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돌산 국기봉에서 바라본 부드러운 산세의 삼성산과 호암산(오른쪽 뫼)삼성산과 호암산이 부드러운 산세를 보이며 속세를 향해 푸른 옷을 늘어트린다. 사진 가운데 부분에 능선이 칼바위능선으로 그를 오르면 호암산 정상과 장군봉에 이르게 된다. 2. 돌산 국기봉에서 바라본 서울대와 관악산, 모자봉(오른쪽 뫼)관악산 밑에 넓게 펼쳐진 회색빛 도시는 이 땅의 1등 대학교라는 서울대학교이다. 서울대는 학교가 무지 넓어서 교내에서도 시내버스와 마을버스, 학교셔틀버스를 타고 이동하는 경우가 많다. 3. 돌산 국기봉에서 바라본 관악산과 모자봉, 삼성산(오른쪽 봉우리)관악산과 삼성산 사이에 작게 솟은 봉우리가 모자봉이다. 모자봉과 돌산은 삼성산의 일원이며, 호암산 역시 삼성산의 일원이다. 4. 태극기가 펄럭이는 돌산 ..

1. 신림동 관악산맨발공원금천구의 오랜 진산이자 상큼한 뒷동산인 호암산(393m)은 내 즐겨찾기 뫼의 일원이다. 그를 찾을 때 호압사입구나 벽산5단지, 삼성산성지에서 주로 접근을 했는데, 이번에는 간만에 돌산과 칼바위능선을 복습하고자 시야를 동쪽으로 조금 돌려 관악산역(신림역)에서 접근했다.관악산역을 나와서 180도 뒤로 돌아서 신림로3길 골목길을 들어서면 관악산맨발공원이 마중을 나오는데, 그곳에 호암산과 돌산, 칼바위능선으로 인도하는 산길이 있다. 관악산맨발공원은 암석원과 벚나무길, 잔디마당, 운동공간, 모래놀이터, 쉼터, 산책로, 지압로를 지닌 근린공원으로 지압로는 맨발로 거닐어야 된다. 그래서 맨발공원이란 이름을 지니게 되었다. 2. 관악산맨발공원에서 돌산, 칼바위능선으로 인도하는 산길이 산길은 돌..

1. 아차산 주능선 아차산3보루~아차산5보루 구간 (서울둘레길5코스)아차산4보루에서 아차산 주능선길(서울둘레길5코스, 깔딱고개~광나루역 4.6km)을 따라 남쪽으로 10여 분 가면 아차산 정상부를 이루는 아차산3보루에 이른다. 3보루를 지나면 아차산5보루까지 완만한 능선길이 펼쳐지는데, 능선길에 소나무 등 수목이 울창하며, 산길 좌우로 일품 조망이 따라다녀 두 망막을 제대로 호강시킨다. 2. 아차산5보루아차산5보루는 해발 267m 봉우리에 둥지를 튼 보루로 둘레 158m, 내부 면적은 1,818㎡ 정도이다. 봉우리를 활용해 보루를 다졌는데, 보루 성벽은 세월의 격한 흐름에 죄다 휩쓸려 사라지고 겨우 흔적 일부만 남은 실정이다. 북쪽 비탈면에 석축 일부가 남아있으나 보존을 위해 흙으로 덮었으며, 보루를 잡..

1. 아차산4보루 북쪽 치아차산4보루는 용마산과 망우산을 제외한 아차산 식구 보루 중 가장 북쪽에 자리해 있다. 잃어버린 땅을 제외한 우리나라(남한)의 고구려 성곽 유적 중 건물터와 성벽의 구조가 제대로 밝혀진 최초의 현장으로 의미가 아주 남다른 곳인데, 아차산~용마산~망우산 보루 중 거의 유일하게 성벽의 흔적이 조금 남아있었다.복원 이전 성벽의 최대 잔존 높이는 1.8m로 남벽과 동벽은 잘 다듬은 성돌을 이용한 탓에 그런데로 남아있었으나 북벽과 서벽은 훼손이 심해 남아있던 높이가 0.8m를 넘지 못했으며, 부정형의 석재를 사용해 조잡하게 축조되었다. 구리시가 4보루에 숨겨진 옛날 이야기를 풀고자 1997년부터 문화재청과 경기도의 도움을 받아 1998년까지 발굴조사를 벌였다. 하여 온돌과 배수로, 저수조..

