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강화 계룡돈대 강화나들길16코스(서해황금들녘길)가 지나는 황청리 해안 언덕에 계룡돈대가 포근히 둥지를 들고 있다. 길이 30m, 너비 20m의 네모난 돈대로 높이는 3~5m 정도인데, 1679년에 강화유수 윤이제가 강화도 해안 방어를 목적으로 함경도(간도, 연해주 포함)와 황해도, 강원도에서 승군 8,000여 명과 어영군 4,300여 명을 동원해 80여 일 동안 만든 48개 돈대의 일원이다. (강화도에 전하는 돈대 상당 수는 이때 생겨남) 동벽 석축 하단에 '강희일십팔년사월일 경상도 군위어영'이란 글씨가 새겨져 있어 강화도 54개 돈대 중 유일하게 쌓은 시기를 알려주고 있는데, 고약했던 왜정 시절 돈대 상당수가 망가진 것을 1970년 대 이후 중수했으며, 돈대 내부는 관람이 가능하다. 2. 계룡돈대..

1. 망월돈대 남쪽 내가천 하류 고려산과 혈구산, 퇴모산이 나란히 빚은 내가천이 여기서 서해바다와 만난다. 바다와 접하는 하류까 지 검은 피부의 갯벌이 펼쳐져 있어 서해바다 특유의 감성을 돋구고 있으며, 바다 너머로 석모도의 북 쪽 지붕인 상주산이 시야에 들어온다. 그리고 강화나들길16코스(서해황금들녘길, 13.5km)는 이곳 하류를 지나 북쪽(망월돈대, 창후리)과 남쪽(계룡돈대, 외포리 방향)으로 흘러간다. 2. 구하리 들판에서 바라본 동쪽 방향 (고려산, 혈구산) 내가천 하류를 지나서 강화나들길16코스가 있는 해안길로 가지 않고 구하리 평야를 가로지르는 농로 를 이용했다. 강화나들길16코스가 신세를 지는 해안길 상태가 영 좋지 못하여 잡초가 오지게 무성했 기 때문이다. (난 반바지를 입고 갔었음) 3..

1. 강화 망월돈대 망월리 해안에는 강화도 돈대의 일원인 망월돈대가 있다. 1679년에 조성된 네모난 돈대로 가로 38 m, 세로 18m, 높이 2.5m 규모인데, 0.4~1.2m의 돌을 장방형으로 다듬어서 쌓았다. 돈대 북쪽에는 해안을 따라 길게 두룬 성곽의 흔적이 일부 있는데, 1232년에 고려가 개경에서 강화 도로 임시 천도하면서 해안 방어를 위해 만들었다고 전한다. 허나 확실한 것은 하나도 없으며, 고려 때 강화도가 이곳이 아닌 다른 곳(산동반도나 그 주변)이라는 뜻 있는 학자들의 의견도 많이 나오고 있다. 어쨌든 돈대 북쪽의 긴 성곽은 1618년 안찰사 심돈이 수리를 했으며, 1745년 강화유수 김시환이 중 수했는데, 성곽이 무지하게 길어서 '만리장성'이란 별칭도 지니고 있었다. 돈대 내부는 관..

1. 강화나들길16코스 창후리 구간 강화나들길16코스(서해황금들녘길)는 창후리 창후항에서 외포리까지 이어지는 13.5km의 도보길이 다. 해안길과 들녘길, 산길이 고루고루 섞여있으며, 무태돈대(창후항 북쪽 해안에 있음)와 망월돈대, 계룡돈대, 국수산, 망양돈대를 지난다. 이번 16코스 나들이는 창후리에서 망월돈대, 계룡돈대를 경유 해 황청리까지 이동했는데, 중심 메뉴는 무태돈대와 망월돈대, 계룡돈대이다. 2. 창후리 들녁을 지나는 강화나들길16코스 3. 창후리 들판 너머로 바라보이는 별립산(416m) 4. 수풀이 무성한 강화나들길16코스 강화도의 대표 둘레길인 강화나들길이 수도권의 유명 도보길로 각광을 받고 있지만 그렇다고 강화나 들길 전체가 그런 것은 아니다. 16코스 같은 경우는 나그네의 발길이 별로..

