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도봉산고양이의 여행공간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도봉산고양이의 여행공간

검색하기 폼
  • 전체글 보기 (1513) N
    • 여행, 역사정보 (3)
    • 추천 도서, 사이트 (1)
    • 서울 사진 답사기 (746) N
      • 서울 도심(북촌, 서촌, 인왕산, 중구) (165)
      • 부암동, 북악산, 백석동천 (68)
      • 성북구, 성북동 (26)
      • 북한산(은평,종로,성북,강북구) (53)
    • 본인 제작 여행답사기 모음집 (1)
    • 수도권 사진 답사기 (173)
      • 인천 (18)
      • 강화도(강화군) (36)
    • 강원도 사진 답사기 (86)
      • 강원도 영동(동해바다) (30)
    • 충청북도 사진 답사기 (53)
    • 충청남도 사진 답사기 (58)
    • 대전 사진 답사기 (14)
    • 세종시 사진 답사기 (6)
    • 전라북도 사진 답사기 (51)
    • 전라남도 사진 답사기 (64)
    • 광주 사진 답사기 (8)
    • 경상북도 사진 답사기 (52)
    • 대구 사진 답사기 (15)
    • 경상남도 사진 답사기 (56)
    • 부산 사진 답사기 (32)
    • 울산 사진 답사기 (15)
    • 제주도 사진 답사기 (55) N
    • 산동반도(산동성) 서진 답사기 (2)
    • 섬서성 사진 답사기 (3)
    • 맛집, 별미, 후식 (17)
    • 좋은글 (0)
      • 이쁜 그림,자연 (0)
      • 재밌는 것들 (0)
    • 노래, 음악 (0)
    • 신문, 뉴스 (0)
  • 방명록

한우물 (15)
한우물 옆에 자리한 조그만 암자, 호암산 불영암 (불영암 산신각, 석불, 돌탑)

1. 호암산 불영암호암산 서남쪽 봉우리 서쪽 밑이자 한우물 바로 옆에는 불영암이란 작은 암자가 둥지를 틀고 있다. 한우물을 든든한 후광으로 삼은 이곳은 해발 310m 정도로 서울에서 능히 열 손가락 안에 들 정도로 하늘과 가까운 절인데, 가파른 벼랑에 자리하여 속세를 향해 훤히 모습을 드러내고 있어 호압사나 시흥동 벽산아파트, 호암로에서도 확 눈에 띈다. 불영암의 내력에 대해서는 속시원한 정보가 없어 파악하긴 힘들지만 관악산과 호암산의 기운으로부터 서울을 지키고자 여기서 기도를 올리니 서울에 큰 화재가 일어나지 않았다고 한다. 하여 그런 것을 보면 오랫동안 승려의 기도 수행처로 쓰였던 듯 싶으며, 호암산성 서벽에 위치하고 있고, 조망도 우수하여 산성을 지키며 속세를 살폈던 망대의 역할도 했을 것이다.또한..

서울 사진 답사기 2025. 1. 27. 10:00
호암산 서남쪽 봉우리에 깃든 늙은 우물 유적, 호암산 한우물 (한우물전망대에서 바라본 천하)

1. 호암산 한우물 (북쪽 윗부분에서 바라본 모습)호암산(393m)의 서남쪽 봉우리 서쪽 밑에는 한우물이라 불리는 큰 우물이 있다. 한우물은 석구상과 더불어 호암산의 오랜 명물로 한우물이란 큰 우물을 뜻하는데, 천정(天井), 용복, 용초 등에 별칭도 지니고 있다. 산 정상부에 자리해 있고, 마땅한 수원이 없음에도 수분은 늘 넉넉한 편이며, 특히 가뭄 때도 물이 가득해 신비로움을 준다. 이 우물은 신라가 호암산성을 닦던 7~8세기에 조성된 것으로 여겨진다. 현재 우물 자리 밑에서 7~8세기 우물(못)의 흔적이 확인되었는데, 못의 규모는 동서 약 17.8m, 남북 약 13.6m, 깊이 약 2.5m였다. 이후 조선 때 서쪽으로 약간 자리를 옮겨 동서 22m, 남북 12m, 깊이 1.2m의 장방형 못(우물)을 ..

