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이봉창 의사 집터 효창동 용산KCC스위첸아파트 102동 뒷쪽에는 이봉창 집터를 알리는 표석이 있다. 이봉창은 이곳 에서 1931년까지 살다가 상해로 건너갔으며, 상해임시정부의 명을 받고 왜열도 동경으로 넘어갔다. 1932년 1월 8일 동경 요요키 연병장에서 관병식을 마치고 코쿄(황거, 왜왕과 그 떨거지들이 서식하 는 곳)로 돌아가던 왜왕에게 폭탄을 던져 왜왕 패거리를 살처분시키려고 했으나 아쉽게도 훈련 및 준비 부족으로 명중시키지 못하고 붙잡히면서 거사는 실패하고 만다. 그해 10월 왜국은 비공개 재판을 벌여 그에게 사형을 선고했으며, 며칠 뒤 형장의 이슬로 사라지고 만다. 그의 시신은 해방 이후 고국으로 돌아와 집 근처인 효창공원에 고이 안장되었다. 이봉창의 의거 이후, 이봉창 가족들은 왜정의 극..

1. 청파배다리터 청파배다리는 지금은 강제 생매장되어 사라진 만초천에 있던 배다리로 서울(한양) 도성에서 원효로, 청파동, 산천동으로 넘어가는 길목이다. 그 배다리는 어느 세월이 잡아갔는지 사라지고 없고, 청파동 3거리에 그를 알리는 표석이 세워져 있는데, 이곳이 그의 제자리는 아니며, 여기서 북쪽으로 300m 떨어진 경부선 철길에 있었는데, 그 철길은 물론 주변에도 표석을 심을 자리가 없어서 다소 거리가 있 는 이곳에 세운 것이다. (서울 장안에 세워진 역사문화유산 표석 중 제자리에서 떨어진 곳에 세워진 경우가 꽤 많음)

1. 후암동 전생서터 후암동 영락보린원 정문에는 전생서터를 알리는 표석이 누워있다. 먼 과거 속으로 사라진 전생서는 조선 때 왕실에서 각종 제사나 행사에 사용할 소(황우, 흑우)와 양, 염소, 돼지를 기르던 관아로 태조 때 설치되어 전구서라 했다. 전구서는 고려 때 비슷한 역할을 했던 장생서에서 이름만 바꾼 것으로 1460년에 전생서로 이름을 갈고 둔지방(후암동)으로 옮겼다. 여기서는 황우 3마리, 흑우 28마리, 양 60마리, 염소 14마리, 돼지 330마리를 항상 사육했다. 그리고 매년 왕실에 황우 3마리, 흑우 35마리, 양 57마리, 염소 14마리, 돼지 521마리를 공급했다. 제왕이 친히 참석하는 대제(종묘대제, 사직대제 등)에는 추가로 공급했으며, 별제향 또한 사용하는 양에 제 한을 두지 않았..

1. 후암동 김상옥 의사 항거터 주택들이 빽빽히 들어선 후암동 주택가(후암동 304번지) 한복판에 김상옥 의사의 항거터를 알리는 안내문이 있다. 김상옥(1889~1923)은 고약했던 왜정 시절, 야학을 설립해 청년들을 가르쳤고, 광복단 참여, 백영사 조직, 3.1운동 참여, 혁신단 활동, 암살단 조직 등 다양한 독립운동과 민중계몽운동을 펼친 위인이다. 암살단의 계획이 왜정에게 발각되자 서해바다를 건너 우리의 옛 땅인 상해(백제와 신라의 옛 영역) 로 넘어갔는데, 상해 지역에서 군자금 모집을 하다가 의열단에 가입, 폭탄과 권총을 지니고 1922년 12월 서울로 들어왔다. 1923년 1월 12일 밤, 그 악명 높은 종로경찰서에 폭탄을 던져 왜경 다수를 부상 입히고 후암동(왜정 때는 '삼판통'이라 불림)에 있..

1. 효창동 만리창터 표석 공덕동에서 원효로, 삼각지로 넘어가는 효창동 용마루고개에 만리창터를 알리는 표석이 있다. 만리 창은 공물로 받은 쌀과 베, 돈의 출납을 담당하고 관리하던 선혜청의 별창으로 황해도와 전라도의 공 납과 군납을 주로 관리했다. (만리창은 1894년 갑오개혁 때 폐지됨) 만리창은 새창, 신창이라 불리기도 했는데, 이들을 만리창계라 불렀으며, 정확한 위치에 대해서는 효 창공원 서남쪽에 있는 삼의사묘 앞과 청파초교 뒷산 중턱, 그리고 효창원(효창공원) 부근 철도사택, 도원동 접경 부근 새창마을로 보고 있다. 현재 표석(용마루공원 정류장 서쪽이자 도로 건널목 남쪽) 이 있는 곳은 도원동 새창마을 부근으로 표석을 세울 자리가 여의치 않아서 이곳에 세웠다.