1. 아차산 헬기장(제2헬기장)용마산5보루에서 용마산 북쪽 능선(아차산~용마산 주능선길)을 따라 남쪽으로 조금 가면 아차산 제2헬기장이라 불리는 너른 공터가 마중을 한다. 이곳은 해발 342m 고지로 아차산 일대에서 용마산 다음으로 높은 봉우리인데, 여기서 남쪽 길로 내려가면 아차산4보루를 3보루를 비롯한 아차산 구역으로, 서남쪽 길로 가면 용마산4보루와 용마산 정상부로 이어진다.서울둘레길5코스(깔딱고개~광나루역, 4.6km)가 이곳을 지나가며, 헬기장 주변으로 인공으로 다져진 석축 무리들이 있는데, 이들은 아차산 주능선을 따라 조성된 아차산장성의 흔적으로 여겨진다. 2. 'H'마크가 박힌 아차산 제2헬기장이곳은 아차산과 용마산, 망우산으로 이어지는 요충지이다. 보통 아차산에서 망우산 방향, 용마산에서 ..

1. 용마산5보루 북쪽 구간에서 바라본 천하 (동쪽 방향)나무들이 크게 수해를 이루며 녹음이 거세게 파도를 치는 망우산과 용마산, 아차산 동쪽 자락을 비롯해 구리시와 남양주시, 한강, 하남시, 강동구, 예봉산, 검단산 등이 거침없이 시야에 들어온다. 2. 용마산5보루깔딱고개에서 570계단을 올라 평평한 능선길을 조금 가면 용마산5보루가 깃든 너른 공간이 마중을 한다. 용마산5보루는 아차산~용마산 주능선이자 용마산 북쪽 능선인 해발 316m 고지에 자리한 보루터로 아차~용마~망우산 보루 식구 중 용마산3보루 다음으로 하늘과 가까운 곳이다. 이곳 보루는 둘레 약 132m. 내부 면적은 약 936㎡ 정도로 파악되고 있는데, 보루 북동쪽 비탈면에 성벽으로 여겨지는 석축 일부가 약간 드러나 있을 뿐, 대자연에 제..

1. 용마산 깔딱고개 북쪽 길 (서울둘레길4코스)깔딱고개는 이름 그대로 깔딱거릴 정도로 각박한 경사를 지닌 고개이다. 그렇다고 무지하게 험한 고개는 아니며, 용마산과 망우산 사이에 움푹 들어간 부분으로 면목동 사가정공원에서 올라갈 때 경사가 조금 있다. 하지만 그 거리는 짧아서 10~20분 정도면 충분히 고개 정상에 닿는다.이 고개는 망우산과 용마산 경계로 북쪽은 망우산과 망우역사문화공원, 남쪽은 570계단을 통해 용마산과 아차산, 서쪽은 사가정공원과 면목동, 그리고 동쪽은 시루봉으로 이어져 아차산 북부(용마산, 망우산)의 주요 요충지이다. 또한 서울둘레길4코스(화랑대역~깔딱고개, 7.7km)가 이 고개에서 서울둘레길5코스(깔딱고개~광나루역, 4.6km)로 간판을 바꾼다. 2. 깔딱고개 쉼터깔딱고개 쉼터..

1. 사가정공원에서 망우산, 깔딱고개로 올라가는 소나무숲길이번 망우산~아차산 나들이는 사가정공원(7호선 사가정역 4번출구에서 도보 10분 거리)에서 시작했다. 깔딱고개를 통해 망우산으로 들어서 망우산1보루를 복습하고 다시 깔딱고개로 내려와 용마산, 아차산 보루를 최대한 복습하기로 했는데, 사가정공원에서 깔딱고개로 올라가는 산길 중, 북쪽 산길을 택하면 이렇게 솔내음이 파도를 치는 소나무숲길을 누릴 수 있다. 2. 솔내음이 가득한 소나무숲길소나무들이 얼마나 무성한지 한낮임에도 거의 어두울 정도이다. 그만큼 소나무를 겯드린 산림욕 장소로 무지하게 좋다. 3. 사가정공원 소나무숲에서 망우산, 깔딱고개로 올라가는 산길 4. 망우산1보루사가정공원에서 깔딱고개까지는 깔딱고개란 이름 그대로 경사가 좀 각박하다. ..

