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북한산자락길 (북한산자락길전망대 동쪽 구간) 북한산자락길은 북한산(삼각산) 서남쪽 끝자락에 닦여진 도보길이다. 홍은풍림1차아파트, 실락어린 이공원에서 옥천암 서쪽까지 이어지는 4.5km의 도보길로 북한산둘레길과는 전혀 다른 길인데, 이 도보길의 특징이라면 거의 전 구간이 거닐기 좋은 나무데크길. 그리고 홍은1동 내에서만 빙빙 돈다 는 것이다. 2. 북한산자락길에서 만난 기묘하게 생긴 바위 큰 바위에 마치 거인의 손자국이 찍혀있는 것 같다. 3. 옥천암, 탕춘대능선으로 이어지는 북한산자락길 4. 북한산자락길에서 만난 바위 암릉 바위 자락에 닦여진 길을 오르면 북한산둘레길 옛성길과 만난다. 북한산둘레길 옛성길과 북한산자락 길은 여기서 100여m 정도 거리를 두고 있으며, 서로 만나지는 않는다. 5. 홍..

1. 북한산자락길 주변 숲길 북한산자락길은 홍은풍림1차아파트, 실락어린이공원에서 탕춘대능선 서쪽 밑을 돌아 옥천암 서쪽까 지 이어지는 4.5km의 도보길이다. 북한산둘레길과는 완전 다른 길로 서로 겹치는 곳은 없으나 자락 길 북쪽 끝에서 가까이에 만나며, 탕춘대능선 서쪽 밑을 지나간다. 전 구간이 나무데크길에 경사가 완 만하며, 가볍게 편도로 돌면 1시간~1시간 반 정도 걸린다. 2. 북한산자락길로 들어서다 (홍록배드민턴장 주변) 3. 홍록배드민턴장에서 홍은동(홍은동원베네스트아파트, 북한산두산위브2차)으로 내려가는 숲길 4. 북한산자락길을 거닐다 북한산자락길은 북한산 서남쪽 끝자락에 닦여진 도보길로 북한산둘레길과는 별개의 길이다. 전 구간 이 나무데크길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 구간이 홍은1동 구역으로 홍..

1. 산골고개에 닦여진 산골고개생태연결로(생태다리) 통일로가 지나는 산골고개는 홍은동과 녹번동을 이어주는 고갯길로 고개 서쪽은 백련산, 동쪽은 북 한산(삼각산)이다. 은평구 지역과 고양시, 파주시, 양주시 서부 지역(장흥면)에서 서울 도심을 빠르 게 이어주는 고갯길이라 차량 통행이 오지게 빈번한데, 1972년 고갯길 확장으로 고개가 크게 깎였다. 이후 은평구에서 통일로로 분단된 산골마을과 양쪽 산줄기를 잇는 생태다리 건설을 추진하여 2015 년 4월에 완성을 보았으니 그 생태다리가 바로 산골고개 생태연결로이다. 그의 혜성 같은 등장으로 백련산에서 북한산(삼각산), 탕춘대능선까지 도보 접근이 한결 쉬워졌으며, 산골고개 동쪽 산자락에 북한산자락길 등 여러 산길이 새로 닦이거나 손질되었다. (3호선 녹번역 2..

1. 부산3.1독립운동기념탑에서 복천동고분군으로 내려가는 숲길 (복천동고분군 방향) 2. 부산3.1독립운동기념탑에서 복천동고분군으로 내려가는 숲길 (부산3.1독립운동기념탑 방향) 3. 영보단비 비리비리한 조선의 끝자락인 1909년, 왜국의 농간으로 조선 조정은 전국의 호적대장을 모두 거두어 들이려고 했다. 조선은 초기에도 전국 명가에 전하고 있던 무수한 역사서를 강제로 압수하는 만행을 저질렀는데, 호적대장 압수에 대해 주민들은 조상의 이름이 적힌 호적대장이 아무렇게나 버려지는 것을 크게 우려했다. 하여 동래 지역 13개면 주민들은 마안산 자락인 이곳(복천박물관 동남쪽)에 호적대장을 모아 불태 우고 그 자리에 단을 쌓아 영모단이라 했다. 1915년 영보단비를 세웠으며, 지역 사람들은 매년 음력 4월 23일..

