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대구 수성못수성못은 수성구 두산동에 자리한 너른 호수이다. 이곳은 대구의 오랜 대표급 명소이자 상큼한 호수공원으로 이 좋은 곳과 오랫동안 인연이 닿지 않다가 근래 여름에 비로소 인연을 지었다. 하지만 수성못에 이른 시간은 햇님의 퇴근시간을 코앞에 둔 19시때라 수성못을 가볍게 반바퀴만 돌고 아쉽지만 동대구역으로 이동했다. 대구의 대표 호수공원으로 아주 바쁘게 사는 수성못은 1924년 9월에 만들기 시작해 1927년 4월 완성을 보았다. 지금은 수성구 지역이 거의 회색빛 도시로 변해버려 실감은 나지 않겠지만 예전에는 수성들이라 불리는 경작지가 넓게 펼쳐져 있었다. 수성들의 목마름을 해소해주는 농업용수는 주변을 흐르는 신천과 범어천에서 가져왔으며, 물은 늘 충분했다.허나 대구 지역 인구 증가로 인해 용..

제천 의림지~~~ 제천 의림지 ~~~ ▲ 남쪽에서 바라본 의림지 '못가에 휘늘어진 푸른 버들은봄에 오는 시름을 아는 듯꾀꼬리 서로 불러 마지않으니아서라, 이별의 슬픔을' '조선 순조 때 소녀 시인 김금원(金錦園)이 의림지에서 지은 시' 여름 제국이 조금씩 빈틈을 보이던 8월의 끝 무렵, 제천(堤川)의 대표 명소로 꼽히는 의 림지를 찾았다. 의림지는 10여 년 만에 방문으로 아침 일찍 청량리역에서 영동선 무궁화호를 타고 2시간 남짓 달려 제천역에 두 발을 내렸다. 여기서 세명대로 가는 제천시내버스를 타고 북쪽으 로 계속 직진하면 남북으로 길쭉한 제천..

1. 제천 의림지 2. 의림지 동쪽 둑방길 3. 의림지 남쪽 둑방길 4. 영호정 5. 영호정 주변 의림지 남쪽 둑방길 6. 솔내음이 나래를 펼치는 의림지 남쪽 둑방길 7. 의림지 8. 의림지 남쪽 둑방에서 모산동 들판으로 빠지는 수로와 소나무숲길 9. 의림지 남쪽 둑방 10. 의림지 표석 주변 둑방 소나무숲길 11. 의림지 표석(왼쪽)과 누워있는 나무 의자 12. 의림지 표석 주변에서 바라본 의림지 13. 의림지 서쪽 둑방길 14. 의림지 서쪽 둑방길에서 바라본 남쪽 둑방길 15. 경호루 16. 두 호수 사이를 지나는 의림지 서쪽 둑방길 17. 분수대가 율동을 부리고 있는 서쪽 호수 18. 의림지와 서쪽 호수 사이를 지나는 다리와 맞배지붕 문 19. 서쪽 둑방에서 바라본 의림지 2..

1. 청곡사 밑에 펼쳐진 신기소류지 진주 지역의 대표 고찰로 추앙을 받는 청곡사는 월아산(482m) 남쪽 자락에 둥지를 틀고 있다. 속세 에서 이곳을 찾으려면 진주시내버스 260번(한국국제대~진양호차고지), 261번(속사~진양호차고지) 을 타고 신기, 청곡사입구에서 내려서 20분 정도 걸어가면 되는데, 버스는 둘 다 합쳐서 30회 남짓 운행해 접근성도 그런데로 괜찮다. 청곡사입구에서 청곡사로 인도하는 길(월아산로1440번길)을 따라 12~13분 정도 올라가면 신기소류 지란 작은 호수가 마중을 한다. 그는 월아산 물을 먹고 자란 소류지로 그림 같은 풍경으로 청곡사를 찾아온 중생들의 마음에 돌을 던진다. 2. 월아산을 배경으로 삼은 청곡사 주차장 일반 차량은 여기서 바퀴를 접으면 된다. 이곳에서 청곡사까지는..
