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북악산 주능선 한양도성길 (청운대 갈림길)삼청안내소에서 시작한 이번 북악산(백악산) 나들이는 삼청휴게소 군부대 수영장터와 대통문, 만세동방약수터, 청운대전망대를 거쳐 어느덧 북악산 주능선 한양도성에 이르렀다. 삼청안내소에서 올라온 길은 각박한 구간이 많은 편으로 기존에 흙길과 길이 없던 곳에 탐방 편의를 위해 나무데크길과 계단길을 넉넉히 깔아두어 그 각박함을 어느 정도는 해소해준다. 청운대 갈림길은 청운대쉼터 동쪽으로 이곳은 북악산 주능선 한양도성길과 삼청동 코스, 그리고 북악스카이웨이(북악산길)로 빠지는 청운대 코스가 만나는 요충지이다. 예전에는 한양도성길만 있었으나 2020년에 청운대 코스가, 그리고 2022년 4월 삼청동 코스가 열리면서 코스의 선택 폭이 늘어났다. 또한 갈림길에서 한양도성 성..

1. 한양도성 혜화동 전시안내센터에서 바라본 북쪽 방향 주택들이 빼곡히 들어찬 성북동 너머로 북한산(삼각산)이 시야에 들어온다. 전시안내센터가 있는 도 성 성곽 안쪽은 종로구 혜화동, 성곽 바깥은 성북구 성북동이다. 2. 한양도성 혜화동 전시안내센터에서 바라본 동쪽 방향 성북동 남부 지역과 숲동산을 이루고 있는 성북공원, 그리고 한신한진아파트가 두 망막에 들어온다. 3. 한양도성 혜화동 전시안내센터(옛 서울시장공관) 정문 기둥에 박힌 서울미래유산 딱지 4. 한양도성 혜화동 전시안내센터 정문에서 전시안내센터로 인도하는 계단길 (정문 방향) 5. 한양도성 혜화동 전시안내센터 정문에서 전시안내센터로 인도하는 계단길 (전시안내센터 방향) 6. 한양도성 혜화동 전시안내센터 정문 대법원장 공관과 서울시장 공관 등 ..

1. 성곽 여장이 둘러진 한양도성 혜화동 전시안내센터 동쪽 뜨락 이곳은 전시안내센터 뜨락의 동쪽 구석이다. 한양도성 성곽에 완전히 막힌 곳으로 성곽 여장 너머로 혜화문(동소문) 북쪽 성곽과 혜화문, 낙산(낙타산)이 시야에 들어온다. 2. 봄이 내려앉고 있는 전시안내센터 남쪽 뜨락 3. 그림 같은 2층 양옥, 한양도성 혜화동 전시안내센터 (옛 서울시장 공관) 집도 그림 같지만 뜨락 또한 그림 같은 풍경이다. 완전 수채화 속에 그려진 상큼한 곳. 4. 수풀과 꽃들이 달달하게 자라고 있는 전시안내센터 북쪽 뜨락 (서쪽 방향) 5. 수풀과 꽃들이 달달하게 자라고 있는 전시안내센터 북쪽 뜨락 (동쪽 방향) 6. 전시안내센터의 서쪽 모습 (옛 서울시장 공관) 전시안내센터 서쪽에 커피와 빵을 파는 카페가 있다. 7...

1. 한양도성 혜화동 전시 안내센터 제3전시실 유물 서울시장 제22대, 제31대를 지냈던 고건이 시장 시절, 자신의 집무실 책상 유리 밑에 항상 끼워두었 던 도시고속화 도로망도와 지하철 노선망, 그리고 2000년 7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사용했던 업무 일정표이다. 2. 오세훈이 예전 시장 시절에 입었던 개량한옥과 그들 부부의 이름이 새겨진 컵 오세훈은 온갖 말도 안되는 토목공사질과 온갖 뻘짓, 그리고 학생들 급식 문제로 개난리를 피우다가 떨려날 때까지 이곳 공관을 이용했다. 그때 입었던 개량한옥과 그들 부부의 이름이 쓰인 컵을 이곳에 남겼는데, 어리석은 서울 시민들은 그 작자를 또 시장으로 뽑아주는 희대의 개짓을 보여주었다. 오늘 도 여러모로 고통 받는천하 제일의 대도시 서울... 3. 이명박이 남..

