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남사당 바우덕이 사당 청룡사 부도군에서 동쪽으로 300m 떨어진 곳에 남사당 바우덕이의 사당이 있다. 안성 남사당패는 조선 후기에 꽤 잘나갔던 남사당 광대패로 바우덕이는 그 조직을 이끌었던 사람이다. 흥선대원군이 경복궁 공사를 크게 벌리던 시절, 바우덕이가 이끄는 안성 남사당패가 그곳을 찾아가 신명나게 공연을 펼쳤다. 그 공연에 감동을 먹은 흥선대원군은 그들에게 친히 정3품 벼슬이 사용하 던 옥관자를 수여했는데, 그것을 계기로 천하 남사당패 중에서 최고의 기량을 지닌 남사당패로 명성 을 누리게 된다. 안성 남사당패는 청룡사가 있던 청룡골이 근거지로 바우덕이도 여기서 기량을 익히고 몸을 풀었다. 그는 젊어서 사망했는데, 청룡사에서 서쪽으로 1.3km 떨어진 산자락에 묻혀 죽어서도 이곳을 떠나 지 않았..

1. 청룡사 봉향각 대웅전 옆구리에 자리한 봉향각은 'ㄱ' 구조의 팔작지붕 집으로 선방 및 요사로 살아가고 있다. 2. 청룡사 명부전 대웅전 옆구리에 자리한 명부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집으로 지장보살과 시왕 등 명부(저 승) 식구들의 공간이다. 3. 명부전 지장보살상과 지장시왕도 푸른색 승려 머리를 지닌 금동 피부의 지장보살상이 무독귀왕과 도명존자를 좌우에 거느리며 중생들 의 인사를 받는다. 그들 뒤로 화려한 색채의 지장시왕도가 후불탱으로 걸려있는데, 그는 1874년에 화 승 한봉 창엽과등삼 등이 조선 왕실의 지원을 받아 제작했다. 그때 석가여래삼불회도와 아미타여래회 도도 같이 조성되었다. 조성시기와 제작자, 봉안처가 분명한 탱화로 전체적인 도상과 설채법 등이 19세기 후반 서울 및 경기..

1. 청룡사 사천왕문(천왕문) 안성의 대표 명산인 서운산(548m)에는 석남사와 청룡사 2곳의 고찰이 깃들여져 있는데, 그중 청룡 사는 서운산 남쪽 자락에 둥지를 틀고 있다. 청룡사는 1265년 몽골 원나라에서 넘어온 명본국사가 창건하여 대장암이라 했다고 전한다. 1364년 나옹화상이 크게 중건했는데, 이때 청룡이 서기가 가득 서린 구름을 타고 내려오는 것을 보았다고 한 다. 하여 산 이름을 서운산, 절 이름을 청룡사로 갈았다. 과연 청룡이 구름을 타고 하강했는지는 모르 겠으나 1372년에 청룡사에서 간행한 능엄경이 전하고 있어 고려 후기에 창건된 것은 명확하다. 1597년 정유재란 때 파괴되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 중건하여 지금에 이른다. 경내에는 법당인 대웅전을 비롯해 관음전, 서별당, 청룡당, 종각..

1. 청룡사 사적비 청룡사 직전인 청룡마을회관앞 3거리에 청룡사의 빛바랜 일기장인 사적비가 있다. 2차선 도로(청룡 길) 한복판에 조금은 외롭게 자리해 있는데, 이는 도로 확장으로 그렇게 된 것이며, 길이 좁기 때문에 비석 접근과 관람에 그리 어려움은 없다. 이 비석은 1712년에 세워졌다. 비문 내용은 승려 나준이 지었고, 글은 직산현감을 지낸 황하민이 썼 으며, 사헌부지평 김진상이 전액을 썼다. 비문에는 고려 후기에 나옹화상이 이곳 절을 중창했을 때, 상서로운 구름을 타고 내려오는 청룡을 만난 인연으로 산과 절 이름을 서운산 청룡사라 했다는 것과 조선 숙종 시절에 대웅전을 비롯한 여러 건물을 중건한 사실 등이 담겨져 있다. 비좌 위에 빗돌을 세우고 지붕돌로 마무리를 지었는데, 지붕돌 귀퉁이마다 절의 ..