1. 동래읍성 북장대에서 바라본 천하 (동쪽 방향) 동래구 동부 지역과 장산, 해운대구 서부 지역, 수영구 지역, 금련산, 황령산 등이 두 망막에 들어온다. 북장대는 동래읍성에서 가장 하늘과 가까운 곳으로 일품 조망을 자랑한다. 2. 북장대에서 바라본 남쪽 방향 (충렬사 뒷산인 망월산과 금련산, 황령산 등) 3. 북장대에서 바라본 서남쪽 방향 (동래구, 연제구, 부산진구, 백양산, 엄광산 등) 4. 동래읍성 북장대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집으로 남쪽을 바라보고 있다. 동래읍성에 설치된 3개 장대의 일원으 로 고약했던 왜정 때 사라진 것을 근래 서장대, 남장대와 함께 복원, 재현했다. 5. 북장대에서 부산3.1독립운동기념탑으로 인도하는 숲길 6. 하늘을 가리며 늘씬하게 솟은 숲길 사이로 (부산3..

1. 동래사적공원 소나무 숲길 늘씬한 소나무들이 무성하게 숲을 이루며 아낌없이 솔내음을 베푼다. 이곳은 동래읍성 북문 서북쪽 으로 숲 사이로 숲길이 상큼하고 펼쳐져 있다. 2. 솔내음이 가득한 소나무 숲길 (동래사적공원) 3. 소나무 숲길의 동쪽 끝 (동래읍성 북문 밖) 4. 옹성을 지닌 동래읍성 북문 (서쪽 방향) 5. 깃발이 마중을 하는 동래읍성 북문 동쪽 성곽길 (북장대 방향) 6. 동래읍성 북문~북장대 구간 성곽 북문~북장대 구간 성곽은 중간에 뚝 끊어져 있다. 성곽은 여기서부터 자연에 묻힌 모습으로 한없이 낮아지며, 이곳까지는 아직 복원의 손길이 미치지 못했다. 7. 북장대로 인도하는 가파른 계단길 8. 동래읍성 북장대 옛 동래고을(동래부)의 중심지였던 동래읍성에는 북장대와 서장대, 동장대 등 ..

1. 수락산 귀임봉 수락산의 일원인 귀임봉은 해발 285m의 바위 봉우리로 수락산 서남쪽 끝자락에 위치한다. 정상부 에는 고구려(고구리)가 심은 것으로 여겨지는 늙은 보루 유적(수락산2보루, 귀임봉보루)이 있는데, 2020년 이후에 그 존재가 확인되었다. 그 이전에는 그의 존재를 아무도 몰랐다. (나도 몰랐음) 또한 사방이 확 트여있어 일품 조망을 누릴 수 있으며, 비록 바위 뫼이나 길이 잘 닦여져 있어 접근의 어 려움은 별로 없다. (두 다리만 멀쩡하면 누구든 오를 수 있는 초급 수준의 등산 코스임) 2. 귀임봉 전망대를 받쳐들고 있는 거대한 바위 벼랑 귀임봉 정상부를 이루고 있는 바위 벼랑으로 남쪽 방향으로 쉼터를 겸한 나무데크 전망대를 닦았다. 3. 귀임봉 능선길 (귀임봉 북쪽 능선길) 귀임봉에서 ..

1. 귀임봉 서쪽 바위길 수락산 서남쪽 끝자락에 자리한 귀임봉은 해발 285m의 바위 봉우리이다. 수락산보루가 깃든 봉우리 에서 동북쪽으로 600~700m 정도 떨어져 있는데, 그 봉우리와 함께 수락산의 남쪽 끝을 이루고 있다. 귀임봉 서쪽 길은 바위 암릉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통행 안전을 위해 바위길 구석에 철난간이 설치되 어 있어 통행에 별 어려움은 없다. 게다가 바위도 경사가 그리 급하지는 않아 등산화나 릿지화, 접지 력이 있는 운동화를 신었다면 충분히 통과할 수 있다. 2. 귀임봉 정상부 서쪽 부분 (귀임봉 보루터) 귀임봉은 수락산 서울 구역에서 접근성도 가장 좋고 짧은 시간에 오를 수 있는 봉우리이다. 하여 상 계1동 노원골 기준으로 가볍게 2시간 내외면 충분히 왕복이 가능하다. 수락산 그늘에 살..