1. 강화도 무태돈대 교동도와 마주보고 있는 창후항 북쪽 해변에 무태돈대가 있다. 이곳은 강화도에 아주 흔한 돈대의 일 원으로 1679년 강화유수 윤이제가 강화도 해안 방어를 위해 간도와 연해주가 포함된 함경도와 황해 도, 강원도 3도에서 승군 8,000명과 어영군 4,300여 명을 동원하여 80여 일 동안 만든 48개 돈대의 하나이다. 무태돈대는 북쪽에 있는 인화보에서 관리했는데, 돈대 규모는 해안 쪽으로 긴 면이 44m, 짧은 면은 20m의 직사각형 형태이다. 돈대 안에는 대포를 두는 포좌 4문을 바다를 향해 설치했으나 어느 세월 이 잡아갔는지 사라졌으며, 돈대도 장대한 세월의 거친 흐름으로 많이 망가진 것을 근래 정비했다. 2. 무태돈대에서 바라본 교동도와 화개산 교동도는 교동대교가 개통되기 이전(..

1. 용흥궁 우물 (내전 옆) 철종의 잠저였던 용흥궁에는 2개의 늙은 우물이 있다. 지금은 죽은 우물로 주둥이가 모두 닫혀져 있으 며, 각각 내전(안채)과 외전(사랑채) 옆에 자리해 있다. 2. 용흥궁 별전터 별전은 어느 세월이 잡아갔는지 사라지고 허전하게 터만 남아있다. 3. 별전터에서 바라본 내전(왼쪽)과 외전(오른쪽) 4. 용흥궁 내전 행랑채 5. 내전 행랑채와 대문(대문간채와 내전을 이어주는 문) 6. 외전(사랑채)으로 인도하는 기와문 (내전 뒷쪽) 7. 용흥궁 뒷쪽 언덕 (용흥궁 후원) 용흥궁 경내 뒷쪽(북쪽)에는 나무가 무성한 언덕이 있다. 용흥궁에 딸린 후원으로 언덕 정상까지 계단 이 놓여져 있으며, 후원에 건물은 없다. 8. 나무가 무성한 용흥궁 후원 정상부 9. 용흥궁 후원에서 바깥을 이..

1. 용흥궁 잠저구기 비각 강화읍내에 자리한 용흥궁은 조선 25대 제왕인 철종(재위 1849~1863)이 어린 시절에 살던 곳이다. 그 렇다고 현재 기와집에서 그가 살았던 것은 아니며, 그의 집은 원래 조그만 초가였다. 1849년 헌종(재위 1834~1849)이 승하하자 순원왕후와 안동김씨 패거리들은 그들의 권력 유지를 위해 얼떨떨한 왕족을 물색하여 강화도에 살고 있던 이원범을 추대해 왕위에 앉혔다. 이원범은 전계대원군 의 3째 아들이자 사도세자(장헌세자)의 3세손으로 1844년 친형인 회평군 이명의 옥사로 가족들이 강화 도로 유배되어 아주 힘들게 살고 있었다. 1853년 강화유수 정기세가 철종이 살던 곳(잠저)임을 기리고자 그가 살던 초가를 밀고 기와집을 크게 지어 용흥궁이라 했으며, 1903년 청안군..

1. 동검도 동북쪽 마을 갯벌 드넓은 갯벌 너머로 김포 서남부(양촌읍, 대곶면) 지역과 항산도, 세어도 등이 두 망막에 들어온다. 마 치 흑백사진 같은 검은 갯벌과 칼라사진 같은 갯벌 너머의 풍경이 적당히 어우러진 현장. 2. 동검도 동북쪽 마을에서 바라본 갯벌과 동그랑섬(오른쪽에 보이는 섬) 이름도 재밌고 귀여운 동그랑섬은 동검도에 속한 조그만 섬으로 동검도의 동쪽 끝을 잡고 있다. 숲동 산으로 이루어진 무인도로 생김새가 마치 동그란 모습, 노릇노릇 잘 구워진 동그랑땡 같은 모습이다. 그래서 동그랑섬이란 이름을 지니게 된 모양이다. 3. 두루미 월동지 안내문 동검도 동북쪽 마을 갯벌은 두루미의 최남단 월동지라고 한다. 겨울에는 10~20마리가 이곳을 찾아와 겨울을 보내고 북쪽으로 올라간다고 하며, 그로..