' 도심 속의 그림 같은 호수, 석촌호수 봄꽃 나들이 ' ▲ 석촌호수 동호 ▲ 석촌호수 산책로 ▲ 삼전도비 겨울 제국(帝國)이 드디어 저물고 봄꽃이 나래를 펼치는 4월이 되면(서울 기준) 천하 곳 곳에서 봄꽃을 내건 축제가 산발적으로 열려 사람들의 마음을 한층 들뜨게 한다. 굳이 축제가 아니더라도 '어느 봄꽃은 이곳이 유명하더라' 식으로 특정 꽃으로 존재감을 드러낸 봄꽃 명소도 적지 않다. 그중에는 잠실 남쪽에 있는 석촌호수가 있으니 그곳은 벚꽃 명소로 오랫동안 명성을 누리고 있다. 석촌호수는 굳이 벚꽃이 아니더라도 서울에 유일한 호수로 장안에 널리 알려진 존재이다. 본인도 그곳을 많이 찾아간 터라 너무 익숙해진 호수가 되어버렸는데, 정작 봄에는 가본 기억이 없어 흐드러지게 핀 벚꽃의 마지막이라도 붙잡고..
1. 의림지 한복판에 두둥실 떠있는 순주섬 2. 의림지 북쪽 둑방길에서 바라본 푸르른 의림지 3. 의림지 동쪽 둑방길에서 바라본 의림지 4. 우록정 의림지 동쪽 둑방에는 우록정이 자리해 있다. (서쪽 둑방에는 경호루, 남쪽 둑방에는 영호정이 있음) 의림지 축조설 중 우록 의 축조설이 있는데, 그는 돌봉재에서 살았다고 전하며 그의 유적으로는 우록당 옛터와 우물인 우록정, 그리고 가야금을 탔 다는 제비바위 등이 있다. 제천시는 2007년 의림지 명소화 사업으로 우록의 예술혼을 기리고자 의림지 동쪽 둑방에 6각형 정자를 짓고 우록정이라 했 다. 그렇다고 이곳이 우록당의 옛터는 아니다. 5. 우록정에서 바라본 의림지 6. 우록샘 표석 우록샘은 우록이 이용했다는 샘터이다. '조선환여승람'에는 우록정이 의림지 동북..
1. 제천 의림지 제천시내 북쪽인 모산동(의림지동)에 의림지가 넓게 누워있다. 의림지는 중/고등학교 국사책에도 절찬리에 등장하는 아주 오래된 저수지로 언제 지어졌는지는 귀신도 모르는 실정이나 원삼국시대(삼한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신라 진흥왕 시절에 충주에 머물던 우륵이 개울물을 막아 둑을 쌓아 만들었다는 이야기도 있으며, 13세기에 제천현감 박의 림이 크고 단단하게 새로 쌓았다는 이야기도 덧붙여 전한다. 세종실록에는 의림제라고 나오는데 그 시절 규모는 길이 530 척, 관수 면적이 400결이라 하며, 조선 세조 때 정인지가 체찰사로 이곳을 둘러보고 3도에서 병력 1,500명을 동원해 2차례 보수를 했다. 의림지를 조성한 이유는 바로 농업용수 확보 때문이다. 저수지를 닦고 주변으로 소나무,..
1. 청운사 앞 호제에 가득 핀 백련 김제 청운사는 전주 덕진공원과 함께 전북 지역의 대표 연꽃 성지로 꼽힌다. 이곳은 하얀 백련을 주로 다루고 있는데, 경내 에 있는 하소백련지와 절 입구에 펼쳐진 호제에 백련을 가득 심어 그야말로 백련의 조촐한 세상을 이루고 있다. 백련이 한참 물이 오르는 7월 말 정도에 하소백련축제를 열고 있는데, 교통편은 군산시내에서 군산시내버스 36, 37번이 합 쳐서 1시간 간격으로 절 입구를 오가며, 김제시내에서 김제시내버스 23번(김제역 경유)이 3회 정도 오간다. 그리고 익산시 내버스 13번과 17번(익산역 경유)이 1시간 정도 간격으로 오가며, 대청리 대신에서 내려 10여 분 걸으면 된다. 2. 드넓게 펼쳐진 호제, 그 저수지를 가득 메운 백련의 푸른+하얀 물결 3. 호..
