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남쪽 밑에서 바라본 회인 사직단보은군 회인면의 중심지인 중앙리 서쪽 산자락에 사직단이 깃들여져 있다. 사직단은 '사'와 '직'에게 제를 지내는 제단으로 조선 때 전국 고을에 설치되었는데, 고약했던 왜정 시절에 대부분 파괴되어 남아있는 것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충북 같은 경우는 오로지 이곳 회인만 살아남았다. 이곳 사직단이 언제 처음 닦여졌는지는 전하는 것이 없다. 다만 신증동국여지승람 회인현조에 '사직단은 고을 서쪽에 있다'는 기록이 있어 조선 초기에 세워진 것으로 보인다. 원래는 제단과 그에 딸린 건물들이 여럿 있었으나 이곳 역시 왜정의 고약한 손길로 인해 지금은 제단만 남아있다. 평탄한 대지에 한 변 길이가 5~6m 정도 되는 장방향 제단을 닦았으며, 왜정 시절에는 왜인들이 높이 1m의 방형 ..

1. 보은 오장환 생가보은군 회인면의 중심지인 중앙리 마을 북쪽 부분에 오장환의 생가와 문학관이 둥지를 틀고 있다. 오장환(1918~1951)은 보은 회인 출신의 시인으로 1918년에 아버지 오학근과 어머니 한학수 사이에서 4남4녀 중 3남으로 태어났다.그는 어린 시절 말이 별로 없는 조용한 성격이었다고 하며, 대신 귀염성과 진실한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회인공립보통학교에 들어가 3학년까지 다니다가 경기도 안성에 있는 안성공립보통학교로 전학을 갔으며, 그곳을 졸업하여 1931년 4월 서울 휘문고보에 입학했다. 휘문고보 시절에 옥천 출신인 시인 정지용에게 시를 배웠으며, 문예반 활동을 하면서 학교 교지인 '휘문' 편찬 작업에도 참여했다. 1933년 2월 발간된 '휘문' 임시호에 오장환의 첫 작품인 '아침'..

1. 회인면 중심지(중앙리)에서 바라본 매곡산회인면 중심지(중앙리) 동쪽에는 매곡산이란 낮은 뫼가 병풍처럼 둘러져 있다. 이곳에는 신라 후기 산성 유적으로 여겨지는 늙은 산성터가 있는데, 신라 후기에서 고려 초기까지 회인, 회남 일대를 관리했다는 매곡성 자리로 보고 있다. 허나 어디까지나 추정일 뿐이며, 이곳 산성의 자세한 정보는 전하는 것이 없다. 참고로 후삼국 시절 매곡성 성주는 '공직'이란 사람으로 그는 후백제 견훤(진훤) 정권에서 일하다가 나중에 고려로 넘어갔다. 그가 고려로 넘어가자 견훤이 너무 열받은 나머지 그의 자식들을 잡아와 그들의 다리 힘줄을 끊어놓았다고 한다. 2. 회인초등학교와 회인동헌내아 사이 골목길오른쪽(동쪽)에 있는 기와 담장 너머로 살짝 추녀를 보인 집이 회인동헌내아이다. 3...

1. 보은 회인 인산객사보은군 서쪽 부분에 자리한 회인면은 첩첩한 산주름에 푹 묻힌 산골 지역이다. 지금은 보은군 그늘에 있지만조선 후기까지 회인현이란 독자적인 고을로 중앙리가 그 중심지이다. (지금은 회인면의 중심지) 옛 회인 고을의 흔적으로 회인향교과 인산객사, 동헌내아, 사직단 등이 있으며, 중앙리 동쪽 산에는 매곡산성이라 불리는 늙은 산성터가 전한다. 중앙리 마을 한복판에 자리한 회인 인산객사는 회인고을의 객사이다. 객사 이름이 인산객사로 원래부터 그런 이름을 쓴 것인지 아니면 다른 고을에서 가져온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다.객사는 조정에서 나온 관리들의 숙식을 제공하고 제왕을 상징하는 궐패(전패)를 봉안하여 고을 수령과 관속들이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 배례를 올리던 관아 건물이다. 이곳 객사는 정면 ..

1. 충주 호암토성(충주토성) '가'지구 충주 시내 남쪽 끝자락에 위치한 호암지구에는 근래 복원, 재현된 호암토성이 있다. 여기서는 토성 외에도 다양한 시대의 무덤과 가마터가 쏟아져 나왔는데, 장대한 세월의 거친 흐름으로 모두 사라져 땅속에 묻힌 것을 2013~2014년 호암택지지구를 닦는 과정에서 다시 햇살을 보게 되었다. 이곳에서는 구석기시대 문화층 2개, 삼국시대 무덤 48기(석실묘 36기, 석곽묘 12기), 목탄가마 5기, 고려 토성, 고려 무덤 331기, 조선 기와가마 15기, 조선 무덤 1,074기가 나왔는데, 이를 통해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들이 호암동 지역에 살았음을 알려준다. 이렇듯 구석기시대부터 조선까지 다양한 시대 의 유적과 유물이 나와 충주 지역의 숨겨진 이야기를 많이 제공해주었지만 ..

1. 충주 호암토성(충주토성) 구석기시대 유적 안내문 충주 시내의 남쪽 끝자락인 호암지구에 자리한 호암토성은 최근에 발견되어 복원, 재현된 토성 유적 이다. 이곳에서는 토성 외에 다양한 시대의 무덤과 가마터가 쏟아져 나왔는데, 장대한 세월의 거친 흐름으로 모두 사라져 땅속에 묻혀있던 것을 2013~2014년 호암택지지구를 닦는 과정에서 다시 햇 살을 보게 되었다. 여기서는 구석기시대 문화층 2개, 삼국시대 무덤 48기(석실묘 36기, 석곽묘 12기), 목탄가마 5기, 고 려시대 토성, 고려 무덤 331기, 조선 기와가마 15기, 조선 무덤 1,074기가 나왔는데, 이를 통해 구석 기시대부터 사람들이 호암동 지역에 살았음을 알려준다. 이렇듯 구석기시대부터 조선까지 다양한 시 대의 유적과 유물이 나와 충주 ..

