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제주 함덕해변(함덕해수욕장)제주 조천읍에서 2번째로 큰 동네인 함덕리에는 제주도의 유명 해변으로 격하게 추앙을 받는 함덕해변이 있다. 해변 동쪽에 서우봉(서모봉)이 있어서 함덕서우봉해변이란 별칭도 지니고 있는데, 바닷물이 무지하게 맑아 바다 속살이 훤히 보이며 물의 색깔도 아주 요염하여 에메랄드빛을 보인다. 해변 중심부 서쪽에는 바위섬이 있는데, 바위섬까지 구름다리가 달달하게 이어져 있으며, 해변 동쪽에는 서우봉(서모봉)이 자리해 바다와 어우러진 한폭의 그림 같은 풍경을 그려낸다. 피서의 성지는 물론 사계절 내내 사람들로 북새통을 이루며, 해변 주변으로 식당과 까페, 마트, 숙박업소들이 즐비해 해변 관광지로 꽤 바쁘게 산다.내가 함덕해변을 찾은 것은 제주도의 미답처 개척도 있지만 그 동쪽에 있는 서..

1. 소무의도 명사의해변소무의도 남쪽 해안에 명사의 해변이라 불리는 작은 해변이 있다. 소무의도의 해안 둘레길인 무의바다누리길의 6구간인 명사의 해변길이 이곳을 지나는데, 1960년대에 박정희 대통령이 휴양지로 삼았던 곳이다. 그는 가족들과 이곳을 종종 찾아와 휴양을 했으며, 그들의 편의를 위한 건물도 있었으나 지금은 없다.이후 군사구역으로 금지된 곳에 묶였다가 무의바다누리길이 닦이면서 속세에 해방되었는데, 대통령이 휴양을 즐겼던 곳이라서 이름 있는 사람이나 관리의 해변이란 뜻에서 '명사의 해변'이라 이름을 붙인 모양이다. 2. 작은 크기의 명사의 해변바다와 해변 모래, 자갈이 서로의 정을 속삭이며 끊임 없이 스킨쉽을 즐긴다. 해변의 크기가 작아서 가족 단위나 소수의 인원이 자리를 잡고 물놀이나 피서를 ..

1. 강화 계룡돈대 강화나들길16코스(서해황금들녘길)가 지나는 황청리 해안 언덕에 계룡돈대가 포근히 둥지를 들고 있다. 길이 30m, 너비 20m의 네모난 돈대로 높이는 3~5m 정도인데, 1679년에 강화유수 윤이제가 강화도 해안 방어를 목적으로 함경도(간도, 연해주 포함)와 황해도, 강원도에서 승군 8,000여 명과 어영군 4,300여 명을 동원해 80여 일 동안 만든 48개 돈대의 일원이다. (강화도에 전하는 돈대 상당 수는 이때 생겨남) 동벽 석축 하단에 '강희일십팔년사월일 경상도 군위어영'이란 글씨가 새겨져 있어 강화도 54개 돈대 중 유일하게 쌓은 시기를 알려주고 있는데, 고약했던 왜정 시절 돈대 상당수가 망가진 것을 1970년 대 이후 중수했으며, 돈대 내부는 관람이 가능하다. 2. 계룡돈대..

1. 강화나들길16코스 창후리 구간 강화나들길16코스(서해황금들녘길)는 창후리 창후항에서 외포리까지 이어지는 13.5km의 도보길이 다. 해안길과 들녘길, 산길이 고루고루 섞여있으며, 무태돈대(창후항 북쪽 해안에 있음)와 망월돈대, 계룡돈대, 국수산, 망양돈대를 지난다. 이번 16코스 나들이는 창후리에서 망월돈대, 계룡돈대를 경유 해 황청리까지 이동했는데, 중심 메뉴는 무태돈대와 망월돈대, 계룡돈대이다. 2. 창후리 들녁을 지나는 강화나들길16코스 3. 창후리 들판 너머로 바라보이는 별립산(416m) 4. 수풀이 무성한 강화나들길16코스 강화도의 대표 둘레길인 강화나들길이 수도권의 유명 도보길로 각광을 받고 있지만 그렇다고 강화나 들길 전체가 그런 것은 아니다. 16코스 같은 경우는 나그네의 발길이 별로..