1. 경의선 도라산역 2. 도라산역과 통일아트 스페이스 현수막 3. 도라산평화공원 안내도 4. 도라산역 내부 5. 도라산역 남북출입사무소 6. 도라산역 내부 7. 통일의 피아노 8. 통일을 염원하는 온갖 포스터들 9. 도라산역 기공식 때 김대중 대통령 내외의 기념 서명이 담긴 침목 10. 침목에 쓰인 김대중 대통령 내외의 서명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시여' 11. 미국 부시 대통령의 기념 서명이 담긴 침목 12. 미국 부시가 남긴 친필 서명 13. 도라산전망대(도라전망대) 14. 도라산전망대에서 바라본 개성 동부 지역과 개성공단 방향 15. 도라산전망대에서 바라본 개성 남부 지역과 개성공단 방향 16. 도라산전망대에서 바라본 파주 장단면과 개성 남부 지역 17. 도라산전망대에서 바라본 파주 장단면 지역 (..

1. 도라산전망대에서 바라본 북녘 (휴전선과 개성 지역) 2. 장단역 증기기관차 3. 경의선 도라산역 4. 임진각 (임진각관광지) 5. 자유의다리에서 바라본 임진각 6. 임진각 옥상 무료전망대 (옥상 전망대) 7. 임진각 옥상 전망대에서 바라본 임진강 철교와 6.25때 끊긴 옛 임진강 철교 8. 임진각 옥상 전망대에서 바라본 자유의다리와 장단역 증기기관차 주변, 임진강 9. 임진각 옥상 전망대에서 바라본 망배단과 임진강, 파주시 장단면 지역(임진강 너머 지역) 10. 임진각 옥상 전망대에서 바라본 마정리 평야 (임진각 동남쪽) 11. 임진각 옥상 전망대에서 바라본 임진각 주차장과 바람의 언덕, 통일대교 12. 임진각 옥상 전망대에서 바라본 평화랜드, 평화누리, 음악의언덕, 자유인터체인지(통일대교 남쪽) ..

1. 수도사 원효대사깨달음체험관 내 해탈수 평택 수도사는 이곳이 원효대사가 일체유심조를 깨달았다는 토굴 자리라 내세우고 있다. 661년 원효 와 의상은 당나라로 가고자 당항성을 찾았는데, 날이 어두워지자 토굴에 들어가 하룻밤 머물렀다. 그 토굴은 당항성 근처라고 한다. 목이 너무 말라서 어두운 주변을 두리번 거리다가 바가지에 물이 담긴 것을 보고 그것을 맛있게 섭취 하고 잠을 청했는데, 다음날 아침에 보니 그 바가지는 해골이었고, 잠을 잤던 토굴은 무덤 속이었다. 그들은 순식간에 속이 울렁거려 토를 하고 말았는데, 거기서 원효는 마음 먹기에 달렸다는 일체유심 조를 깨달았다. 그래서 원효는 당나라를 포기하고 서라벌로 돌아갔으며, 의상만 당항성을 통해 당나 라 장안으로 넘어갔다. 당항성은 화성 서신에 있는 ..