1. 한양도성 혜화동 전시, 안내센터 (옛 서울시장 공관) 혜화문(동소문) 북쪽이자 한양도성 안쪽 높은 곳에 한양도성 혜화동 전시안내센터가 있다. 이곳은 예 전 서울시장이 사용하던 공관으로 왜정 말기인 1941년에 지어진 2층 목조 건물이다. 1959년까지 개인 주택으로 살다가 1959년부터 20년 동안 대법원장 공관으로 쓰였는데, 4.19혁명 재 판의 판결문이 작성된 현장이기도 하다. 1981년부터 2013년까지 서울시장의 공관으로 쓰였으며, 이 후 버려져 철거까지 논의되다가 보존으로 결정, 한양도성 혜화동 전시 안내센터로 속세에 해방되었다. 1층과 2층은 전시안내센터로 각각 2개와 3개 전시실(제1,2전시실은 1층 / 제3,4,5전시실은 2층)을 지 니고 있으며, 한양도성과 혜화문(동소문), 서울시장..

1. 한양도성 혜화문(동소문) 혜화동로터리에서 삼선교(한성대입구)로 넘어가는 혜화동고개(동소문고개) 북쪽 가파른 곳에 혜화 문이 자리잡고 있다. 혜화문은 한양도성 사소문(북소문-창의문, 서소문-소의문, 남소문-광희문, 동소문-혜화문)의 일원으 로 처음에는 홍화문이라 불렸다. 그러다가 1511년 혜화문으로 이름을 갈았으며, 임진왜란 때 문루가 소실되어 사라진 것을 1744년에 다시 지었다. 혜화문은 동소문, 소청문이라 불리기도 했으며, 주변 지역이 새들로 인해 농사 피해가 심하자 이를 막고자 비보풍수의 일환으로 문 천정에 봉황을 그려넣었다. 고약했던 왜정 시절에 서소문, 서대문(돈의문)과 함께 강제 철거되는 비운을 겪게 되는데, 1928년 문 루를 없애고, 1938년에는 남아있던 홍예문을 부셔버리고 그 자..

1. 북악산 1.21사태 소나무 북악산(백악산) 주능선 한양도성길의 백악마루입구~청운대 구간에 1.21사태 소나무란 간판을 지닌 소나무가 있다. 이 소나무는 1968년 1월 21일에 발생했던 그 악명 높은 1.21사태와 관련된 나무로 북한 124군부대 소속의 31명 무장공비 패거리가 자하문고개를 넘어 청와대 직전인 청운동까지 기들어왔다. 그곳에서 우리 군과 경찰의 공격을 받아 인왕산과 북악산으로 도망쳤는데, 그것들을 추격하는 과정에서 이곳에 서 격전이 벌어졌고, 그때 이 소나무에 15발의 총탄 흔적이 무심히 남게 되었다. 그 연유로 1.21사태 소나무란 우울한 이름을 지니게 되었다. 북악산에는 이곳 외에도 북악하늘길 김신조루트에 그 시절 총탄 흔적이 서린 호경암 바위가 있어 이 땅의 울적한 현실을 알려준..