1. 강화도 무태돈대 교동도와 마주보고 있는 창후항 북쪽 해변에 무태돈대가 있다. 이곳은 강화도에 아주 흔한 돈대의 일 원으로 1679년 강화유수 윤이제가 강화도 해안 방어를 위해 간도와 연해주가 포함된 함경도와 황해 도, 강원도 3도에서 승군 8,000명과 어영군 4,300여 명을 동원하여 80여 일 동안 만든 48개 돈대의 하나이다. 무태돈대는 북쪽에 있는 인화보에서 관리했는데, 돈대 규모는 해안 쪽으로 긴 면이 44m, 짧은 면은 20m의 직사각형 형태이다. 돈대 안에는 대포를 두는 포좌 4문을 바다를 향해 설치했으나 어느 세월 이 잡아갔는지 사라졌으며, 돈대도 장대한 세월의 거친 흐름으로 많이 망가진 것을 근래 정비했다. 2. 무태돈대에서 바라본 교동도와 화개산 교동도는 교동대교가 개통되기 이전(..

1. 사계리 들판에서 바라본 산방산의 위엄 산방산은 395m의 뫼로 그 유명한 산방굴사를 품고 있는 화산 출신의 바위 뫼이다. 사계리에서는 어 디서든 산방산이 장엄하게 바라보이는데, 저곳은 아직까지 미답처로 남아있다. 2. 사계리 들녘에서 바라본 단산(바굼미오름) 단산은 해발 158.1m의 낮은 뫼로 대정향교 뒷쪽에 자리한다. 화산 출신의 오름으로 산은 작지만 경 사가 다소 있고 벼랑이 많아서 오르기가 약간 힘들다고 한다. 3. 사계리 들녘길 (남쪽 방향) 4. 두툼한 모습의 산방산 산방산 서남쪽 사계리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산 자체가 거대한 요새처럼 단단하게 보이는데, 산 전체 가 국가 천연기념물의 지위를 누리고 있어서 산방산주차장~산방굴사 구간만 통행이 가능하다. 5. 사계항 대정읍 사계리에 자리한 ..

1. 강릉 주문진등대 강릉의 대표 미항으로 추앙을 받는 주문진항의 북쪽 높은 언덕에 하얀 피부의 주문진등대가 도도하게 자리해 푸르른 동대바다를 굽어보고 있다. 주문진등대는 1918년 3월 20일에 세워진 것으로 강원도의 첫 등대이다. 다른 지역에 비해 강원도 동 해안 지역은 등대가 늦게 뿌리를 내렸는데, 이는 강원도 동해안에 특별히 발달한 항구가 없었기 때문 이다. 그러다가 부산~원산 항로의 기항지로 여객선과 화물선이 바쁘게 오가면서 많은 항구들이 생겨 났고 그로 인해 등대도 정착을 했다. 백원형연와조로 닦여진 등대 등탑은 최대 직경 3m, 높이 10m로 외벽에는 하얀 피부의 석회 모르타르 가 칠해져 있다. 이런 벽돌식 구조의 등대는 이 땅 등대건축의 초기형에 해당되는 것으로 시대가 시대 인지라 왜식 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1. 저만치 멀어진 땅끝탑과 흑일도 2. 남해바다 너머로 보이는 어룡도, 소장구도, 대장구도 3. 남해바다 너머로 보이는 노화도, 넙도, 보길도 4. 서쪽으로 굽이친 땅끝 서쪽 댈기미 해변 5. 고깔섬과 그 너머로 보이는 어룡도, 소장구도, 대장구도 6. 갈두산 연리지 7. 연리지 주변에서 바라본 댈기미 해변과 고깔섬 8. 댈기미에서 댈기미잔등, 갈두산으로 오르는 계단길 9. 댈기미잔등 산길에서 바라본 땅끝전망대 10. 댈기미잔등 주변 갈두산 능선길 11. 갈두산 능선길 (땅끝전망대 방향) 12. 땅끝전망대 주차장 조망대에서 바라본 댈기미 해변 13. 갈두산 정상에 세워진 땅끝전망대 14. 땅끝전망대에서 바라본 흑일도(오른쪽)와 백일도(왼쪽), 동화도 15. 땅끝으로 향하는 노화도 여객선 16. 땅끝전망..

