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무덤 사이를 지나는 중랑둘레길 (망우역사문화공원)

삼형제바위(형제바위)에서 망우역사문화공원 사색의길로 인도하는 오솔길로 무덤 사이사이를 지난

다. 무덤과 푸른 숲, 수풀들이 어우러진 상큼한 공간으로 방을 뺀 무덤터도 적지 않은데, 오솔길은 봉

분 앞을 지나기도 하고, 봉분 뒷쪽을 지나기도 하며, 봉분 옆구리도 지나는 등, 무덤 사이사이를 이리

저리 비집고 흘러간다.

 

2. 숲그늘에 묻힌 무덤들

망우역사문화공원은 망우리묘지(망우리공동묘지)의 현재 이름이다. 즉 이름을 세탁했다. 그렇다고
이곳의
공동묘지 성격이 녹슨 것은 전혀 아니며, 많은 무덤들이 방을 빼긴 했으나 아직까지 7,400여

기의 무덤들이 머물고 있다.

이곳이 다른 공동묘지와 다른 점이 있다면 무덤 사이로 수풀과 숲을 조성해 공원처럼 달달하게 꾸몄

다는 것이다. 하여 공동묘지가 주는 오싹한 기분은 별로 들지 않는다. 오히려 무덤들이 대자연의 수채

화 속에 일부로 완전히 녹아든 상태이다.

 

3. 망우역사문화공원 사색의길로 인도하는 나무데크 계단길 (윗쪽 사색의길 방향)

 

4. 망우역사문화공원 사색의길로 인도하는 나무데크 계단길 (아래쪽 방향)

 

5. 늦가을 서정을 마구 뿌려대는 망우역사문화공원 숲길

 

6. 앞뒤로 나란히 자리한 무덤들

 

7. 시인 박인환묘

망우역사문화공원 북쪽 부분이자 사색의길 서쪽 구간 북쪽 시작점 서쪽 밑에 시인 박인환의 묘가 있

다. 박인환(1926~1956)은 강원도 인제 출신으로 1950년대 대표적인 모더니즘 시인으로 꼽히는데,

서울 경성제일고보와 평양의전을 다녔으며, 해방 직후 의전을 중퇴하고 상경하여 종로구 낙원동에

‘마리서사’라는 서점을 차려 많은 문인들과 교류했다.

1948년 서점을 그만두고 이정숙과 혼인했으며, 1949년 김수영, 김경린, 양병식, 임호권 등과 함께

낸 합동시집 '새로운 도시와 시민들의 합창'은 광복 후 본격적인 시인들의 등장을 알려주는 신호가

됐다.

 

1951년 육군소속 종군작가단에 참여했으며, 1955년에는 대한해운공사 업무로 남해호 사무장으로

미국에 다녀오기도 했다. 이후 동인으로 활동하면서 '살아 있는 것이 있다면' , '밤의 미매장' , '목마

와 숙녀' 등을 발표했는데, 이들은 도시문명의 우울과 불안을 감상적인 시풍으로 노래하여 주목을

끌었다. 허나 1956년 심장마비로 갑자기 세상을 뜨니 그의 나이는 한참 때인 30살이었다.

 

그의 무덤은 봉분과 묘비로 이루어져 있으며, 워낙 유명한 시인이라 찾는 수요는 많은 편이다. (나도

여러 번 찾았음)

 

8. 시인 박인환 묘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