서울 사진 답사기 2025. 1. 26. 05:00
호암산 민주동산 주변과 호암산성 동벽터, 한우물전망대 (한우물전망대에서 바라본 천하)

1. 민주동산 깃대봉 주변에 있는 바위 호암산은 바위 뫼에 걸맞게 멋드러진 바위와 벼랑이 참 많다. 이 바위는 딱히 이름은 없으나 내 침침한 두 망막에는 돌고래 같은 입이 큰 동물처럼 보인다. 2. 민주동산 깃대봉 주변에서 바라본 칼바위능선 바로 앞에 펼쳐진 칼바위능선 너머로 관악산 산줄기가 시야에 들어온다. 3. 민주동산 깃대봉 주변에서 바라본 천하 (동북쪽 방향) 호암산 칼바위능선과 관악산, 그리고 그 사이에 넓게 둥지를 튼 서울대를 비롯해 관악구, 동작구, 강남 구, 서초구, 송파구, 강동구, 서울 도심부, 남산, 성동구, 광진구, 중랑구, 수락산, 불암산, 아차산, 구리 시, 남양주시 지역이 거침 없이 두 망막에 들어온다. 가는 날이 장날이라고 이날은 대기가 아주 청정해 조망의 품질은 완전 최상급..

서울 사진 답사기 2023. 9. 16. 01:13
호암산 신랑각시바위(사랑바위)의 훈훈한 뒷모습과 호암산성 서벽터, 건물터 <신랑각시바위 주변에서 바라본 천하>

1. 신랑각시바위의 뒷모습 앞쪽에 사람의 윗도리처럼 생긴 바위들이 신랑각시바위이다. 앞서 신랑각시바위전망대에서 바라본 모습과는 완전히 다른 모습으로 이곳(신랑각시바위 동쪽)에서 바위 옆구리와 윗도리로 접근이 가능 하다. 단 바위로 접근하는 길이 거의 벼랑이고 안전시설이 없기 때문에 통행에 주의가 필요하다. 2. 앞쪽(남쪽)을 바라보는 신랑각시바위 이렇게 보니 부부나 연인이 몸을 바짝 밀착한 채, 산 아래 세상을 바라보는 것 같다. (여자가 남자 다 리에 앉아있는 모습처럼 보이기도 함) 앞쪽에 머리통이 작은 바위는 여자, 뒷쪽에 있는 바위는 남자 같은데, 오랜 세월 저런 걸쭉한 작품을 빚은 대자연 형님의 예술 솜씨에 실로 경탄스러울 따름이다. 3. 확대해서 바라본 신랑각시바위의 뒷통수 4. 가을 햇살을 즐..

서울 사진 답사기 2023. 9. 12. 01:00
호암산 서남쪽 산정에 깃든 제2한우물터와 건물터, 호암산성 동벽

1. 호암산 제2한우물터 (제2우물터) 호암산 서남쪽 봉우리 산정에는 제2한우물이라 불리는 우물 유적이 있다. 서쪽 밑에 있는 한우물과 함 께 호암산에 전하고 있는 2개의 우물 유적으로 밑에 있는 한우물을 제1한우물, 산정에 있는 이곳은 제 2한우물(또는 제2우물터)이라 부른다. 이곳은 길이 18.5m, 너비는 10m 이상, 추정 깊이 2m 정도에 직사각형 우물로 길이 50cm, 너비 35 cm, 높이 25cm 정도의 화강암을 '臣'자 모양으로 10단(높이 1.75m)으로 쌓았는데, 2번에 걸쳐 15cm 정도 물려 쌓은 형태가 확인되었다. 바닥 조성이나 석축 쌓기 방식, 석재의 크기와 모양 등이 한우물(제1한우물)과 비슷한데, 여기서는 '잉 벌내역지내말' 글씨가 깃든 늙은 청동제 숟가락이 나왔다. 고구려..

