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동검도 동북쪽 마을 갯벌 드넓은 갯벌 너머로 김포 서남부(양촌읍, 대곶면) 지역과 항산도, 세어도 등이 두 망막에 들어온다. 마 치 흑백사진 같은 검은 갯벌과 칼라사진 같은 갯벌 너머의 풍경이 적당히 어우러진 현장. 2. 동검도 동북쪽 마을에서 바라본 갯벌과 동그랑섬(오른쪽에 보이는 섬) 이름도 재밌고 귀여운 동그랑섬은 동검도에 속한 조그만 섬으로 동검도의 동쪽 끝을 잡고 있다. 숲동 산으로 이루어진 무인도로 생김새가 마치 동그란 모습, 노릇노릇 잘 구워진 동그랑땡 같은 모습이다. 그래서 동그랑섬이란 이름을 지니게 된 모양이다. 3. 두루미 월동지 안내문 동검도 동북쪽 마을 갯벌은 두루미의 최남단 월동지라고 한다. 겨울에는 10~20마리가 이곳을 찾아와 겨울을 보내고 북쪽으로 올라간다고 하며, 그로..

1. 동검도 동남쪽 마을 (동검선착장에서 바라본 모습) 동검도 동남쪽 해안에 자리한 마을로 펜션 여럿과 글램핑, 바다 낚시터를 지니고 있다. 이곳은 막다른 곳이라 왔던 길로 다시 나가야 되며, 여기까지 들어오는 대중교통이 없어서 동검도3거리 정류장(강화 군내버스 51번 경유)에서 20여 분 걸어가야 된다. 허나 섬이 작아서 도보 이동으로도 충분하다. 2. 동검선착장(동검항) 주변 갯벌 동검도 동남쪽 마을 직전에 자리한 동검선착장(동검항)은 동검도의 유일한 어항 겸 항구이다. 예전에 는 바깥 세계를 이어주는 여객선도 다녔으나 강화도에 연륙되면서 이제는 어선의 공간으로 살아가고 있으며 검은 모습을 드러낸 갯벌과 서해바다 너머로 세어도와 인천 서구, 영종도 지역이 시야에 들어 온다. 3. 동검선착장에서 바라본..

1. 동검도 동쪽에 자리한 동그랑섬 동검도3거리 정류장(강화군내버스 51번 정차)에서 동쪽 해안길(동검로63번길, 동검로65번길)을 따라 동검도 동남쪽 마을로 이동하면 동검도 서남쪽 마을이 끝나는 지점에서 바다 너머로 푸른 숲동산을 지 닌 조그만 섬이 눈에 아른거릴 것이다. 그가 바로 이름도 재미있는 동그랑섬이다. 동검도에 딸린 동그랑섬은 동서 180m, 남북 100m의 작은 무인섬으로 동검도에서 겨우 180m 떨어져 있다. 하여 썰물 때는 동검도와 갯벌로 이어지며, 밀물 때는 소금기 수분에 완전히 감싸여 섬의 모습을 보인다. 이곳은 동검도의 동쪽 끝으로 동그랑섬이란 귀여운 이름처럼 동그란 모습, 동그랑땡 같은 모습 을 지니고 있는데, 그런 연유로 동그랑섬이란 이름을 얻은 모양이다. 2. 갯벌에 몸을 기..

1. 동검도 동검북돈대 동검도의 상당수를 이루는 뒷산(산 이름은 없음) 정상부에 동검북돈대의 흔적이 깃들여져 있다. 이곳 은 1679년 조성된 것으로 선두리에 있는 후애돈대, 택지돈대와 함께 강화도와 동검도 주변 바다를 지 켰다. 19세기 말 이후, 돈대가 버려지면서 관리 소홀과 대자연의 오랜 태클로 무너져 지금은 흔적만 황량히 남아있는데, 남아있는 양이 많은 편이라 확인하는데 어려운 것은 없다. 다만 비지정문화재로 완전히 방치되어 있어 훼손의 위험이 우려되어 지방문화재나 강화군 향토유적으로 지정하여 적극 보존할 필 요가 있어 보인다. 2. 자연 속에 완전히 녹아든 동검북돈대 인간이 만든 피조물이 아무리 대단하다 한들, 대자연 형님 앞에서는 일개 모래성에 불과하다. 3. 동검북돈대에서 동검도 동북쪽 마을..