1. 동검도 동남쪽 마을 (동검선착장에서 바라본 모습) 동검도 동남쪽 해안에 자리한 마을로 펜션 여럿과 글램핑, 바다 낚시터를 지니고 있다. 이곳은 막다른 곳이라 왔던 길로 다시 나가야 되며, 여기까지 들어오는 대중교통이 없어서 동검도3거리 정류장(강화 군내버스 51번 경유)에서 20여 분 걸어가야 된다. 허나 섬이 작아서 도보 이동으로도 충분하다. 2. 동검선착장(동검항) 주변 갯벌 동검도 동남쪽 마을 직전에 자리한 동검선착장(동검항)은 동검도의 유일한 어항 겸 항구이다. 예전에 는 바깥 세계를 이어주는 여객선도 다녔으나 강화도에 연륙되면서 이제는 어선의 공간으로 살아가고 있으며 검은 모습을 드러낸 갯벌과 서해바다 너머로 세어도와 인천 서구, 영종도 지역이 시야에 들어 온다. 3. 동검선착장에서 바라본..

1. 동검도 동쪽에 자리한 동그랑섬 동검도3거리 정류장(강화군내버스 51번 정차)에서 동쪽 해안길(동검로63번길, 동검로65번길)을 따라 동검도 동남쪽 마을로 이동하면 동검도 서남쪽 마을이 끝나는 지점에서 바다 너머로 푸른 숲동산을 지 닌 조그만 섬이 눈에 아른거릴 것이다. 그가 바로 이름도 재미있는 동그랑섬이다. 동검도에 딸린 동그랑섬은 동서 180m, 남북 100m의 작은 무인섬으로 동검도에서 겨우 180m 떨어져 있다. 하여 썰물 때는 동검도와 갯벌로 이어지며, 밀물 때는 소금기 수분에 완전히 감싸여 섬의 모습을 보인다. 이곳은 동검도의 동쪽 끝으로 동그랑섬이란 귀여운 이름처럼 동그란 모습, 동그랑땡 같은 모습 을 지니고 있는데, 그런 연유로 동그랑섬이란 이름을 얻은 모양이다. 2. 갯벌에 몸을 기..

1. 동검도 동검북돈대 동검도의 상당수를 이루는 뒷산(산 이름은 없음) 정상부에 동검북돈대의 흔적이 깃들여져 있다. 이곳 은 1679년 조성된 것으로 선두리에 있는 후애돈대, 택지돈대와 함께 강화도와 동검도 주변 바다를 지 켰다. 19세기 말 이후, 돈대가 버려지면서 관리 소홀과 대자연의 오랜 태클로 무너져 지금은 흔적만 황량히 남아있는데, 남아있는 양이 많은 편이라 확인하는데 어려운 것은 없다. 다만 비지정문화재로 완전히 방치되어 있어 훼손의 위험이 우려되어 지방문화재나 강화군 향토유적으로 지정하여 적극 보존할 필 요가 있어 보인다. 2. 자연 속에 완전히 녹아든 동검북돈대 인간이 만든 피조물이 아무리 대단하다 한들, 대자연 형님 앞에서는 일개 모래성에 불과하다. 3. 동검북돈대에서 동검도 동북쪽 마을..

1. 동검도 서쪽 마을(큰마을)에서 바라본 서해바다와 장봉도 강화도 동남쪽 길상면에 자리한 동검도는 강화도에 딸린 작은 섬이다. 면적 1.61㎢, 해안선 길이 6.95 km로 옛날에 삼남지방에서 개경(고려시대)과 서울(조선시대)을 오가는 선박과 고려(또는 조선)와 중 원대륙을 오가는 상인과 관리, 사신들이 검문을 받아 통과하던 동쪽 검문소라는 뜻에서 동검도란 이름 을 지니게 되었다. (석모도 서쪽에는 서쪽 검문소를 뜻하는 서검도란 섬이 있음) 섬 중심에는 산지가 넓게 자리해 있으며, 산지를 중심으로 서쪽 해변과 동북쪽 해변, 동남쪽 해변에 마 을이 자리한다. 섬 북쪽에 강화도 선두리와 이어지는 연륙교가 있으며, 강화군내버스 51번이 강화터미 널에서 온수리, 동검도3거리(동검도 동북쪽 마을)를 경유해 동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