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효돈천의 비경, 쇠소깍 효돈천 하구에 자리한 쇠소깍은 320m 정도 펼쳐진 좁은 협곡으로 수심이 깊은 푸른 소(못)와 주름 진 높은 벼랑, 그리고 숲이 어우러진 달달한 경승지이다. 쇠소깍은 쉐소(쇠소)의 끝 또는 꼬리를 뜻하는 제주도 사투리로 쉐소는 '쉐둔의 소'를 뜻하며, '깍'은 꼬리나 끝을 의미한다. 쉐둔은 효돈천 하류 동네인 효돈동의 옛 이름으로 소를 모아 두던 곳이란 뜻 인데, 한자로 '우둔'이라 했다가 18세기 중후반에 효돈으로 이름이 갈렸다. 이곳은 바다와 한라산에서 내려온 민물이 어우러진 곳으로 한라산이 화산으로 한참 몸을 풀던 시절 용암이 지나가 효돈천이 생겨났으며, 상류에서 내려온 토사와 하천 물줄기, 거기에 거친 바닷바람까 지 하천 주변을 오랜 세월 쪼아대면서 지금의 쇠소깍이 형..

1. 하례로에서 바라본 효돈천과 한라산 (쇠소깍다리 남쪽) 울퉁불퉁한 현무암 회색 피부의 효돈천 너머로 한라산이 흐릿하게 시야에 들어온다. 효돈천은 한라 산 백록담에서 발원하여 한라산 동남쪽 자락과 영천악 주변을 거쳐 쇠소깍을 통해 바다로 흘러가는 13km에 하천으로 제주도에 아주 흔한 현무암 건천이다. 2. 효돈천 쇠소깍 북쪽 부분 쇠소깍다리 이남부터는 효돈천 협곡이 제법 깊어지고 물줄기도 그만큼 멀어진다. 저 주름진 협곡을 내려가야 비로소 효돈천의 수분을 만질 수가 있다. 게다가 쇠소깍 일대는 국가 명승 보호구역이고 협 곡 벼랑이 높고 울퉁불퉁하여 접근을 통제하고 있다. 3. 효돈천 쇠소깍 동쪽을 지나는 하례로 쇠소깍 서쪽에는 제주올레길6코스가 지나는 2차선 쇠소깍로가 있고, 동쪽에는 1차선 크기의 ..

1. 효돈천 서쪽 산책로 (쇠소깍로) 효돈천은 한라산 백록담에서 발원하여 한라산 동남쪽 자락을 거쳐 남해바다로 흘러가는 13km에 하천이다. 선덕사와 효명사를 지나는 계곡이 효돈천의 최상류로 원앙폭포를 빚은 돈내코계곡도 효 돈천에 적지 않게 수분을 보탠다. (영천악 남쪽에서 이들 물줄기가 하나로 합쳐짐) 제주도는 현무암 피부라 물을 대부분 잡아먹는 습성이 있는데, 그러다보니 제주도의 하천과 계곡 상당수는 늘 메마른 모습을 보인다. 효돈천 역시 같은 처지로 상류 부분(돈내코 등)과 하류(효례교 ~쇠소깍) 부분 일부에 수분이 모여있다. 효돈천의 옛 이름은 영천천으로 이는 영천악(274m, 서귀포 상효동) 옆을 지나서 붙여진 것으로 보 인다. 조선 후기에 제작된 '조선지형도'에는 효돈천으로 나와 조선 후기에 ..

1. 새섬에서 바라본 남해바다와 범섬 2. 서귀포층 패류화석산지 3. 서귀포 혼인지 4. 연외천과 남해바다가 만나는 천지연폭포 입구 5. 서귀포층 패류화석산지 해변 6. 화석들이 고이 깃들여진 서귀포층 패류화석산지 7. 서귀포층 패류화석산지 해변에서 바라본 범섬과 남해바다 8. 속세와 새섬을 이어주는 새연교 9. 새섬방파제에서 바라본 남해바다와 범섬, 서귀포층 벼랑 10. 새연교에서 바라본 서귀포항과 서귀포 시내 11. 새연교 (새섬에서 바라본 모습) 12. 새섬에서 바라본 새연교와 새섬방파제 13. 새섬에서 바라본 범섬과 황우지, 서귀포 서부 해안 14. 새섬 산책로 15. 새섬에서 바라본 문섬 16. 새섬에서 바라본 서귀포항 방파제와 섶섬 17. 새섬에서 바라본 서귀포항 18. 푸르기 그지 없는 새섬..

