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신빈김씨묘역 홍살문화성시청 남쪽 산자락에는 세종의 후궁인 신빈김씨의 묘역이 있다. 남양 읍내와 화성시청에서 팔탄으로 넘어가는 시청로 동쪽 언덕에 자리해 있어 찾기는 무지 쉬운데, 묘역 앞에 붉은 피부의 홍살문이 있어 신빈김씨의 묘역을 알려준다. 신빈김씨는 청풍김씨 집안인 첨지중추원사 김원의 딸이다. 일찌감치 궁녀의 길을 걸어서 처음에 내자시에서 일했으며, 13살에 궁궐에 들어갔다. 그러다가 세종의 눈에 흔쾌히 들어 후궁이 되었으며, 1427년 계양군을 생산했다. 이후 세종과의 사이에서 무려 6남 2녀를 두면서 세종의 후궁 중 가장 많은 자녀를 생산했다. 하지만 후궁 소생의 한계와 소헌왕후(세종의 왕후) 심씨 소생의 왕자들이 많아서 그의 아들과 딸은 그 시절 흔한 조선 왕족의 일원으로 평범하게 살았다..

1. 한확 신도비를 머금은 신도비각옛 능내역에서 가까운 능내리 다산로(옛 6번 국도) 길가에 한확 신도비를 머금은 큰 비각이 있다. 신도비는 왕족과 2품 이상의 고위 관리의 무덤에만 쓸 수 있던 비싼 비석으로 보통 신도로 통한다는 무덤 동남쪽에 둔다. 이곳 역시 한확묘 동남쪽에 신도비를 세워 그 원칙을 지키고 있다. 비석의 주인공인 한확(1403~1456)은 청주한씨 집안이다. 조선은 시작부터 명나라 주씨왕조에 지극한 저자세를 취하며 우리의 장대한 역사와 고려의 너른 영역을 아주 대차게 말아먹었는데, 초반에는 이쁘장한 어린 여인을 뽑아 명나라에 공녀까지 보내는 크나큰 국치까지 보였다. 그 과정에서 한확의 큰누이가 공녀로 명나라 조정에 팔려갔는데, 운이 좋게도 명 태종의 후궁인 여비가 되었다. 그로 인해 ..

1. 화산군 이연 신도비 집들이 빽빽히 들어선 북가좌동 주택가 속에 화산군 신도비란 늙은 비석이 숨겨져 있다. 비석의 주인 공인 화산군 이연(1647~1702)은 조선 왕족으로 선조의 7남인 인성군의 손자이다. 그는 1661년 화산군에 봉해졌고, 오위도총부 부총관을 지냈는데, 1726년 오위도총부 도총관에 추증 되었으며, 1746년 '효간'이란 시호를 받았다. 1747년 화산군의 아들인 낙창군이 부친의 행적을 기록하고자 신도비를 세운 것으로 좌의정 송인명이 비문을 짓고, 화산군의 조카인 서평군 이요가 글씨를 썼으며, 낙창군이 전액을 썼다. 거북 머리 귀부와 비신, 옥개석(지붕돌)을 지닌 아주 잘생긴 비석으로 지붕돌은 팔작지붕 형태인데 용 마루에 이무기 2마리가 양 끝을 바라보고 있고, 팔작지붕 처마 끝에..

1. 시육신묘의 어느 묘표(묘비) 사육신묘의 사당인 의절사 뒷쪽 숲에 사육신의 무덤이 있다. 박팽년과 성삼문, 유응부, 이개의 무덤을 비롯해 1978년 성역화 사업 때 추가로 넣은 하위지, 유성원, 이개의 가묘 등 모두 7기의 무덤이 있는데, 주인을 잃은 묘표 1기가 더 있어서 무덤이 1기 더 있던 것으로 여겨진다. 허나 장대한 세월의 거친 흐름으로 비석 피부가 크게 깎이고 글씨도 싹 지워지면서 묘표의 주인을 알 수 없게 되었는데, 박팽년, 성삼문, 이개와 같이 처단된 성승(성삼문의 부친)의 묘로 의심하기도 한다. 허나 비석이 말 을 해주지 않으니 정답은 딱히 없는 실정이다. 2. 솔내음이 그윽한 사육신묘 소나무숲길 3. 사육신묘 문인석 홀을 쥐어든 문인석 2기가 사육신묘 주변에 자리해 있다. 자세한 사..