1. 창의문(자하문)의 안쪽 모습 북악산(백악산)과 인왕산 사이 자하문고개에 자리한 창의문(자하문)은 한양도성 4소문의 일원이다. 여기서 4소문이란 동소문(혜화문), 남소문(광희문), 서소문(소의문), 창의문으로 다른 3소문과 달리 창의문은 북소문이라 불린 적이 거의 없다. 창의문은 1396년 한양도성을 닦으면서 조성된 것으로 문의 이름인 창의는 '올바른 것을 드러나게 하 다'는 뜻이다. 또한 별칭인 자하문은 성밖 부암동 계곡에서 비롯되었다. 1413년 풍수학자 최양선이 '창의문과 숙정문은 경복궁의 양팔과 같아서 길을 내어 지맥을 상하게 해 서는 안됩니다' 건의하여 1416년 문을 닫아걸었다. 다만 1422년 군인들의 통로로 사용되었고, 1617 년 창덕궁을 보수할 때 이 문을 통해 석재를 운반했다. 또..

1. 한양도성 유적전시관 동쪽 한양도성 성곽 (남산 방향) 백범광장과 남산식물원, 분수대 일대 발굴조사로 햇살을 본 한양도성 성곽의 흔적들로 백범광장 서 쪽 성곽은 복원을 했고, 남산 정상으로 이어지는 한양도성 유적전시관 동쪽 성곽은 일부분 복원했다. 다만 한양도성 유적전시관으로 삼은 곳은 성곽을 복원하지 않고 발굴 때 나온 모습 그대로 두어 보호 각을 높게 씌우고 유적전시관으로 삼았다. 2. 한양도성 유적전시관 중심부 (동쪽에서 바라본 모습) 3. 남산 방공호 한양도성 유적전시관 동쪽에는 왜정 말기에 지어진 방공호가 있다. 산자락을 다듬어 석축을 쌓고 그 한복판에 굴을 낸 형태로 유사시 피난처 및 군사작전용으로 지어졌다. 왜국은 1937년 왜국 칙령 제661호 방공법 조선시행령에 따라 서울 곳곳에 방공..

1. 한양도성 유적전시관에서 바라본 천하 (남쪽 방향) 용산구와 서초구, 그리고 그 너머로 관악산과 호암산까지 나란히 시야에 들어온다. 호암산과 관악산 은 풍수지리적으로 서울을 위협하는 뫼로 인식되어 조선 조정에서는 그들의 기운으로부터 서울을 지키고자 남대문(숭례문) 현판을 가로로 세우고, 광화문 앞에 해태상을 세웠으며, 북한산(삼각산)을 서울을 지키는 진산으로 삼고, 호암산과 관악산 뒷통수에 절을 짓거나 중수하는 등 난리법석을 피웠 다. 2. 한양도성 유적전시관에 깃든 한양도성 성곽터와 그 너머에 자리한 조선신궁 배전터 3. 한양도성 유적전시관 도성 성곽터 이곳에는 남대문(숭례문)과 남산을 이어주던 한양도성 성곽이 있었다. 왜정이 1925년 이곳 일대에 조선신궁이란 괴상한 건물을 지으면서 성곽을 밀어버..

1. 곡장에서 바라본 북악산 정상(백악마루) 2. 북악산 곡장 여장 3. 청운대 암문~곡장 구간 한양도성 바깥길 4. 북악산2번출입문 (북악산길 북악스카이웨이2교 동쪽) 5. 북악산2번출입문~청운대안내소 숲길 6. 북악산2번출입문~청운대안내소 숲길에서 바라본 북악산 정상 7. 북악산2번출입문~청운대안내소 숲길 8. 북악산2번출입문~청운대안내소 숲길에서 만난 구 경계초소 9. 윗쪽에서 바라본 청운대안내소(북악산3번출입문) 10. 옛 군견 훈련장터 (청운대안내소~청운대 암문 구간) 11. 인공이 심하게 가해진 계곡 (청운대안내소 안쪽 계곡) 12. 청운대 암문(북악산 주능선) 직전 계단길 13. 한양도성 청운대 암문 14. 청운대 암문에서 청운대, 백악마루 방향 북악산 주능선 한양도성 15. 청운대 암문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