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응봉산 정상 주변에서 바라본 천하 (남쪽 방향) 개나리의 노란 물결 너머로 중랑천과 한강, 서울숲, 강남구, 대모산, 그리고 차량들로 늘 버벅거리는 용비교와 두모교, 강변북로가 두 망막에 들어온다. 응봉산은 개나리 명소로도 무지하게 유명하지만 도심과 한강 조망, 야경 조망 명소로도 크게 두각을 보이고 있다. 2. 응봉산 정상 주변에서 바라본 천하 (서쪽 방향) 한강과 중랑천, 두모교, 강변북로, 동호대교, 한남대교, 옥수동, 금호동, 강남구, 서초구, 우면산, 관악 산, 동작구 지역이 시야에 들어온다. 3. 응봉산 서쪽 능선길 (서쪽 방향) 4. 응봉산 정상에서 바라본 중랑천과 한강, 서울숲, 성수동, 강남구 지역 5. 응봉산 정상, 응봉산정 응봉산 정상(해발 95m)에 있는 응봉산정은 8각형 2층..

1. 개나리의 노란 향연 속으로 (응봉산 서쪽 능선) 응봉산(95m)은 서울 장안에 대표적인 개나리 명소이다. 산 전체가 개나리동산으로 천하에서 이곳만 큼 개나리로 95% 이상 도배된 곳은 거의 없다. 2. 응봉산 정상으로 인도하는 응봉산 서쪽 능선길 3. 개나리의 격한 환대를 받으며 (응봉산 서쪽 능선길) 4. 개나리 속을 지나는 응봉산 서쪽 능선길 응봉산 개나리동산에는 진달래와 벚꽃, 목련도 조금씩 고개를 들고 있다. 허나 그들은 개나리를 보조 하는 역할에 불과하며, 개체수도 그리 많지 않다. 5. 응봉산 정상 서쪽 직전 6. 응봉산 정상 서쪽 밑에서 바라본 응봉산 서쪽 능선과 한강 한강에 다리를 담군 동호대교와 한남대교를 비롯해 강남구와 서초구, 동작구, 우면산, 관악산, 멀리 호암산까지 흔쾌히 시..

1. 응봉산 밑 한강변 산책로(강변북로 밑도리)에서 바라본 한강과 성수대교 이곳은 한강과 중랑천이 만나는 곳으로 예로부터 두뭇개, 입석포라 불렸다. 이렇게 보니 한강이 꽤 크 게 다가오는데, 성수대교 왼쪽(북쪽)은 성수동과 서울숲, 오른쪽(남쪽)은 압구정동, 청담동 지역이다. 2. 응봉산 밑 강변북로 그늘에서 바라본 한강과 동호대교 3. 한강공원 금호나들목 주변 여기서 한강을 버리고 금호나들목을 통해 응봉산으로 접근했다. 나들목 너머로 보이는 회색빛 아파트 는 서울숲1/2차푸르지오아파트이다. 4. 한강공원 금호나들목 주변 (오른쪽에 보이는 고가도로는 강변북로) 5. 무쇠막 금호스포츠센터 남쪽에는 무쇠막 표석과 안내문이 있다. 무쇠막은 금호동의 옛 이름으로 이곳에는 조 선 때 주철을 녹여 무쇠솥과 농기구 ..

1. 중랑천에 걸린 응봉교 서울 장안에서 개나리로 제일 유명한 곳은 응봉산이 아닐까 싶다. 이번 응봉산 나들이는 응봉교에서 시작했는데, 응봉교는 왕십리, 응봉4거리에서 서울숲, 성수대교를 잇는 다리로 차량의 통행이 무지하 게 많아 툭하면 버벅거리는 모습을 보인다. 나도 저 다리의 신세를 무지하게 많이 졌는데, 건너다닌 횟수도 아마 1,000번은 거뜬히 넘을 것이다. 2. 응봉교 남쪽 중랑천 산책로에서 바라본 응봉산 응봉산에는 봄이 질러놓은 개나리의 향연이 한참 펼쳐지고 있었다. 개나리의 향연은 이르면 3월 하 순, 보통은 4월 초에 시작되어 4월 중순이면 끝이 나는데, 이때가 되면 산 상당수가 개나리로 도배되 어 완전 노란색 세상이 되어 버린다. 3. 봄이 내려앉고 있는 응봉산 밑 중랑천 산책로 4. 개..