1. 동검도 서쪽 마을(큰마을)에서 바라본 서해바다와 장봉도 강화도 동남쪽 길상면에 자리한 동검도는 강화도에 딸린 작은 섬이다. 면적 1.61㎢, 해안선 길이 6.95 km로 옛날에 삼남지방에서 개경(고려시대)과 서울(조선시대)을 오가는 선박과 고려(또는 조선)와 중 원대륙을 오가는 상인과 관리, 사신들이 검문을 받아 통과하던 동쪽 검문소라는 뜻에서 동검도란 이름 을 지니게 되었다. (석모도 서쪽에는 서쪽 검문소를 뜻하는 서검도란 섬이 있음) 섬 중심에는 산지가 넓게 자리해 있으며, 산지를 중심으로 서쪽 해변과 동북쪽 해변, 동남쪽 해변에 마 을이 자리한다. 섬 북쪽에 강화도 선두리와 이어지는 연륙교가 있으며, 강화군내버스 51번이 강화터미 널에서 온수리, 동검도3거리(동검도 동북쪽 마을)를 경유해 동검..

1. 마니산 정수사 법당(대웅보전) 2. 사기리 탱자나무 3. 사기리 이건창생가 4. 겨울에 잠긴 정수사 숲길 (해안남로1258번길) 5. 정수사 법당(대웅보전) 6. 정수사 법당 꽃창살 7. 정수사 법당 툇마루 8. 정수사 법당 아미타3존상과 지장보살, 관세음보살상 9. 정수사 법당 칠성탱 10. 정수사 법당 지장시왕탱 11. 정수사 법당 현왕탱 12. 정수사 오백나한전 13. 정수사 샘터 14. 정수사 삼성각 15. 정수사에서 바라본 서해바다와 동검도 16. 정수사 함허대사 승탑 17. 사기리 분청사기요지(가마터) 18. 사기리 탱자나무 19. 사기리 탱자나무에서 바라본 길상산과 사기리, 선두리 들판 20. 이건창생가 21. 이건창생가 대문 (문간채) 22. 이건창생가 우물 23. 이건창생가 명미당 ..

1. 강화도 분오리돈대 강화도 본섬의 유일한 해수욕장(해변)인 동막해변 동쪽 언덕 정상부에 분오리돈대가 포근히 둥지를 틀고 있 다. 이곳은 강화도 본섬에서 가장 남쪽 끝으로 동/서/남 3면이 바다에 접한 벼랑이고 오로지 북쪽만 땅으로 이 어져 있는데, 북쪽 역시 경사가 있는 언덕이다. 분오리돈대는 1679년에 조성된 것으로 그때 강화유수인 윤이제가 함경도, 황해도, 강원도 3도의 승군 8,000 명과 어영군 4,300여 명을 동원해 80일 동안 쌓은 48개 돈대의 하나이다. 초지진을 보조하고 강화도 남쪽 해안을 지키는 중요한 곳으로 대포를 놓는 포좌 4곳과 톱니바퀴 모양으로 돌 출시킨 치첩 37개소가 있으며, 강화도의 다른 돈대들은 대부분 사각형이거나 원형인데 반해 자연 지형을 이 용한 탓에 거의 초승달..

