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0O07R/btsGBOeETgj/EJbZYODvAisCrzs1QRpPoK/img.jpg)
1. 푸른수목원 활엽수원 산책로 2. KB숲교육센터 유리온실 3. 2015년 KB숲교육센터 조성 기념으로 전 서울시장 박원순이 심은 소나무 4. KB숲교육센터 유리온실 내부 5. '아라우카리아'라 불리는 열대식물 6. 스코파리움호주매화(마누카) 7. 만지면 꽤 아플 것 같은 선인장 무리들 8. 푸른수목원 무궁화원 9. 무궁화원 부근에 닦여진 돌탑 10. 영국정원과 가로수 11. 야생화원 12. 구절초가 가득 깃든 야생화원 13. 야생화원의 풍경 하나 14. 프랑스정원(오른쪽)과 억새원(왼쪽) 15. 향기원 16. 항동철길 쪽문 방향 17. 푸른수목원 남쪽을 지나는 항동철길(오류선) 18. 항동철길역 19. 항동철길역 주변 20. 천왕산의 북쪽 틈을 지나는 항동철길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1bTLL/btsGEXgzUvP/GItzg5gSkX3UeVWoB5T0IK/img.jpg)
1. 푸른수목원 항동저수지 2. 항동철길(오류선) 3. 장미원 분수대 4. 푸른수목원 후문 5. 푸른수목원 장미원 6. 장미원 분수대 7. 더불어숲길 안내도 8. 장미원 남쪽이자 조망원 주변 산책로 9. 푸른수목원 항동저수지 수생식물원 10. 푸른수목원 항동저수지 11. 항동저수지 서쪽 산책로 12. 푸른수목원 항동저수지와 그 너머로 바라보이는 천왕산, 항동지구 13. 저수지와 습지식물원 사이 산책로 14. 참여정원의 평화로운 풍경 15. 푸른수목원에서 만난 붉은 단풍나무 16. 습지식물원 17. 야생화원과 계류원 주변 산책로 18. 계류원에 차려진 하얀 천막(국화정원) 19. 계류원 국화정원의 학 모양 분재 20. 국화정원 국화 21. 활엽수원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eillKW/btsGzYuFjai/akKk7bLNKye1ipQIb2Jgy1/img.jpg)
1. 중랑천 건너에서 바라본 응봉산 개나리동산 응봉산은 한강과 중랑천이 만나는 곳에 급하게 솟은 해발 95m의 뫼이다. 한강과 중랑천과 맞닿은 곳 은 각박한 바위 벼랑으로 이루어져 있고, 북쪽과 서쪽으로 남산과 매봉산으로 이어지는 산줄기가 펼 쳐져 있는데, 한강 조망 및 도심 야경, 그리고 개나리 동산으로 크게 추앙을 받는다. 특히 서울 장안의 대표적인 개나리 명소로 개나리 향연이 펼쳐지는 3월 말~4월 중순에는 사람들이 엄청나게 몰려들며 성동구는 이때를 맞춰 개나리 축제를 선보인다. 2. 노랗게 물들어가는 응봉산 응봉산은 주름진 바위 벼랑을 제외하면 상당수가 개나리로 덮여있다. 이곳이 개나리 명소가 된 것은 정말 별거 없다. 응봉산 토사가 자꾸 흘러내리자 그것을 막고자 개나리를 심었는데, 그것이 글쎄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urGLl/btsGw6FYxDN/ILlHl04kThlh0b6KlZAvuK/img.jpg)
1. 중랑천에 걸린 응봉교 서울 장안에서 개나리로 제일 유명한 곳은 응봉산이 아닐까 싶다. 이번 응봉산 나들이는 응봉교에서 시작했는데, 응봉교는 왕십리, 응봉4거리에서 서울숲, 성수대교를 잇는 다리로 차량의 통행이 무지하 게 많아 툭하면 버벅거리는 모습을 보인다. 나도 저 다리의 신세를 무지하게 많이 졌는데, 건너다닌 횟수도 아마 1,000번은 거뜬히 넘을 것이다. 2. 응봉교 남쪽 중랑천 산책로에서 바라본 응봉산 응봉산에는 봄이 질러놓은 개나리의 향연이 한참 펼쳐지고 있었다. 개나리의 향연은 이르면 3월 하 순, 보통은 4월 초에 시작되어 4월 중순이면 끝이 나는데, 이때가 되면 산 상당수가 개나리로 도배되 어 완전 노란색 세상이 되어 버린다. 3. 봄이 내려앉고 있는 응봉산 밑 중랑천 산책로 4. 개..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OcXns/btsGw3a1nc5/ejkmXuVp7RO3Rw3HmdY4t1/img.jpg)