1. 수락산 노원골(수락계곡) 입구 수락산은 해발 637m의 준수한 뫼로 서울 동북쪽 끝에 자리잡고 있다. 그의 그늘인 상계1동에 살던 시절 그의 품을 구석구석 누비고 살았는데, 바로 옆 동네인 도봉산 그늘(도봉동)로 넘어간 이후에는 많이 뜸해졌다. 그래도 1년에 2~3번 정도는 찾는 편으로 그의 품이 몸살 나게 그리워 간만에 수락산 을 찾았다. 이번 수락산 나들이는 상계1동 노원골에서 시작했는데, 여기서 수락산보루와 귀임봉, 용굴암을 거쳐 당고개역(4호선)으로 내려갔다. 마음 같아서는 수락산 정상도 오랜만에 찍고 싶었지만 오후 2시에 출 발한 터라 그럴 여유는 없었다. (도봉동 집에서 노원골 수락계곡까지 도보로 접근) 2. 늦가을 끝 무렵에 잠긴 노원골(수락계곡) 노원골(수락계곡)은 북쪽 산너머의 벽운..

1. 보문산 행복숲길(보문산둘레길) 국사봉 동쪽 접근로 보문산 행복숲길은 보문산 허리에 둘러진 보문산 둘레길이다. 대사동에서 무수동까지 12개의 마을을 잇는 14.43km의 임도를 새로 만들고 기존 도로 8.25km와 연결시켰는데, 총 길이는 22.68km에 이 른다. 산림 관리와 산불 방지, 숲가꾸기, 휴식 공간과 둘레길 조성을 위해 대전시에서 2010년부터 2015년 까지 야심차게 닦은 것으로 차량 1대가 다닐 정도로 폭이 넉넉하다. 상당수가 비포장길로 경사가 느 긋하고 길 상태가 좋아서 걷는 맛이 아주 좋다. 2. 한겨울에 푹 잠긴 보문산 행복숲길 (국사봉 동쪽 접근로) 3. 구불구불 이어지는 보문산 행복숲길 (오월드 동쪽 구간) 4. 누렇게 뜬 낙엽들로 가득한 보문산 행복숲길 (오월드 동쪽 구간)..

1. 보문산 국사봉 능선길 보문산교통광장(대전시내버스 30, 31, 32, 33-1, 33-2번 경유)에서 동쪽 산길로 들어서면 바로 보문산 국사봉 능선길이다. 이 능선길은 대전오월드 남쪽으로 오월드 경계선을 따라 펼쳐지는데, 국사봉 정 상에는 국사봉유적이란 늙은 유적이 깃들여져 있어 그를 보고자 이곳을 찾았다. 2. 한겨울에 푹 잠긴 보문산 국사봉 능선길 3. 오월드 경계 철책을 따라 이어진 국사봉 능선길 푸른 철책 안쪽(북쪽)이 유료의 공간인 대전오월드이다. 4. 솔내음이 그윽한 보문산 국사봉 능선길 (동쪽 방향) 5. 국사봉유적 (국사봉 정상) 국사봉유적은 국사봉 정상 245m 고지에 깃든 늙은 유적이다. 동/서를 축으로 정상부에 돌로 조성되 었는데, 규모는 동서 8m, 남북 5m, 둘레 25m 정..

1. 보문산 장수봉 능선길 (사정성 남쪽) 장수봉은 보문산의 서쪽 끝을 잡고 있는 뫼이다. 대전오월드 서쪽이자 뿌리공원 북쪽에 높게 솟아있 는데, 늙은 산성 유적인 사정성이 깃들여져 있으며, 그를 둘러보고 남쪽 능선을 따라 보문산 교통광장 으로 이동했다. 2. 부드럽게 이어진 장수봉 능선길 (사정성 남쪽) 3. 장수봉 능선길에서 만난 장수봉 비석 난쟁이 반바지 접은 것보다 훨씬 작은 비석에는 '장수봉' 3자가 또렷히 쓰여 있어 이곳의 정체를 알려 준다. 4. 장수봉 남쪽 벼랑 바위 이곳은 유등천과 맞닿은 각박한 벼랑이다. 벼랑 위로 기묘하게 생긴 바위들이 여럿 늘어서 있고, 쉼터 가 닦여져 전망대의 역할을 하는데, 여기서는 바로 밑에 유등천과 뿌리공원을 비롯해 보문산의 첩첩 한 남쪽 산주름과 만인산이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