서울 사진 답사기 2023. 9. 5. 01:00
호암산성 북문터와 자연의 일부로 동화된 산성 북벽터 (북문터 주변)

1. 호암산성 북문터 한우물에서 북쪽(호암산 정상)으로 2분 남짓 가면 금줄이 둘러진 호암산성 북문터가 마중을 한다. 이곳은 석구상 바로 밑으로 호암산 서남쪽 능선길의 주요 길목인데, 여기가 북문터로 밝혀지기 이 전(2019년 이전)에는 나그네와 산꾼들이 무심히 밟고 지나갔었다. 허나 북문터로 뒤늦게 밝혀지면 서 산길로 살던 북문터 주변에 금줄을 둘러 통행을 통제하고 그 서쪽에 나무데크 우회 계단길을 내 었다. 호암산은 내 즐겨찾기 뫼의 하나로 1년에 여러 번씩 찾는 곳인데, 이곳도 200번 넘게 오갔음에도 여 기가 호암산성 성문터의 흔적임을 전혀 눈치를 채지 못했다. 분명 성터의 흔적들과 인공이 가해진 듯 한 돌의 무리들이 주변에 널려 있어 신호를 진하게 보냈음에도 말이다. 그런 것을 보면 내 내공이 ..

서울 사진 답사기 2023. 9. 3. 01:00
호암산 서남쪽 산정에 깃든 크고 오래된 우물, 한우물 (한우물전망대)

1. 호암산 한우물 호암산(393m)의 서남쪽 봉우리 정상부 서쪽 밑에 한우물이란 큰 우물 유적이 있다. 그는 석구상과 함께 호암산의 오랜 명물로 한우물이란 이름은 큰 우물을 뜻한다. 하여 천정, 용복, 용초 등 하늘과 용에 관련된 별칭을 지니고 있어 오랜 세월 속세에서 꽤 애지중지되었음을 알려준다. 이곳은 산 정상부 옆이라 마땅한 수원이 없음에도 물은 늘 넉넉하게 나오는데, 특히 가뭄 때도 물이 가득해 신비로움을 준다. 이 우물은 신라가 호암산성을 닦았다는 7~8세기에 조성된 것으로 여겨진다. 현재 우물 자리 밑에서 7~8세기 우물(못) 흔적이 나왔는데, 못의 규모는 동서 약 17.8m, 남북 약 13.6m, 깊이 약 2.5m였 다. 이후 조선 때 서쪽으로 약간 자리를 옮겨 동서 22m, 남북 12m,..

서울 사진 답사기 2023. 9. 2. 01:55
호암산 서남쪽 능선부에 깃든 불영암과 한우물 유적 (불영암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1. 칼바위 주변에서 바라본 호암산의 푸른 산줄기와 서울 시내 푸르른 초가을 하늘(이때가 9월 말이었음) 아래로 호암산 정상부와 북쪽 자락, 목골산, 관악구, 동작 구, 영등포구, 용산구, 마포구, 서울 도심부, 남산, 서대문구, 은평구, 그리고 저 멀리 북한산(삼각산) 과 수락산, 불암산, 노고산 산줄기까지 흔쾌히 두 망막에 들어온다. 이 날은 대기 상태가 아주 좋아서 조망의 질은 완전 최우수급이었다. 2. 온갖 돌탑들이 마중하는 불영암 앞길 (한우물 방향) 3. 돌탑거리를 이루고 있는 불영암 앞길 (칼바위, 벽산5단지 방향) 4. 불영암 석불과 소나무 한우물 옆구리에는 불영암이란 작은 암자가 둥지를 틀고 있다. 한우물을 든든한 후광으로 삼은 이곳 은 해발 310m 고지로 가파른 벼랑에 자리해 속세를 ..