1. 보성 구 벌교금융조합 보성군에서 2번째로 큰 고을인 벌교읍내에는 20세기 초/중기 근대 건축물이 여럿 전하고 있는데, 그 중에는 1918년에 왜인이 지은 벌교금융조합이 있다. 그것들이 이곳에 금융조합을 세운 것은 여기가 벌교읍내 번화가로 들어서는 첫 삼거리이기 때문이다. 유동인구가 많은 곳에 건물을 지었으니 이용 수요는 물론이요, 벌교읍내의 많은 돈이 이곳을 거쳐갔 다. 왜정 시절 흔히 쓰이던 관공서 스타일로 지금은 금융조합에서 물러나 금융조합전시관으로 조용히 살 아간다. 내부에는 벌교금융조합의 역사와 우리나라 화폐, 금융사를 간단히 다룬 전시관과 소설 태백 산맥 필사 체험장, 왜정 시절과 1950~60년대 옷 체험 공간이 있으며, 건물 조성시기부터 쓰였던 큰 금고가 남아있어 눈길을 끈다. 허나 아..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BYlZb/btsGwaVQCUx/CsJCQhwQW5pKerHO5PKHI1/img.jpg)
1. 계룡돈대 내부 강화나들길16코스(서해황금들녘길)가 지나는 황청리 해안 언덕에 계룡돈대가 둥지를 들고 있다. 길 이 30m, 너비 20m의 네모난 돈대로 높이는 3~5m 정도인데, 1679년 강화유수 윤이제가 강화도 해 안 방어를 목적으로 함경도(간도, 연해주 포함)와 황해도, 강원도에서 승군 8,000여 명과 어영군 4,300여 명을 동원해 80여일 동안 만든 48개 돈대의 일원이다. (강화도에 전하는 돈대 상당수는 이 때 생겨남) 동벽 석축 하단에 '강희일십팔년사월일 경상도 군위어영'이란 글씨가 새겨져 있어 강화도 54개 돈대 중 유일하게 쌓은 시기를 알려주고 있으며, 왜정 이후 돈대가 손상된 것을 근래 중수했다. 돈대 내부 는 관람이 가능하며, 서해바다가 있는 서쪽을 바라보고 있어 일몰 구경에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QC7a1/btsGyE2ptnR/LP3gHOcEqrMToRPNc3bEr1/img.jpg)
1. 강화 계룡돈대 강화나들길16코스(서해황금들녘길)가 지나는 황청리 해안 언덕에 계룡돈대가 포근히 둥지를 들고 있다. 길이 30m, 너비 20m의 네모난 돈대로 높이는 3~5m 정도인데, 1679년에 강화유수 윤이제가 강화도 해안 방어를 목적으로 함경도(간도, 연해주 포함)와 황해도, 강원도에서 승군 8,000여 명과 어영군 4,300여 명을 동원해 80여 일 동안 만든 48개 돈대의 일원이다. (강화도에 전하는 돈대 상당 수는 이때 생겨남) 동벽 석축 하단에 '강희일십팔년사월일 경상도 군위어영'이란 글씨가 새겨져 있어 강화도 54개 돈대 중 유일하게 쌓은 시기를 알려주고 있는데, 고약했던 왜정 시절 돈대 상당수가 망가진 것을 1970년 대 이후 중수했으며, 돈대 내부는 관람이 가능하다. 2. 계룡돈대..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mqK5N/btsGq8xswib/1K26yuwDkJ846obAiLn421/img.jpg)
1. 망월돈대 남쪽 내가천 하류 고려산과 혈구산, 퇴모산이 나란히 빚은 내가천이 여기서 서해바다와 만난다. 바다와 접하는 하류까 지 검은 피부의 갯벌이 펼쳐져 있어 서해바다 특유의 감성을 돋구고 있으며, 바다 너머로 석모도의 북 쪽 지붕인 상주산이 시야에 들어온다. 그리고 강화나들길16코스(서해황금들녘길, 13.5km)는 이곳 하류를 지나 북쪽(망월돈대, 창후리)과 남쪽(계룡돈대, 외포리 방향)으로 흘러간다. 2. 구하리 들판에서 바라본 동쪽 방향 (고려산, 혈구산) 내가천 하류를 지나서 강화나들길16코스가 있는 해안길로 가지 않고 구하리 평야를 가로지르는 농로 를 이용했다. 강화나들길16코스가 신세를 지는 해안길 상태가 영 좋지 못하여 잡초가 오지게 무성했 기 때문이다. (난 반바지를 입고 갔었음) 3..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hr3au/btsGq23PXx2/e8tjg32ORzKVO6IlExsbL0/img.jpg)