' 강동구의 북쪽 지붕, 고덕산 나들이 ' ▲ 광주이씨 광릉부원군파 묘역 봄이 아쉬움 속에 저물고 여름 제국이 서서히 이빨을 드러내던 5월의 끝 무렵, 강동구(江 東區) 암사동과 고덕동 지역을 찾았다. 선사시대 유적지의 성지(聖地)로 추앙을 받는 암사동(岩寺洞) 선사유적지(☞ 관련글 보러 가기)을 먼저 둘러보고 양지마을을 거쳐 고덕산으로 이동했다. 양지마을(양지말)은 암사3동에 자리한 시골 마을로 약 90호 정도가 살고 있다. 마을 북쪽 은 고덕산과 이어져 있고 남쪽과 동쪽, 서쪽은 밭과 주말농장 등의 경작지가 펼쳐져 있으 며 암사동 시내와도 거의 200~300m 정도 거리를 두고 있다. 마을 집들은 상당수 전원주택 스타일로 다들 아기자기하게 꾸며진 정원과 뜨락을 갖추고 있어 마을에 들어서면 마치 교 외..
1. 충숙공 이상길묘역 (벽진이씨 충숙공묘역) 한글고비로 유명한 이윤탁한글영비에서 남쪽으로 500여m를 가면 충숙근린공원과 함께 충숙공 이상길묘역이 모습을 드 러낸다. 이상길(1556~1637)은 벽진이씨 집안으로 자는 사우, 호는 동천, 만사이다. 성주에서 태어났으며, 1579년 진사시에 붙었 고, 1585년 문과에 급제하여 풍저창 직장에 제수되었다가 1588년 감찰로서 호조좌랑에 제수되었다. 1590년에는 사간원의 정언 겸 지제교가 되었는데, 정여립 반란 사건과 관련하여 최영경의 국문을 주청하였다가 최영경 의 도당에 의해 모함을 받아 이듬해에 고산 찰방으로 좌천되기도 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예조좌랑으로서 어 가를 호종하여 그 공으로 강원감사 종사관에 제수되었으며, 이후로 병조정랑, 익산..
1. 관악산의 품으로 (남현동 우림루미아트아파트 기점) 이번 관악산 나들이는 남현동 우림루미아트아파트에서 시작했다. 우림루미아트아파트와 남현한일유앤아이아파트(아파트 이름도 참 길고 난해하다;;) 사이로 관악산으로 인도하는 길이 있는데 그 길로 들어서면 효민공 이경직 묘역이 금세 모습을 드러낸다. 바로 그들을 보고자 이 코스로 길을 잡았다. 2. 화사한 꽃문이 마중을 하다. 저 꽃문을 들어서면 늦가을의 향연이 한참인 관악산의 품이 펼쳐진다. (조금만 들어가면 효민공 이경직 묘역이 나옴) 3. 늦가을에 잠긴 관악산 숲길 (효민공 이경직묘역 주변) 4. 효민공 이경직묘역 앞 숲길 오른쪽 철책 너머가 바로 효민공 이경직 묘역이다. 묘역 앞 숲길에는 쉼터 등이 닦여져 있는데, 이곳에서는 고려청자와 고 려백자의 파..
' 도봉산 봄나들이 ' ▲ 북한산둘레길 도봉옛길 (윗무수골) ▲ 능원사 용화전 ▲ 도봉사 도봉산(道峯山, 739.5m)이 뻔히 바라보이는 그의 포근한 그늘, 도봉구 도봉동(道峰洞)에서 15년이 넘게 서식하고 있지만 그에게 안긴 횟수는 의외로 매우 적다. 그가 집에서 멀면 모 르지만 버젓히 그의 밑에 살고 있음에도 이렇다. 그렇다고 내가 산을 싫어하거나 돌아다니 는 것을 싫어하는 것도 아니며, 도봉산에 대한 관심이 적은 것도 아니다. 그럼에도 이상하 게도 손과 발이 잘 가질 않았다. (도봉산 밑도리까지 포함하여 1년에 2~3번, 많으면 4~5번 정도 찾는 편임) 그래도 우리 동네의 듬직한 뒷동산이자 꿀단지 같은 존재인데, 가끔은 가줘야 도봉산도 서 운해 하지 않겠지? 하여 거의 1년 여 만에 그의 품을 찾..