서울 사진 답사기 2023. 9. 2. 00:11
금천구의 주산이자 달달한 뒷동산, 호암산 봄나들이 <호암산성, 석구상, 한우물, 제2한우물, 신랑각시바위>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서울 사진 답사기 2023. 5. 14. 08:43
호랑이해 기념) 호랑이를 닮은 서울에 숨겨진 명산, 호암산 (석구상, 한우물, 호암산성, 칼바위, 서울둘레길5코스)

~~~ 호랑이를 닮은 서울의 숨겨진 명산, 호암산 ~~~ (석구상, 한우물, 호암산성터, 칼바위) ▲ 한우물 조망대에서 바라본 서울시내 ▲ 호암산 한우물 ▲ 호암산폭포 천하를 접수한 가을이 늦가을로 점점 숙성되어 가던 10월의 한복판에 친한 후배와 호암산 을 찾았다. 호암산(虎巖山, 393m)은 삼성산(三聖山, 480m)의 일원으로 삼성산 서북쪽에 우뚝 솟아 있 다. 서울 금천구(衿川區)와 관악구, 경기도 안양시에 걸쳐있는 그는 산세(또는 산에 있는 바위의 모습)가 호랑이를 닮았다고 해서 호암산이란 좋은 이름을 지니게 되었는데, 옛 금 천 고을의 중심 산(主山)으로 금지산(衿芝山), 금주산(衿州山)이라 불 리기도 했다. 호랑이를 닮은 잘생긴 뫼이나 풍수지리적으로 활활 타오르는 모습의 관악산(冠岳山)과 함..

서울 사진 답사기 2022. 1. 17. 13:13
호암산 서남쪽 봉우리에 둘러진 호암산성터와 호암산의 오랜 명물 석구상 (호암산 서남쪽 능선길, 호암산성 북문터)

1. 호암산 정상 남쪽 암릉에서 바라본 호암산 서남쪽 능선 서울 서남쪽 끝으머리에 우뚝 솟은 호암산(393m)은 삼성산의 일원이다. 호랑이 모습의 바위산이라(또는 호랑이를 닮은 바 위가 있어서) 호암산이란 이름을 지니게 되었는데, 풍수지리적으로 관악산과 함께 서울을 위협하는 뫼로 인식되었다. 하여 호암산의 기운을 누르고자 비보풍수의 일환으로 정상 밑에 절을 짓고 호랑이를 누른다는 뜻에서 호압사라 했다. 사진 한복판에 우뚝 솟은 봉우리는 호암산의 서남쪽 봉우리로 바로 저곳에 호암산성터와 한우물, 석구상 등의 오래된 문화 유산과 칼바위, 신랑각시바위 등의 자연산 명소가 깃들여져 있다. 또한 호암산 정상부에서 서남쪽 봉우리로 이어지는 서남 쪽 능선길은 경사도 느긋한 부드러운 길로 중간에 암릉이 있긴 하나 그리..

서울 사진 답사기 2020. 9. 9. 01:29
해돋이와 일몰이 일품인 잘생긴 바위 산, 호암산 (호압사, 한우물, 호암산성터, 칼바위)

~~~ 호암산 늦가을 나들이 ~~~ ▲ 호암산 정상에서 바라본 천하 (서울 서남부) ▲ 호압사 8각9층석탑 ▲ 호암산 남쪽 봉우리 서울 시흥동과 독산동, 신림동, 경기도 안양시(석수동)에 걸쳐있는 호암산(虎巖山, 393m) 은 삼성산(三聖山, 480m)의 일원으로 삼성산 서북쪽에 자리한다. 호암산이란 이름은 산세 가 호랑이를 닮았다고 하여 유래된 것으로 옛 금천(衿川) 고을(현재 서울 금천구)의 주산 (主山)이라 금지산(衿芝山), 금주산(衿州山)이라 불리기도 했다. 때는 바야흐로 1394년, 고려를 뒤엎고 조선을 세운 태조 이성계(李成桂)가 개경(開京, 개 성)에서 서울(한양)로 도읍을 옮겼다. 서울에 와서 주변 지형을 살펴보니 글쎄 한강 남쪽 에 호랑이를 닮은 호암산과 이글이글 타오르는 불 모양의 관악..

서울 사진 답사기 2019. 12. 25. 17:32
이전 1 2 다음
이전 다음
최근에 올라온 글
글 보관함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TAG
  • 대웅전
  • 경남추천명소
  • 추천계곡
  • 서울도심추천명소
  • 추천바위
  • 추천사찰
  • 인왕산
  • 추천나무
  • 추천산
  • 추천조망
  • 충북추천명소
  • 추천숲길
  • 가을추천명소
  • 수도권추천명소
  • 서울추천명소
  • 충남추천명소
  • 전남추천명소
  • 추천한옥
  • 추천공원
  • 추천바다
  • 강원도추천명소
  • 경북추천명소
  • 북악산
  • 추천피서지
  • 추천산사
  • 봄추천명소
  • 겨울추천명소
  • 추천섬
  • 여름추천명소
  • 제주도추천명소
more
«   2025/08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

개인정보

  • 티스토리 홈
  • 포럼
  • 로그인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