' 괴산 산막이옛길 봄나들이 ' ▲ 등잔봉에서 바라본 신비로운 운해 ▲ 괴산호 ▲ 산막이옛길 봄이 한참 무르익어가던 4월의 한복판에 괴산(槐山) 지역 제일의 명소로 추앙을 받고 있 는 산막이옛길을 찾았다. 가는 날이 장날이라고 했던가? 산막이로 가는 그날은 공교롭게도 빗방울이 떨어졌다. 전 날까지는 마음이 싹 정화될 정도로 화창한 날씨였는데, 불과 하루만에 날씨가 안면을 바 꾼 것이다. 하여 비의 대한 불안감을 약간 품은 채, 아침 일찍 집을 나서 집결지인 신도 림역(1,2호선)으로 이동했다. 물론 우산은 챙겼다. 신도림역에서 일행들을 만나 관광버스 2대에 나눠 타고 동남쪽으로 길을 향했다. 구름이 당장이라도 비를 투하할 기세로 나를 쫓아왔는데, 안성(安城)을 지날 무렵, 비가 쏟아지 기 시작했다. 버스..
' 늦가을 서울 궁동 나들이 ' (궁동생태공원, 정선옹주묘역, 구로올레길) ▲ 구로올레길 (와룡산~지양산 구간) ▲ 정선옹주 묘역 ▲ 궁동생태공원 천하 제일의 대도시 서울에서 태어나고 서울에서 산지도 어언 30여 년이 넘었다. 남들보 다 일찍 지리(地理)와 역마살에 두 눈이 뜨면서 10대 시절부터 서울에 온갖 명소를 쑤시 고 다녔다. 그렇게 30년 가까이 다녔지만 서울에는 아직도 내 손길이 닿지 않은 미답처( 未踏處)가 수두룩해 나의 자존심을 적지 않게 긁어 놓는다. 늦가을이 절정에 치닫던 어느 평화로운 날, 미답처 사냥을 위해 서울 장안 서쪽 끝에 위 치한 궁동을 찾았다. 이곳은 아직 발을 들인 적이 없는 나에게는 신선한 곳이다. 궁동(宮洞)은 구로구(九老區)의 일원으로 동/서/북쪽이 와룡산(臥龍山)과..
~~~~~ 가을맞이 수리산 나들이 ~~~~~ ▲ 수리산 철쭉동산 (5월 군포철쭉축제) ▲ 수리산 둘레길 ▲ 수리산 수리사 이 땅의 최대 명절인 한가위(추석) 연휴 끝 무렵에 친한 후배와 군포 수리산(修理山)을 찾았다. 수리산에 대한 사람들의 찬양이 대단하여 얼마나 괜찮은 산인지 직접 확인하고 자 간 것이다. 햇님이 하늘 높이 걸려있던 14시 무렵, 금정역에서 그를 만나 서울 5623번 버스(군포공 영차고지↔여의도)를 타고 둔전초교에서 군포마을버스 3-1번으로 환승하여 수리산 입구 인 중앙도서관에서 두 발을 내렸다. 수리산 나들이는 여기서부터 막을 연다. ♠ 수리산(수리산 도립공원) 입문 ▲ 수리산 산림욕장 수리산은 인구 30만을 지닌 군포시(軍浦市)의 듬직한 진산(鎭山)으로 군포 북서쪽과 안양시( 安養市..
' 도심 속의 그림 같은 호수, 수원 서호 ' 지겨운 겨울이 저물고 봄이 완연히 내려앉던 4월의 첫 무렵, 수원에 자리한 그림 같은 호 수, 서호를 찾았다. 서호는 경부선 전철이나 열차를 타고 수원을 지날 때 차창 밖으로 본 것이 전부라 나에게는 아직 미답처(未踏處)나 다름이 없었다. 오후 3시, 화서역에서 후배를 만나 수원역 방향(남쪽)으로 조금 들어서니 봄나들이객들로 분주한 서호공원이 모습을 비춘다. ♠ 수원 도심 속의 호수, 서호 - 경기도 지방기념물 200호 ▲ 서호 북쪽길 (서호공원) 인구 120만을 지닌 경기도 제일의 큰 도시이자 행정 중심지인 수원(水原), 그 도심 북서쪽에는 물을 가득 머금은 서호가 은빛물결을 글썽이며 정처없는 나그네의 마음을 뒤흔든다. 경부선 전 철이나 열차를 타고 수원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