1. 평택 수도사 입구 평택시의 서쪽 끝을 잡고 있는 포승읍 원정리 마을 뒷산에 수도사란 절이 포근히 둥지를 틀고 있다. 이곳은 조계종 제2교구 본사인 화성 용주사의 말사로 경기도 전통사찰 제28호의 지위를 누리고 있 는데, 신라 말인 852년에 염거가 창건했다고 전한다. 하지만 이를 입증할 유물과 기록은 안타깝게도 없는 실정인데, 특이하게도 원효대사가 해골물을 마시고 '일체유심조'를 깨달았다는 토굴 자리라 주 장을 하고 있어 속세의 눈길을 끈다. 그 연유로 염거 이전부터 작은 암자가 있었다고 내세운다. 661년 의상대사와 원효대사는 당나라로 유학길에 나섰다. 그들은 당항성 부근 토굴에서 하룻밤을 머물렀는데, 너무 목이 마른 나머지 바가지에 담긴 물을 맛있게 먹고 잠자리에 들었다. 그런데 다음 날 아침 ..

1. 관룡탑을 만나기 50m 직전 망우역사문화공원 사색의길 동쪽 구간을 따라 남쪽으로 가면 동림정이 나오는데, 여기서 시루봉과 관룡탑, 망우산1보루로 인도하는 산길(구리둘레길1코스)이 마중을 한다. 그 길을 조금 들어서면 갈림길이 나오는데, 여기서 서쪽(남쪽 방향을 기준으로 오른쪽) 길이 망우산 남쪽 능선과 망우산1보루, 용마산, 아차산으로 이어지며, 동쪽(남쪽 방향을 기준으로 왼쪽)은 시루봉 과 관룡탑으로 빠진다. 시루봉으로 인도하는 산길을 5분 정도 내려가면 아차산, 망우산의 숨겨진 명소이자 거대한 돌탑인 관 룡탑이 마중을 나온다. 2. 아차산 관룡탑의 옆모습 망우산 동남쪽 자락이자 시루봉 서쪽 자락에 관룡탑이라 불리는 크고 견고한 돌탑이 숨겨져 있다. 망 우산과 시루봉은 아차산의 일원이라 아차산 관..

1. 곤지암 (곤지암 바위) 광주시 곤지암읍의 중심지인 곤지암리 시내에는 곤지암의 이름 유래가 된 곤지암 바위가 있다. 그는 화강암 바위로 2개로 이루어져 있는데, 큰 바위와 작은 바위가 1m 정도 거리를 두고 있으며, 큰 바위 윗도리에는 400년 이상 묵은 늙은 향나무가 뿌리를 내리며 주변에 그늘을 드리운다. 그가 곤지암이란 간판을 지니기 전에는 바위 모습이 고양이를 닮았다고 해서 묘바위(고양이바위)라 불렸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서 곤지암으로 이름이 갈렸을까? 임진왜란 초창기에 충주 탄금대, 달천 전투에서 왜군에게 패해 군사를 죄다 말아먹고 남한강에 뛰어 들어 자살한 신립의 시신을 전쟁 이후에 군사들이 수습해 곤지암 지역에 장사를 지냈다. (신립묘는 경강선 곤지암역 북쪽 산에 있음) 그런데 그 이후, ..

1. 연평산과 옛 경작지, 저수지의 흔적 2. 덕물산과 연평산 사이의 경작터 3. 굴업도 연평산 4. 굴업도 붉은머리해변과 덕물산 5. 덕물산과 연평산 중간 산자락 6. 코끼리바위와 목기미해변, 그리고 굴업도 서섬 7. 굴업도 코끼리바위 해안 8. 코끼리바위 해안 동쪽에서 바라본 연평산 9. 사막화된 굴업도 동섬 10. 굴업도 목기미해변 11. 목기미해변에서 바라본 코끼리바위와 연평산 12. 굴업도의 옛 광영을 알려주는 고전 스타일의 옛 전봇대 13. 목기미해변 서쪽과 바다에 잠긴 굴업항(굴업도 선착장) 주변 14. 굴업도해변과 소굴업도 15. 개머리언덕 동쪽 능선에서 바라본 굴업도 동섬 (굴업도해변, 큰말 등) 16. 개머리언덕 동쪽 능선에서 바라본 소굴업도와 서해바다 17. 개머리언덕 동쪽 능선과 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