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도봉산고양이의 여행공간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도봉산고양이의 여행공간

검색하기 폼
  • 전체글 보기 (1415) N
    • 여행, 역사정보 (3)
    • 추천 도서, 사이트 (1)
    • 서울 사진 답사기 (702) N
      • 서울 도심(북촌, 서촌, 인왕산, 중구) (163)
      • 부암동, 북악산, 백석동천 (67)
      • 성북구, 성북동 (26)
      • 북한산(은평,종로,성북,강북구) (51)
    • 본인 제작 여행답사기 모음집 (1)
    • 수도권 사진 답사기 (162)
      • 인천 (17)
      • 강화도(강화군) (36)
    • 강원도 사진 답사기 (72)
      • 강원도 영동(동해바다) (18)
    • 충청북도 사진 답사기 (53)
    • 충청남도 사진 답사기 (52)
    • 대전 사진 답사기 (14)
    • 세종시 사진 답사기 (6)
    • 전라북도 사진 답사기 (51)
    • 전라남도 사진 답사기 (55)
    • 광주 사진 답사기 (8)
    • 경상북도 사진 답사기 (49)
    • 대구 사진 답사기 (15)
    • 경상남도 사진 답사기 (50) N
    • 부산 사진 답사기 (32)
    • 울산 사진 답사기 (15)
    • 제주도 사진 답사기 (53)
    • 산동반도(산동성) 서진 답사기 (2)
    • 섬서성 사진 답사기 (2)
    • 맛집, 별미, 후식 (15) N
    • 좋은글 (0)
      • 이쁜 그림,자연 (0)
      • 재밌는 것들 (0)
    • 노래, 음악 (0)
    • 신문, 뉴스 (0)
  • 방명록

흥천사극락보전 (5)
돈암동 흥천사에서 섭취한 공양밥의 위엄

작년(2023년) 석가탄신일(부처님오신날) 돈암동 흥천사에서 먹은 공양밥이다. 절 공양밥은 모두 비빔밥 스타일로 제공되는데, 콩나물과 무생채, 호박무침 등 여러 나물과 고추장을 넣어 비벼먹으면 되며, 보통 시원한 미역냉국을 같이 준다. (절밥은 비빔밥과 국수 2가지를 주로 취급하며, 후식은 떡과 과일, 사탕, 과자류,차, 커피를 주로 제공함) 흥천사 공양간은 2020년 이후에 새로 지어진 3층 건물 1층에 있다. (2층에 무량수전, 3층에 약사전이 들어있음) 석가탄신일에는 오후 2~3시 정도까지 공양밥을 제공하는데, 공양간에 들어가서 밥을 받으면 된다. 사람이 몰릴 경우 일찍 마감되는 경우가 있으니 가급적 오후 1시 이전에 가는 것이 좋으며, 예전에는 떡도 주었으나 작년에는 밥과 미역냉국만 주었다. 석가..

맛집, 별미, 후식 2024. 5. 12. 00:30
정릉 지킴이로 지어진 조선왕실 최초의 원찰, 돈암동 흥천사 (흥천사 극락보전, 명부전)

' 도심과 가까운 고즈넉한 산사, 돈암동 흥천사 ' ▲ 흥천사 전경 흥겨운 석가탄신일(부처님오신날, 4월 초파일)을 며칠 앞둔 어느 평화로운 봄날, 돈암동 (敦岩洞) 흥천사를 찾았다. 돈암동 산자락에 깃든 흥천사는 내 즐겨찾기 명소의 하나로 이미 20번 이상 발을 들였다. 첫 인연이었던 1990년대 초에는 소장 지정문화재가 2개(극락보전, 명부전)에 불과했으나 조선 중/후기 탱화와 불상, 보살상을 많이 지니고 있다보니 나날이 지정문화재가 늘어나 이제는 국가 보물 1점, 등록문화재 1점을 포함해 무려 20점 이상을 간직하게 되었다. 하여 지정문화재가 새로 생겼다는 풍문을 전해 들을 때마다 그것을 확인하러 왔고, 석가 탄신일에도 여러 번 찾아가 그곳의 후한 초파일 인심(공양밥, 떡 공양)을 누리기도 했다. ..