' 호암산 봄맞이 나들이 '(약수사, 서울둘레길12코스, 호암산 정상) ▲ 호암산 ▲ 약수사 대웅전 ▲ 서울둘레길12코스 봄이 한참 익어가던 4월의 끝 무렵, 내 즐겨찾기 뫼의 일원인 호암산(虎巖山, 393m)을 찾았다.호암산은 무려 200번 이상 인연을 지으면서 그의 품을 정말 구석구석 누볐다. 마치 큰 나무를 쉼 없이 오르락 내리락하는 개미처럼 말이다. 하지만 북쪽 자락에 있는 약수사는 오랫동안 미답처(未踏處)로 버려두고 있었..

1. 호암산 2. 약수사 대웅전 3. 서울둘레길12코스 (삼성산성지 주변) 4. 약수사 앞 유채꽃밭 5. 밑에서 바라본 약수사 경내 6. 약수사 7층석탑 7. 약수사 중심부로 인도하는 돌계단길 8. 약수사 극락전 9. 약수사 극락전 내부 10. 약수사 의향각 11. 약수사 대웅전 12. 대웅전 석가여래삼존상과 석가모니후불도 13. 약수사 지장시왕도 14. 경내 뒤쪽 벼랑과 조그만 폭포 15. 약수사 산신각 16. 삼성각에서 바라본 작은 천하 (신림동과 관악구 지역) 17. 약수사에서 섭취한 부처님오신날 공양밥의 위엄 18. 호암산으로 인도하는 약수사 서쪽 담장길 19. 약수사 서쪽 숲길 (관악구 제2구민운동장 방향) 20. 관악구 제2구민운동장 옆 계곡(약수사계곡)과 그 너머로 바라보이는..

1. 인왕산 홍심약수터~개미마을 숲길 (개미마을 방향)인왕산 허리에 둘러진 8.4km의 인왕산둘레길은 홍제동 개미마을 윗쪽을 지나간다. 잠시 홍심약수터 때문에 둘레길을 벗어났다가 둘레길로 다시 들어가려던 중, 개미마을로 내려가는 숲길의 풍경이 너무 달달하여 그 숲길에 잠시 퐁당 빠져들었다. 2. 인왕산 홍심약수터~개미마을 숲길 (홍심약수터 방향) 3. 다시 인왕산둘레길로 (홍심약수터 남쪽 구간) 4. 개미마을 남쪽 산자락을 오르는 인왕산둘레길 5. 늦가을의 향연이 펼쳐지고 있는 인왕산둘레길 (개미마을 남쪽 산자락) 6. 인왕산둘레길 개미마을 남쪽 산자락 구간 7. 인왕산둘레길을 버리고 홍제역으로칼퇴근의 달인 햇님의 퇴근시간이 임박함에 따라 인왕산둘레길을 버리고 서쪽 산길을 통해 홍제역으로 길을 재..

1. 인왕산둘레길 용천약수터~홍심약수터 구간인왕산둘레길은 인왕산 허리에 둘러진 8.4km의 순환형 도보길이다. 부암동주민센터에서 시작된 이번 인왕산둘레길 산책은 인왕산 북쪽 끝을 지나 서대문구 홍제동 구역까지 들어왔는데, 햇님의 퇴근시간까지 최대한 가보기로 했다.인왕산둘레길은 세검정로 구간, 부암동 골목길, 창의문고개 구간, 인왕산길 호랑이상 교차로~한양도성 구간을 제외하고 모두 숲길이다. 2. 통행 편의를 위해 닦여진 나무데크 계단길 (용천약수터~홍심약수터 구간) 3. 가을과 늦가을 사이에 머물고 있는 나무들 (인왕산둘레길 용천약수터~홍심약수터 구간) 4. 늦가을의 향연이 빵빵 터지고 있는 상큼한 숲길 (인왕산둘레길) 5. 홍심약수터로 이어지는 숲길 (인왕산둘레길) 6. 인왕산 홍심약수터홍심약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