1. 선덕사 대적광전 비로자나삼존불 2. 선덕사 대적광전 석가3존상과 고암대종사의 진영 3. 선덕사 독성각 4. 선덕사 옥칠불전 5. 선덕사에서 효명사로 이어지는 삼삼한 숲길 6. 홍예문 스타일로 지어진 효명사 천국의문 9. 남국선원으로 인도하는 돈내코로 (영남도민회공원묘지 주변) 10. 서귀포시공원묘지 동쪽 부분을 지나는 남국선원 방향 돈내코로 11. 한라산 산바람에 살랑거리는 억새들 (서귀포시공원묘지) 12. 돈내코로 서귀포공원묘지에서 바라본 서귀포 시내와 남해바다 13. 넓게 펼쳐진 서귀포시공원묘지와 영남도민회공원묘지 14. 서귀포시공원묘지 돌담길에서 바라본 천하 (서귀포시내, 서귀포 앞바다 등) 15. 남국선원 숲길 16. 남국선원 일주문 17. 남국선원 시민선원(시민선방) 18. 남국선원 시민선..

1. 한라산 선덕사 경내 (대적광전과 금강사리보탑) 2. 선덕사 사천왕문 주변 3. 남국선원 대웅전 4. 선덕사 일주문 5. 선덕사 일주문 옆에 있는 석조관세음보살상 6. 한라산 원시림을 지나는 선덕사 숲길 7. 선덕사 주변 메마른 계곡 (효돈천 최상류) 8. 선덕사 숲길에서 바라본 한라산 9. 선덕사 경내 직전 돌담길 10. 선덕사 금강문 11. 선덕사 금강문 금강역사상(인왕상) 12. 선덕사 사방불5층석탑 13. 선덕사 석조약사여래입상 14. 선덕사 법계도(법성도) 15. 선덕사 사천왕문 16. 선덕사 사천왕문 사천왕상 17. 선덕사 연꽃 석조(샘터) 18. 선덕사의 야심작인 2층짜리 대적광전 19. 옆에서 바라본 선덕사 대적광전 20. 선덕사 대적광전 104위 화엄성중 탱화

1. 제주 별방진의 상큼한 봄날 (별방진 남문터 주변) 2. 멀리서 바라본 별방진 3. 별방진 안쪽 밭두렁과 돌담길(올레길) 4. 별방진 동북쪽 성곽 5. 별방진 북쪽 성곽 6. 별방진 옆 동네 돌담길 7. 하도포구(별방포) 동쪽 해변 8. 별방진 용천수 샘터 (북쪽 성곽 앞) 9. 별방진 북쪽 성곽 (성곽 안쪽) 10. 별방진 안쪽 연지 11. 별방진 북쪽 성곽 윗도리에서 바라본 하도포구와 남해바다 12. 별방진 북쪽 성곽 윗도리에서 바라본 동북쪽 성곽 13. 별방진 북쪽 성곽 윗도리에서 바라본 서쪽 방향 (별방진 북쪽 성곽) 14. 별방진 북쪽 성곽 윗도리에서 바라본 연지 15. 별방진 동북쪽 성곽 (성곽 안쪽) 16. 별방진 서문터 17. 퇴락된 모습의 별방진 서쪽 성곽 18. 별방진 남쪽 성곽 1..