1. 보광동 흥무대왕 김유신사당 보광동 오산중고등학교 동쪽 가파른 곳에 김유신 장군 사당이 둥지를 틀고 있다. 속세에서 이곳을 찾으려면 서빙고로에서 각박한 계단길을 올라가거나 리버빌아파트에서 계단을 이용해야 되는데, 사당은 아쉽게도 제사일(매년 음력 정월 초하루)과 김유신장군 사당 제향(보통 11월 중/하순에 하 고 있으며, 용산구청에서 지원하는 지역 행사로 자리를 잡음) 등 일부 날에만 들어갈 수 있다. (그 외에는 사당 정문인 용화문까지만 접근할 수 있음) 김유신 장군(595~673)은 신라 중기를 대표하는 장군으로 가락국(금관가야) 왕족 출신이다. 그는 백제와 고구려를 멸하고 신라 땅을 북쪽으로 만주, 요동까지 확장시켰으며, 당나라군도 토벌해 신 라를 반석 위에 올렸다. 그 공으로 사후 흥무대왕으로..

1. 동빙고동 은행나무 (남쪽 밑에서 바라본 모습) 주택들이 빼곡히 들어찬 동빙고동 산비탈에 490년 묵은 늙은 은행나무가 도도하게 자리해 있다. 경 의중앙선 전철을 타고 서빙고역~한남역 구간을 지날 때, 한강과 반대 방향(북쪽 방향)에 보이는 동빙 고동 산동네를 유심히 바라보면 주택들 사이로 큰 나무가 시야에 들어오는데, 그가 바로 동빙고동 은 행나무이다. 서울시 보호수의 작은 지위를 지니고 있는 그는 추정 나이 약 490살(1968년 보호수로 지정될 당시 추 정 나이가 430년), 높이 14m, 나무둘레 4.5m로 한강이 있는 남쪽을 바라보고 있다. 동네 사람들이 애지중지했던 나무로 지금도 동네 정자나무의 역할을 묵묵히 수행하고 있다. 2. 동빙고동 은행나무에서 바라본 좁은 천하 주택들로 가득한 동빙..

1. 동빙고 부군당 동빙고동 주택가 속에 자리한 동빙고 부군당은 조선 초기(14세기)에 세워졌다고 전한다. 동빙고 주 민들이 마을의 안녕과 국태민안을 기원하던 마을 제당으로 천하의 시조인 단군성조와 성비가 봉안 되어 있는데, 고약했던 왜정 시절에도 제사 전통을 유지했으며, 1945년 이후 뜻 있는 인사들이 사당 을 중수하고 사당 유지 비용을 담당하는 등, 그런데로 명맥을 유지했다. 그러다가 6.25시절 사당 일부가 총탄으로 파괴되었고, 탱화까지 분실되었으며, 윗당(동빙고동17번 지)이 건물 노후로 파손되자 아랫당(동빙고동 62번지)으로 제신을 옮겼다. 현재 부군당은 1992년 11월에 보수한 것으로 사당과 대문, 부속 건물을 지니고 있으며, 대지 39평, 건평 27평 규모이다. 매년 음력 정월 초하루에 ..

1. 서빙고동 부군당 반포대교 북단 서쪽인 서빙고동 주택가 속에 부군당이란 늙은 기와집 사당이 있다. 이곳은 서빙고 사람들이 마을 안녕과 수호를 위해 세운 제당으로 15세기 말~16세기 초에 지어졌는데, 처음에는 이곳 서쪽인 용산 미군 부대 자리에 있었다. 1910년대 초에 왜정이 그 자리에 훈련장을 만들면서 지금 자리로 강제로 옮겨졌으며, 1635년에 사당을 고쳐지은 내용을 머금은 기문과 1927년 중수기까지 잘 남아있어 이곳 부군당의 오랜 내력 을 알려준다. 부군당은 서울 지역에 많이 나타나는 마을 제당으로 제사를 지내는 제당과 제사를 준비하는 제물 청으로 이루어져 있다. 바깥에는 기와담장을 두르고 남쪽애 맞배지붕 대문을 두었는데, 제당은 1 칸짜리 맞배지붕 집으로 작은 크기이며, 내부에는 부군당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