1. 강화 망월돈대 망월리 해안에는 강화도 돈대의 일원인 망월돈대가 있다. 1679년에 조성된 네모난 돈대로 가로 38 m, 세로 18m, 높이 2.5m 규모인데, 0.4~1.2m의 돌을 장방형으로 다듬어서 쌓았다. 돈대 북쪽에는 해안을 따라 길게 두룬 성곽의 흔적이 일부 있는데, 1232년에 고려가 개경에서 강화 도로 임시 천도하면서 해안 방어를 위해 만들었다고 전한다. 허나 확실한 것은 하나도 없으며, 고려 때 강화도가 이곳이 아닌 다른 곳(산동반도나 그 주변)이라는 뜻 있는 학자들의 의견도 많이 나오고 있다. 어쨌든 돈대 북쪽의 긴 성곽은 1618년 안찰사 심돈이 수리를 했으며, 1745년 강화유수 김시환이 중 수했는데, 성곽이 무지하게 길어서 '만리장성'이란 별칭도 지니고 있었다. 돈대 내부는 관..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phrrd/btsGq3Ip8lz/difoVsffV66oaBfHjfxhak/img.jpg)
1. 벌교읍 보성여관 보성군에서 2번째로 큰 동네인 벌교읍내에는 20세기 초/중기에 지어진 근대 건축물이 많이 남아있다. 그중에는 보성여관이란 왜식 건물이 있는데, 그는 1935년에 왜인이 지은 2층짜리 왜식 여관이다. 벌교는 낙안군(순천 낙안면)에 속한 작은 포구로 벌교포라 불렸는데, 1910년 이후 왜열도에서 사업가 와 자본가, 일반 서민들이 잔뜩 몰려와 서식했다. 그것들이 벌교에 군침을 흘린 것은 여자만을 낀 포 구와 육상교통의 중심지로 상업, 공업, 농업의 발전 가능성이 높은 곳이기 때문이다. 이후 경전선(삼 랑진~광주송정) 철로가 개통되면서 교통은 한층 좋아졌으며, 그로 인해 인구가 크게 늘어났다. 보성여관은 왜인과 돈 꽤나 주무르던 현지 사람들이 자주 이용하던 여관 겸 까페로 1층은 객실, 2..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zd0yH/btsGqIRYs43/3j0KfKhJnIlFFqGhX0Cvgk/img.jpg)
1. 강화나들길16코스 창후리 구간 강화나들길16코스(서해황금들녘길)는 창후리 창후항에서 외포리까지 이어지는 13.5km의 도보길이 다. 해안길과 들녘길, 산길이 고루고루 섞여있으며, 무태돈대(창후항 북쪽 해안에 있음)와 망월돈대, 계룡돈대, 국수산, 망양돈대를 지난다. 이번 16코스 나들이는 창후리에서 망월돈대, 계룡돈대를 경유 해 황청리까지 이동했는데, 중심 메뉴는 무태돈대와 망월돈대, 계룡돈대이다. 2. 창후리 들녁을 지나는 강화나들길16코스 3. 창후리 들판 너머로 바라보이는 별립산(416m) 4. 수풀이 무성한 강화나들길16코스 강화도의 대표 둘레길인 강화나들길이 수도권의 유명 도보길로 각광을 받고 있지만 그렇다고 강화나 들길 전체가 그런 것은 아니다. 16코스 같은 경우는 나그네의 발길이 별로..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c8UJN/btsGnECuPfh/DKT6HjOuyQIHjueqONUkT1/img.jpg)
1. 강화도 무태돈대 교동도와 마주보고 있는 창후항 북쪽 해변에 무태돈대가 있다. 이곳은 강화도에 아주 흔한 돈대의 일 원으로 1679년 강화유수 윤이제가 강화도 해안 방어를 위해 간도와 연해주가 포함된 함경도와 황해 도, 강원도 3도에서 승군 8,000명과 어영군 4,300여 명을 동원하여 80여 일 동안 만든 48개 돈대의 하나이다. 무태돈대는 북쪽에 있는 인화보에서 관리했는데, 돈대 규모는 해안 쪽으로 긴 면이 44m, 짧은 면은 20m의 직사각형 형태이다. 돈대 안에는 대포를 두는 포좌 4문을 바다를 향해 설치했으나 어느 세월 이 잡아갔는지 사라졌으며, 돈대도 장대한 세월의 거친 흐름으로 많이 망가진 것을 근래 정비했다. 2. 무태돈대에서 바라본 교동도와 화개산 교동도는 교동대교가 개통되기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