1. 성읍마을 객주집 (객주집 이문간) 2. 성읍마을 객주집 3. 성읍마을 연못(방죽) 4. 성읍마을 대장간집 5. 성읍마을의 또 다른 방죽 6. 성읍마을 고평오고택 7. 고평오고택 돼지우리와 변소 8. 바깥에서 바라본 고평오고택 9. 고평오고택 주변 남문 안쪽 거리 10. 정의읍성 남문과 남문 밖 돌하르방 11. 남문 밖 돌하르방과 유채꽃밭 12. 남문 밖 돌하르방 13. 정의읍성 남문 밖에서 만난 상큼한 봄날 14. 성읍마을 동남쪽 돌담길(성읍정의현로34번길) 15. 성읍마을 밭두렁 (남문과 동문 사이 밭두렁) 16. 성읍마을 동쪽 마을길 (성읍정의현로34번길) 17. 공예공방 18. 성읍마을 한봉일고택 19. 정의읍성 동문 20. 동문 옆 도로와 정의읍성 21. 동문 밖 돌하르방 22. 정의읍성 동..

1. 정의읍성 남문 밖 돌하르방과 유채꽃밭 2. 정의읍성 서문과 서문 밖 돌하르방 3. 성읍마을의 어느 초가 4. 정의읍성 북쪽 돌담길 5. 정의읍성 안쪽으로 이어지는 성읍정의현로 (정의읍성 북쪽) 6. 정의읍성 북쪽 성곽 (성읍마을 북쪽 문) 7. 정의읍성 북쪽 성곽 (성읍마을 북쪽 문 주변) 8. 관청할망 주변 유채꽃밭 9. 근민헌 남쪽 초가들 10. 정의향교 주변 초가들 11. 정의군수 채수강 청덕비(왼쪽)와 강우진 불망비(오른쪽) 12. 1,000년 이상 묵은 성읍리 느티나무 13. 성읍리 팽나무 (제주 성읍리 느티나무 및 팽나무군) 14. 관청할망(안할망) 15. 관청할망(안할망) 감실 16. 근민헌(일관헌) 17. 성읍마을 한복판을 지나는 성읍정의현로 (근민헌 남쪽 4거리) 18. 마방터 19..
' 서귀포 겨울 나들이 ' (대포 주상절리대, 제주올레길8코스, 약천사) ▲ 대포 주상절리대 (중문, 대포해안 주상절리대) ▲ 약천사 대적광전의 뒷모습 ▲ 대포연대 묵은 해가 저물고 새해가 열리던 1월의 첫 무렵, 천하에서 가장 작은 대륙인 제주도(濟 州島)를 찾았다. 하늘을 타고 오랜만에 발을 들인 제주도에서 3일을 머물며 여로(旅路)를 듬뿍 살찌웠는 데, 첫날에는 제주시 서부 지역(외도, 애월, 한림, 한경)을 돌았고, 둘째 날은 서귀포( 西歸浦) 중문 지역으로 들어서 천제연폭포(天帝淵瀑布)를 시작으로 제주올레길8코스(월 평~대평포구, 19.6km)를 따라 동쪽으로 이동했다. 본글은 제주올레길8코스의 일원인 대 포주상절리대 서쪽에서부터 시작된다. (대포 주상절리대 이전과 약천사 이후 내용은 별 도 글..
' 서귀포 천제연폭포 겨울 나들이 ' ▲ 천제연폭포 제1폭포 (천제연) ▲ 천제연폭포 제2폭포 ▲ 천제연폭포 제3폭포 겨울 제국의 차디찬 한복판인 1월의 첫 무렵, 천하에서 가장 작은 대륙인 제주도(濟州 島)를 찾았다. 아침 일찍 김포공항에서 제주도로 가는 비행기를 타고 1시간을 내달려 제주국제공항에 도착했다. 정말 오랜만에 제주도에 나를 던져놓았으나 정처(定處)는 싹 정해둔 상태라 그곳만 얌전히 찾아가면 되는데, 첫날은 계획대로 외도동 월대(月臺)를 시작으로 서일 주선을 따라 모슬포(摹瑟浦)까지 여러 주옥 같은 명소와 올레길을 둘러보고 20시 넘어 서 산방산(山房山) 부근에 자리한 '산방산 탄산온천 게스트하우스(게하)'에 여장을 풀 었다. 첫날 여로(旅路)가 너무 배불렀는지 눕자마자 바로 꿈나라로 직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