1. 해남 땅끝마을 2. 갈두산 땅끝전망대 3. 땅끝탑 앞바다 (남해바다) 4. 땅끝을 알리는 표석 5. 땅끝항에서 바라본 송호리 동부 지역 6. 땅끝항에 몸을 기댄 노화도행 여객선 7. 맴섬 (땅끝항 남쪽) 8. 땅끝 형제바위 9. 정자 쉼터에서 바라본 형제바위(왼쪽)와 맴섬, 땅끝항 10. 땅끝의 짧은 백사장 (땅끝마을 방풍림) 11. 땅끝 방풍림에서 바라본 흑일도 12. 저만치 멀어진 땅끝항, 그리고 바로 밑에 보이는 땅끝 백사장 13. 서로 교행하는 노화도와 땅끝행 여객선 14. 땅끝천년숲옛길 1코스 (땅끝탑 방향) 15. 바다 너머로 보이는 흑일도 16. 땅끝 나무데크 산책로 (땅끝탑 방향) 17. 땅끝 산책로 (문바위 부근) 18. 땅끝 산책로에서 바라본 흑일도와 백일도, 동화도 19. 땅끝 ..

1. 동검도 동북쪽 마을 갯벌 드넓은 갯벌 너머로 김포 서남부(양촌읍, 대곶면) 지역과 항산도, 세어도 등이 두 망막에 들어온다. 마 치 흑백사진 같은 검은 갯벌과 칼라사진 같은 갯벌 너머의 풍경이 적당히 어우러진 현장. 2. 동검도 동북쪽 마을에서 바라본 갯벌과 동그랑섬(오른쪽에 보이는 섬) 이름도 재밌고 귀여운 동그랑섬은 동검도에 속한 조그만 섬으로 동검도의 동쪽 끝을 잡고 있다. 숲동 산으로 이루어진 무인도로 생김새가 마치 동그란 모습, 노릇노릇 잘 구워진 동그랑땡 같은 모습이다. 그래서 동그랑섬이란 이름을 지니게 된 모양이다. 3. 두루미 월동지 안내문 동검도 동북쪽 마을 갯벌은 두루미의 최남단 월동지라고 한다. 겨울에는 10~20마리가 이곳을 찾아와 겨울을 보내고 북쪽으로 올라간다고 하며, 그로..

1. 동검도 동남쪽 마을 (동검선착장에서 바라본 모습) 동검도 동남쪽 해안에 자리한 마을로 펜션 여럿과 글램핑, 바다 낚시터를 지니고 있다. 이곳은 막다른 곳이라 왔던 길로 다시 나가야 되며, 여기까지 들어오는 대중교통이 없어서 동검도3거리 정류장(강화 군내버스 51번 경유)에서 20여 분 걸어가야 된다. 허나 섬이 작아서 도보 이동으로도 충분하다. 2. 동검선착장(동검항) 주변 갯벌 동검도 동남쪽 마을 직전에 자리한 동검선착장(동검항)은 동검도의 유일한 어항 겸 항구이다. 예전에 는 바깥 세계를 이어주는 여객선도 다녔으나 강화도에 연륙되면서 이제는 어선의 공간으로 살아가고 있으며 검은 모습을 드러낸 갯벌과 서해바다 너머로 세어도와 인천 서구, 영종도 지역이 시야에 들어 온다. 3. 동검선착장에서 바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