' 서울 도심 속의 전원 마을 ~ 성북동 나들이 ' (최순우 옛집, 수연산방) ▲ 수연산방 사철나무 ▲ 최순우 옛집 뒷뜰에 있는 둥그런 탁자와 의자 ▲ 최순우 옛집에서 만난 조그만 맷돌과 석구(石臼, 돌통) ♠ 시민들이 지켜낸 시민문화유산 1호, 우리나라 고고미술에 평생을 바친 최순우(崔淳雨) 옛집 - 등록문화재 268호 가을이 한참 익어가던 10월의 끝 무렵, 후배 여인네와 나의 즐겨찾기의 하나인 성북동(城北洞 )을 찾았다. 햇님이 하늘 높이 걸려있던 오후 2시, 한성대입구역(4호선)에서 그를 만나 5번 출구를 나와서 성북동 방면으로 뚜벅뚜벅 걸었다. 그렇게 10분 정도를 가니 왼쪽 골목에 키다리 빌라와 주택 사이로 별천지처럼 들어앉은 기와집이 손짓을 보낸다. 그 집이 이 땅의 고미술 연구에 평생을 바..
' 늦가을 서울 궁동 나들이 ' (궁동생태공원, 정선옹주묘역, 구로올레길) ▲ 구로올레길 (와룡산~지양산 구간) ▲ 정선옹주 묘역 ▲ 궁동생태공원 천하 제일의 대도시 서울에서 태어나고 서울에서 산지도 어언 30여 년이 넘었다. 남들보 다 일찍 지리(地理)와 역마살에 두 눈이 뜨면서 10대 시절부터 서울에 온갖 명소를 쑤시 고 다녔다. 그렇게 30년 가까이 다녔지만 서울에는 아직도 내 손길이 닿지 않은 미답처( 未踏處)가 수두룩해 나의 자존심을 적지 않게 긁어 놓는다. 늦가을이 절정에 치닫던 어느 평화로운 날, 미답처 사냥을 위해 서울 장안 서쪽 끝에 위 치한 궁동을 찾았다. 이곳은 아직 발을 들인 적이 없는 나에게는 신선한 곳이다. 궁동(宮洞)은 구로구(九老區)의 일원으로 동/서/북쪽이 와룡산(臥龍山)과..
' 북한산둘레길 내시묘역길~마실길~구름정원길 나들이 ' ▲ 마실길에서 만난 은행나무숲길 ▲ 경천군 이해룡 사패지 송금비 ▲ 마실길 느티나무 여름이 막 기지개를 켜던 6월의 첫 무렵, 천하 둘레길의 성지(聖地)로 격하게 추앙받는 북한산둘레길을 찾았다. 이번 둘레길 산책은 북한산성입구에서 시작하여 내시묘역길, 마실길, 화의군묘역, 구름 정원길 북쪽 구간을 거쳐 불광2동에서 그 끝을 맺었다. 이미 여러 번 인연을 지은 곳이 지만 내 마음을 적지 않게 앗아간 곳 중 하나라 그 마음을 찾으러 다시 그들을 찾은 것 이다. 탐방밀도 1위(1㎢당 5만여 명)로 세계 기네스북에도 당당히 올라있는 북한산(삼각 산) 탐방객의 절반 정도가 둘레길 방문자라고 하니 그의 인기가 실로 어마어마하다. ♠ 북한산둘레길 내시묘역길 진관..
' 서울 강서구의 지붕을 거닐다. 개화산 나들이 (약사사) ' ▲ 약사사 3층석탑 ◀ 풍산심씨 심사손 묘 ▶ 약사사 석불입상 ▼ 개화산전망대에서 바라본 천하 여름이 봄을 밀어내고 천하를 한참 삼키던 6월의 첫 무렵, 친한 후배와 강서구의 상큼한 뒷동산인 개화산을 찾았다. 개화산은 서울 서쪽 끝에 자리한 산으로 서울 북쪽 끝으머리에 매달린 우리집(도봉동)에 서 꽤 먼 곳이다. 비록 같은 서울 하늘 밑에 있지만 서로가 끝과 끝이라 거리도 거의 40 km, 지하철로 가도 족히 1시간 반은 걸려 그곳에 가기도 전에 지쳐 쓰러질 지경이다. 그 러다보니 개화산을 비롯한 강서/양천 지역은 발이 잘안가게 된다. 개화산(開花山, 128m)은 개화동(開花洞)과 방화동(傍花洞)에 걸쳐있는 뫼로 거의 평지로 이루어진 강서구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