1. 분오저수지 (강화나들길8코스) 선두리와 사기리 사이의 해안을 매립하여 경작지를 만들고 그 서쪽 부분에 분오저수지를 닦아 농업용수를 해 결했다. 분오저수지(화도면 사기리)는 남북 600여m, 동서 500여m의 너른 저수지로 이렇게 보니 거의 바다 같 은 모습인데, 저수지와 바다 사이에는 둑이 있고, 그 둑으로 강화나들길8코스가 지나간다. 2. 분오저수지와 서해바다 사이를 지나는 강화나들길8코스 둑길 수풀에 뒤덮힌 둑길 북쪽에는 분오저수지가 만수위로 배부른 모습을 보이고 있고, 남쪽에는 밀물 때를 만난 서해바다가 만수 상태로 가득 들어찼다. 그러다보니 분오저수지의 민물과 서해바다의 바닷물이 누가 더 배가 부른지 둑길을 사이에 두고 경쟁을 하는 것 같다. 3. 분오저수지 남쪽 서해바다 (분오항 방향) 4..

1. 선두포구어판장 주변에서 바라본 선두리 앞바다와 서해갯벌 (동쪽 방향) 서해갯벌 너머로 희미하게 모습을 드러낸 뫼는 동검도이다. 내가 저곳 입구(동검도연륙교)에서 시작하여 어 느덧 이곳에 이르렀으니 참 멀리도 왔다. 허나 아직도 길은 한참이다. 2. 선두포구어판장, 선두4리 선착장 앞바다 갯벌 드넓은 갯벌 사이로 작은 물줄기가 하천처럼 구불구불 이어져 있다. 하지만 이곳은 서해바다로 썰물 때라 바 다가 멀리 물러나서 그렇지 밀물 때가 되면 바다에 완전히 잠긴다. 3. 선두포구어판장 남쪽 강화나들길8코스 선두포구어판장을 지난 강화나들길8코스는 바다 갯벌을 매립하여 만든 선두리, 사기리 들판 남쪽 둑길을 따 라 분오저수지, 사기리로 이어진다. 4. 선두포구어판장 남쪽 강화나들길8코스에서 바라본 선두리 지..

1. 끝없이 이어진 선두리 서해갯벌 (강화나들길8코스) 이렇게 보니 너른 초원이나 사막을 보는 것 같다. 허나 현실은 바닷물이 들었다 놓는 서해갯벌이다. 2. 잡초가 무성한 선두리 해변과 갯벌 너머로 바라보이는 동검도 동검도 바로 코앞인 동검도 연륙교 북쪽에서 강화나들길8코스 나들이를 시작했는데, 어느덧 이만큼을 왔다. 허나 그날 나들이의 종점인 동막해변까지는 아직도 길이 한참이라 방심은 절대로 금물이다. 3. 해안 둑길을 따라 이어진 강화나들길8코스 (서쪽 방향) 4. 강화나들길8코스 해안 둑길에서 바라본 후애돈대 (남쪽에서 바라본 모습) 선두리 해변 언덕에 둥지를 튼 후애돈대는 1679년 강화유수 윤이제가 어명을 받아 강화도 일대에 조성한 49 개 돈대의 하나이다. 어영군 2,000명과 경기도, 충청..

1. 강화나들길8코스 택지돈대 서쪽 구간 강화나들길8코스 택지돈대 서쪽 구간은 해안 둑길을 따라 펼쳐진다. 둑길이 온전히 강화나들길이 되어주며 둑길 북쪽은 마을과 경작지, 수풀, 그리고 남쪽은 갯벌과 서해바다이다. 2, 강화나들길8코스 해안 둑길에서 바라본 동검도 검은 피부의 갯벌 너머로 푸른 산을 내민 곳이 동검도이다. 동검도는 선두리 앞바다에 떠있는 작은 뫼로 강화 도의 부속 섬인데 연륙교가 닦여져 다리로 편하게 오갈 수 있다. 3. 여러 민박집과 펜션들을 지나는 강화나들길8코스 선두리 해안 둑길 4. 끝없이 펼쳐진 선두리 서해 갯벌 마치 천하의 끝과 이어진 것 같은 아주 너른 갯벌이다. 지금은 썰물 때라 바다는 저 멀리 밀려났고, 땅을 가장 한 갯벌로 있지만 밀물 때가 되면 순식간에 바다에 잠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