1. 마포 담담정터 표석 마포대교와 강변북로가 만나는 마포대교 북단, 그 남쪽에 가파른 언덕이 솟아있다. 마포대교 북단과 산천동 사이에 솟은 강변 언덕으로 빌라와 주거지가 가득 씌워져 있는데, 그 언덕 정상부에 벽산빌라 가 있다. 그 빌라 정문 서쪽에 담담정터를 알리는 표석이 우두커니 자리해 있다. 이곳에 둥지를 틀었던 담담정은 조선 세종 시절에 안평대군(세종의 3남)이 세운 정자이다. 그는 이곳 에 1만여 권의 책을 쌓아두고 그의 측근와 문신들에게 종종 시회를 베풀었는데, 세조(수양대군)가 집 권한 이후 신숙주가 접수하여 별장으로 삼았다. 이곳은 마포나루 남쪽 언덕으로 강쪽으로 각박한 벼랑이 펼쳐져 있어 나름 절경을 자아냈다. 또한 여 기서 바라보는 한강과 마포나루, 강 너머 풍경 조망이 일품이라 한강..

1. 동빙고동 은행나무 (남쪽 밑에서 바라본 모습) 주택들이 빼곡히 들어찬 동빙고동 산비탈에 490년 묵은 늙은 은행나무가 도도하게 자리해 있다. 경 의중앙선 전철을 타고 서빙고역~한남역 구간을 지날 때, 한강과 반대 방향(북쪽 방향)에 보이는 동빙 고동 산동네를 유심히 바라보면 주택들 사이로 큰 나무가 시야에 들어오는데, 그가 바로 동빙고동 은 행나무이다. 서울시 보호수의 작은 지위를 지니고 있는 그는 추정 나이 약 490살(1968년 보호수로 지정될 당시 추 정 나이가 430년), 높이 14m, 나무둘레 4.5m로 한강이 있는 남쪽을 바라보고 있다. 동네 사람들이 애지중지했던 나무로 지금도 동네 정자나무의 역할을 묵묵히 수행하고 있다. 2. 동빙고동 은행나무에서 바라본 좁은 천하 주택들로 가득한 동빙..

1. 염창산(증미산)에서 만난 작은 무덤 염창산 정상부 서쪽에 자리한 작은 무덤으로 남쪽을 바라보고 있다. 무덤 뒷쪽(북쪽)으로 한강이 있 고, 앞쪽으로 비록 수목에 가려지긴 했으나 강서구 지역이 펼쳐져 있어 자리 하나는 정말 좋아 보인 다. 무덤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모르겠으나 20세기 이후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며, 봉분 외에는 별 다 른 시설은 없지만 봉분 수풀이 그리 수북하지는 않아서 후손들이(또는 강서구청에서 염창공원 관리 차원에서) 계속 벌초를 하는듯 싶다. 2. 염창산 정상부 주변에 박혀있는 삼각점 3. 염창산 북쪽 자락 숲길 염창산은 해발 55.2m의 한강변 언덕이다. 예전 이름은 증산, 증미산으로 지금은 염창산과 증미산 두 이름이 같이 쓰인다. 조선 때 세곡선과 상선 등이 한강을 타고 양화..

1. 염창동 염창산(증미산) 서쪽 산길 염창동 한강변에 조그맣게 솟은 염창산은 해발 55.2m의 낮은 뫼이다. 예전 이름은 증산, 증미산으로 지금은 염창산과 증미산 두 이름이 같이 쓰인다. 조선 때 세곡선 등이 한강을 타고 양화나루와 마포나루, 노량진으로 들어왔는데, 염창산 구간에서 배 가 좌초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이때 파손된 배에서 흘러나온 쌀을 줍고자 산 주변에 사 람들이 모여 살았는데, 거기서 쌀을 줍는다는 뜻의 증미산이란 이름이 생겨났고 그것이 나중에 2글자 로 줄어서 증산이 되었다고 한다. 여기서 '증(拯)'은 건지다는 뜻으로 나중에 거듭된다는 뜻의 증(曾) 으로 갈렸다. 그러다가 산 밑에 소금창고(염창)가 생기면서 염창산이란 이름을 지니게 되었으며, 귀신바위와 이순 신 장군을 ..

