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관훈동 회화나무
온갖 키다리 건물로 즐비한 서울 도심의 한복판 종로구 관훈동, 그 관훈동 192-18번지에 400년 묵
은 늙은 회화나무 1그루가 교묘하게 숨바꼭질을 벌이고 있다.
그 나무가 있는 곳은 SK건설빌딩 동쪽으로 그 동쪽 구석에 조그만 공원이 있는데, 그 공원에 회화
나무가 자리해 일품 그늘을 드리운다. 서울 지리에 정통하고 서울에 안가본 곳이 거의 없다고 자부
하는 본인이지만 우연한 그의 발견은 그야말로 충격과 공포 그 자체였다. 즐겨찾기로 자주 찾는 종
로와 인사동 옆, 그것도 서울 도심부에 이런 구석이 있었다니 말이다.
나무 서쪽에 SK건설빌딩이 높이 솟아있고 북쪽과 동쪽, 남쪽에도 키다리 건물이 자리해 그를 완전
히 포위하고 있다. 특히 서쪽과 남쪽 건물은 회화나무보다 훨씬 커서 오히려 그들의 그늘 신세를 받
는다. 그러다 보니 회화나무 주변은 늘 그늘로 덮여있다.
이 회화나무는 추정 나이 400여 년, 높이 20m, 둘레 3m에 큰 덩치를 지녔다. 이렇게 오래된 나무
임에도 그 흔한 보호수 등급도 받지 못했는데, 나무 밑도리에는 난쟁이 반바지 접은 것보다 작은 키
작은 돌난간이 둘러져 나무를 지킨다. 하지만 주변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나무 그늘에서 담배를 많이
피워대서 나무 주변은 담배 냄새가 늘 지독하게 배여있다. 하여 늙은 나무의 건강을 위해서라도 금
연 장소로 정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16세기에 율곡 이이의 집이 이곳에 있었다고 한다. 승동교회 자리에도 그의 집이 있어서 그곳에 그
의 집터를 알리는 표석이 있는데, 이곳과 승동교회는 거리가 조금 떨어져 있다. 하여 두 곳 모두 이
이의 집이었는지 아니면 하나가 거짓인지는 잘 모르겠다.
조선왕조실록에서는 나무가 있는 자리를 '독녀혈'이라 하였는데, 독녀혈은 과부가 많이 나오는 '과부
골'을 뜻한다. 과부혈은 그렇게 좋은 자리는 아니지만 이율곡 같은 큰 인물이나 공공건물, 큰 회사의
빌딩에게는 아주 좋은 자리라고 한다.


2. 키다리 건물들 사이에서 정정함을 잃지 않은 관훈동 회화나무
이 나무는 막다른 곳이라 SK건설빌딩이 있는 서쪽에서만 접근해야 된다. 서울 도심에 별로 없는 400
년 이상 묵은 나무로 보호수 등급으로 지정해 적극 보호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오늘도 도시인들의 담
배 냄새로 고통받고 있는 관훈동 회화나무.

'서울 사진 답사기 > 서울 도심(북촌, 서촌, 인왕산, 중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뜨락에 있는 옛 종친부의 흔적들 <종친부터 우물, 소나무, 이승당터, 종친부 경근당과 옥첩당> (0) | 2024.10.24 |
---|---|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서울관) 뜨락에 있는 늙은 수목, 소격동 비술나무 (종친부터) (0) | 2024.10.23 |
인사동 한복판에 자리한 110년 묵은 늙은 교회, 승동교회 (3.1독립운동기념터, 이율곡선생집터) (0) | 2024.10.18 |
인사동거리에서 만난 박자혜 산파터 표석 (0) | 2024.10.18 |
1920년대에 지어진 천도교의 중심 교당, 왜정 시절 서울 장안 3대 건축물의 하나로 추앙을 받았던 경운동 천도교중앙대교당 (0) | 2024.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