1. 창룡사로 인도하는 고든골길 충주 시내의 동쪽 뫼인 남산(금봉산) 서쪽 자락 280m 고지에 창룡사가 포근히 깃들여져 있다. 이곳 은 석종사 서쪽 산너머로 석종사로 이어지는 직동길에서 남산의 산주름 속으로 인도하는 고든골길을 따라 10여 분 올라가야 된다. 2. 푸른 숲에 감싸인 창룡사 가는 길(고든골길) 3. 석축 위에 높이 자리한 창룡사 경내 남산 서쪽 자락에 깃든 창룡사는 신라 문무왕 시절에 원효대사가 창건했다고 전한다. 원효는 충주 지 역을 지나다가 객주에서 하룻밤 머물렀는데, 꿈에서 푸른 용이 여의주를 물고 희롱하는 것을 보았다. 하여 그를 쫓아가다가 목이 너무 말라서 수분을 찾고자 주위를 두리번 거리다가 아리따운 처자를 만 났는데, 그녀가 표주박에 물을 떠주면서 '이곳이 참 좋지요' 그랬다..

1. 석종사 대웅전 앞계단 정연하게 펼쳐진 하얀 피부의 돌계단 끝에 석종사의 법당인 대웅전이 남산을 뒤에 두고 남쪽을 바라 보며 장엄하게 자리잡고 있다. 대웅전은 정면 5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외부 기둥 전부를 춘양목으로 만들었다. 대웅전 현 판과 주련은 서예가인 동강 조수호 선생이 쓴 것이며, 내부에는 석가3존상과 후불탱, 신중탱 등이 봉 안되어 있는데, 이들은 모두 인간문화재 지위를 지닌 장인들이 조성했다. 그만큼 석종사에서 크게 심 혈을 기울여서 만든 이곳의 최대 걸작품이다. 2. 대웅전에서 바라본 남쪽 방향 - 석종사 경내와 발치봉(550m) 대웅전에서 바라보는 남쪽 조망이 이곳의 백미로 꼽힌다. 비록 두 망막에 들어오는 것은 이게 전부이 지만 전통 방식으로 조성된 석종사의 가람 배치와..

1. 석종사 표석 충주 시내의 동쪽 지붕인 남산(금봉산, 635.6m) 남쪽 자락에 석종사란 절이 자리잡고 있다. 이곳은 화엄종을 내세운 화엄도량으로 남쪽으로 대향산(향로봉)을 바라보고 있는데, 이곳은 남극성과 북극 성 그리고 삼태육성이 대웅전 앞에서 한눈에 보이는 터이며 오청룡이 감싸고 있는 명당 자리로 명성 이 자자하다. 이곳에는 신라 후기에서 고려 초기에 창건된 것으로 전하는 죽장사란 절이 있었는데, 조선 후기까지 그런데로 법등을 유지했다. 허나 1870년에 충주목사 조경로가 이곳과 창룡사를 부셔버리고 거기서 나온 목재와 석재로 화재로 무너진 충주 관헌(청녕헌, 제금당)과 충주읍성 보수에 사용했다. 창룡사는 일부라도 남았으나 죽장사는 완전히 망해버렸는데, 왜정 때는 절터 일대가 모두 개인 소유 로 ..

1. 문의문화재단지 양반가옥 2. 양반가옥 안쪽에 자리한 사랑채와 안채 3. 양반가옥 사랑채 4. 양반가옥 가묘 5. 벽에 붙여진 부적 6. 청주 부강리 고가 7. 부강리 고가 안채 8. 부강리 고가 안채 툇마루 9. 뒷쪽에서 바라본 부강리 고가 10. 몸단장으로 몸을 가린 문의 문산관 11. 흑백사진에 담긴 문산관의 흑역사 12. 문산관 보수 공사에 투입된 기와들 13. 문의문화재단지 전망대로 인도하는 길 14. 문의문화재단지 전망대 15. 전망대에서 바라본 문의문화재단지 16. 전망대에서 바라본 문의문화재단지와 대청호 17. 전망대에서 바라본 노현리 고가(왼쪽 'ㄱ'자 집)와 옹기전수관(오른쪽 기와집) 18. 전망대에서 바라본 대청호미술관 주변과 대청호 19. 여막 20. 조병천의 시묘생활 모습 21..

1. 청주 문의문화재단지 전경 2. 문산리 돌다리 3. 청주 관정리 고가 4. 문의문화재단지 입구에 마련된 하트 포토존 5. 문의문화재단지 정문인 양성문 6. 돌탑들 7. 기자석 8. 문의면의 산하를 적지 않게 집어 삼킨 대청호 9. 대청호를 바라보고 선 초정 10. 서덕길 효자각 11. 고인돌 12. 청주 관정리 고가 13. 관정리 고가 장독대들 14. 관정리 고가 안채에 들어있는 가마 15. 초가 주막 16. 민화정 17. 민화정 현판 18. 문의문화재단지 문화유물전시관 19. 구석기 사람들의 두루봉동굴 생활 모습 20. 꽃을 사용했던 구석기 사람들의 장례 풍습 21. 오송읍 쌍청리 석불 22. 주역석 23. 태함 24. 옛 사람들의 큼직한 수저들 25. 고려, 조선시대 기와들 26. 괴산 외사리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