1. 달맞이봉에서 바라본 동쪽 방향 부드러운 곡선을 보이며 흘러가는 다리는 강변북로 두모교이다. 차량으로 늘 가득한 두모교 너머로 서울숲과 한강, 성수대교, 성동구 동부 지역, 강남구, 송파구 지역이 시야에 들어온다. 2. 달맞이봉 정상 주변 옥수동과 금호동 경계에 자리한 달맞이봉은 한강변에 솟은 80.4m의 낮은 뒷동산이다. 호랑이가 담 배 맛을 알기 이전부터 지역 사람들이 여기서 달맞이를 했다고 해서 달맞이봉이란 이름을 지니게 되 었는데, 동쪽으로 응봉산과 이어져 있고, 북쪽은 응봉산의 일원인 매봉산과 금호산으로 이어진다. (산줄기는 이어져 있으나 그들 사이로 주거지와 도로가 닦여져 있음) 달맞이봉은 달맞이공원(달맞이근린공원)으로 살아가고 있는데, 산자락에 키 작은 나무와 개나리가 가득해 봄에는 응봉..

1. 달맞이봉(달맞이공원) 동쪽 산길 옥수역(3호선, 경의중앙선) 동쪽에는 달맞이봉이라 불리는 작은 봉우리가 살짝 누워있다. 그는 해발 80.4m의 낮은 뫼로 호랑이가 담배 맛을 알기 이전부터 지역 사람들이 여기서 달을 맞이했다고 해서 달맞이봉이란 이름을 지니게 되었다고 전한다. 달맞이 명소로 살아가던 이곳은 동쪽으로 응봉산, 북쪽으로 응봉산의 일원인 매봉산과 이어진다. 허 나 금호동 주택가과 신작로 개설로 산줄기는 끊겨져 있으며, 산 동쪽과 서쪽, 북쪽은 도시에 접해 있 고, 남쪽은 한강으로 막혀있어 도시 속에 외로운 작은 뒷동산이다. 산 자체는 달맞이공원(달맞이근린공원)으로 살아가고 있는데, 한강변에 자리한 공원 언덕으로 딱히 특별한 명소는 없다. 다만 한강 조망과 도심 야경 구경에 최적화되어 있고,..

1. 용양봉저정공원에서 바라본 동쪽 방향 바로 앞에 마크힐스아파트와 아크로리버하임아파트가 전방 시야를 가리며 가득 들어차 있 고, 그 너머로 한강과 서초구, 송파구 지역이 시야에 들어온다. (제2롯데월드도 희미하게 보임) 2. 용양봉저정공원에서 바라본 흑석동 지역과 서달산 국립서울현충원을 품은 서달산 너머로 관악산이 원근감을 보이며 고개를 들고 있다. 3. 용양봉저정공원에서 바라본 서쪽 방향 한강대교와 한강철교, 원효대교, 마포대교, 서강대교 등이 주렁주렁 걸려있는 한강을 위시 해 여의도와 용산구(원효로), 마포구 지역이 두 망막에 들어온다. 4. 용양봉저정공원에서 바라본 북쪽 방향 (한강과 용산구 지역) 5. 용양봉저정공원 하늘전망대 주변 6. 용양봉저정공원 안내도 7. 숲내음이 가득한 용양봉저정공원 ..

1. 용양봉저정공원 숲길 본동(노량진1동)에 위치한 용양봉저정 동쪽 언덕에 용양봉저정공원이 자리하고 있다. 용 양봉저정(용봉정) 동쪽에서 흑석동 아크로리버하임아파트(아파트 이름도 참 길다) 서쪽까 지 펼쳐진 작은 언덕으로 북쪽은 현충로와 한강과 맞닿아있고, 남쪽은 흑석동 주택가를 통 해 노량진고구동산과 이어진다. 이 언덕은 오랫동안 야산으로 방치되어 있었는데, 언덕 자락에는 집들이 여럿 둥지를 틀고 있었다. 동작구에서 '용양봉저정 일대 관광명소화' 정책을 추진하면서 조용히 살아가던 이 곳 야산을 공원으로 상큼하게 닦아 2021년 4월 30일 속세에 내놓았다. 이곳은 비록 작은 언덕이나 한강을 옆구리에 끼고 있고, 북쪽과 서북쪽, 동북쪽이 확 트여 있어 한강과 도심 야경 구경에 최적화되어 있다. 그러다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