. 서빙고동 부군당 반포대교 북단 서쪽인 서빙고동 주택가 속에 부군당이란 늙은 기와집 사당이 있다. 이곳은 서빙고 사람들이 마을 안녕과 수호를 위해 세운 제당으로 15세기 말~16세기 초에 지어졌는데, 처음에는 이곳 서쪽인 용산 미군 부대 자리에 있었다. 1910년대 초에 왜정이 그 자리에 훈련장을 만들면서 지금 자리로 강제로 옮겨졌으며, 1635년에 사당을 고쳐지은 내용을 머금은 기문과 1927년 중수기까지 잘 남아있어 이곳 부군당의 오랜 내력 을 알려준다. 부군당은 서울 지역에 많이 나타나는 마을 제당으로 제사를 지내는 제당과 제사를 준비하는 제물 청으로 이루어져 있다. 바깥에는 기와담장을 두르고 남쪽애 맞배지붕 대문을 두었는데, 제당은 1 칸짜리 맞배지붕 집으로 작은 크기이며, 내부에는 부군당의 ..

1. 보성 오충사 충의당 보성읍내에 자리한 오충사는 퇴휴당 선윤지, 평양공 선형, 친친재 선거이, 매곡 선세강, 강의재 선약 해 등 보성선씨 5인이 봉안된 사당이다. 퇴휴당 선윤지는 1382년 전라도관찰사겸 안렴사로 조양, 복흘에 쳐들어온 왜구를 토벌하고 남해 관 음포에서 왜구의 잔당을 섬멸하는 공을 세웠다. 1392년 고려가 망하자 크게 통곡하며 보성으로 내려 와 안착했으며, 지역 사람들에게 유학을 가르쳤다. 그에게 감명을 받은 지역 사람들은 그가 살아있음 에도 생사당을 세우고 그의 진영까지 봉안해 한식일에 제사를 지냈다고 전한다. 평양공 선형은 해서백으로 1467년 이시애의 난을 토벌하는데 큰 공을 세웠으며, 선거이는 임진왜란 시절에 독성, 행주, 금영, 운봉, 화산, 곤양 등에서 왜군을 토벌했다. ..
* 광주 원산동에 자리한 포충사는 임진왜란 시절 호남에서 의병을 일으킨 고경명과 그의 아들, 고종후, 고인후 3부자와 유팽로, 안영을 봉안한 사당이다. 1601년 호남 유생들의 건의로 제봉산 밑에 세워졌으며, 1603년 선조 임금에게 사액을 청해 포충사란 이름과 편액을 받았다.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에도 살아남았으며, 1980년에 동쪽 평지에 새롭게 포충사를 세웠다. 그 과정에서 옛 포충사의 고직사, 충효당 등이 철거되었다. (옛 포충사는 새 포충사 서쪽 소나무 언덕에 자리하고 있음) * 정기관(유물전시관)에 있는 고경명 관련 유물과 서적, 문서들 * 포충사 (새 포충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