서울 사진 답사기 2021. 3. 6. 00:49
흥천사 극락보전 (연화대감로도, 도량신도, 천정 그림들, 목조여래좌상, 아미타불도, 만세루 현판)

1. 흥천사 연화대감로도 왜정 말기인 1939년에 그려진 감로도이다. 그 시절 생활모습은 물론 제2차 세계대전 같은 전쟁 장면까지 그려져 있어 기존 의 감로도와는 많이 다르다. 2. 도량신도 도량을 장엄하고 삼보의 도량을 지키는 신장을 그린 그림이다. 도량신은 화엄경 략찬게에 등장하는 화엄신 중 하나로 도량 의 더러움을 단죄한다고 한다. 도량신은 화면 상단의 삼곡병처럼 각이 진 흰색을 배경으로 하여 정면을 향해 앉아있다. 도량신 뒤쪽 좌우에는 산개와 당번 을 든 동자가 있으며, 정면 좌우에는 2명의 신장이 칼과 원형의 지물을 들고 중앙을 향해 서있다. 도량신은 단령의 붉은 관 복에 가슴과 허리에는 각각 각대를 차고 정면을 향해 앉아있는데, 세필로 얼굴의 입체감과 수염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점과 눈과 눈썹을..

서울 사진 답사기 2020. 7. 1. 18:50
흥천사의 보물 창고 극락보전 내부 (지장시왕도, 현왕도, 영친왕 현판, 신중도, 천룡도, 금동천수관음보살좌상, 극락구품도)

1. 흥천사 지장시왕도 이 그림은 1867년에 의운자우가 그렸다. 푸른 두광과 연두색 신광을 지닌 지장보살을 가운데 두고 그 좌우로 시왕과 명부 (저승)의 주요 식구들이 빼곡히 담겨져 있다. 19세기 후반 서울 지역 지장시왕도의 새로운 형식을 열었다는 그림으로 지장보살이 두 손으로 보주를 들고 있는 점, 그 밑 에 선악동자 2명이 지장보살의 석장을 대신 들고 있는 점이 기존의 지장시왕도와 다르다. 개운사 지장시왕도(1870년), 봉 국사 지장시왕도(1885년) 등이 바로 이것을 참조했으며, 점차 확대되어 19세기 후반 서울, 경기, 경상도에서 널리 유행했다. 안정된 구도와 홍색을 기반으로 녹색과 청색이 대비를 이루는 색채의 구사력, 세부 문양에서 볼 수 있는 섬세한 표현 등이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새로..

서울 사진 답사기 2020. 6. 30. 09:05
흥천사 명부전 석조지장삼존상과 시왕상, 시왕도, 괘불함, 극락보전과 용화전 (흥천사 목조여래좌상, 목조보살좌상)

1. 흥천사 명부전 석조지장삼존상 명부전의 주인인 지장보살상은 돌로 만들어 도금을 입힌 것으로 높이는 84.5cm이다. 그는 민머리의 성문비구형으로 상 체를 앞으로 조금 내밀고 오른손은 엄지와 중지를 맞대고 손바닥에 둥근 보주를 들고 있으며, 왼손은 편 상태로 무릎 위 에 자연스럽게 올려놓았다. 이런 제스쳐는 조선 후기 석불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수인이다. 각진 얼굴에 가늘게 뜬 눈, 콧등이 평평한 세모 코, 미소를 머금은 입, 길게 늘어진 두 귀를 지니고 있으며 목에는 삼도가 그어져 있다. 대의 안쪽에 편삼을 입고, 대의 자락이 오른쪽 어깨를 반달 모양으로 덮고 팔꿈치와 배를 지나 왼쪽 어깨로 넘어가고 있 으며, 왼쪽 어깨의 대의 자락은 수직으로 내려와 복부에서 편삼과 겹쳐져 있다. 이런 겹친 표현은 ..

서울 사진 답사기 2020. 6. 29. 17:02
이전 1 다음
이전 다음
최근에 올라온 글
글 보관함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TAG
  • 추천한옥
  • 추천계곡
  • 충남추천명소
  • 가을추천명소
  • 대웅전
  • 추천바위
  • 추천숲길
  • 추천공원
  • 충북추천명소
  • 추천조망
  • 북악산
  • 서울도심추천명소
  • 수도권추천명소
  • 여름추천명소
  • 경남추천명소
  • 경북추천명소
  • 추천나무
  • 추천산
  • 제주도추천명소
  • 서울추천명소
  • 강원도추천명소
  • 추천산사
  • 추천피서지
  • 추천사찰
  • 추천바다
  • 겨울추천명소
  • 봄추천명소
  • 인왕산
  • 추천섬
  • 전남추천명소
more
«   2025/05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