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od9gy/btsJ0bWVfx8/eV6y3KNy7DhAe6l25qKqJK/img.jpg)
1. 은해사 성보박물관은해사 경내 동쪽에 자리한 성보박물관은 은해사와 그의 부속암자, 말사에서 소장하고 있던 문화유산을 가득 머금고 있다. 은해사에 전하는 괘불탱, 청동북과 북걸이, 염불왕생첩경도 등의 국가 문화유산도 모두 이곳에 들어있는데, 아쉽게도 내부 유물은 사진 촬영이 금지되어 있다. 하여 그들을 사진에 담지는 못하고 기억력이 떨어지는 내 침침한 두 망막에 잠깐씩 담는 것으로 만족했다. 2. 은해사 경내 중심부 (남쪽에서 바라본 모습)바로 앞에 영천시 보호수로 지정된 늙은 향나무가 있고, 그 옆에 청풍당, 그 너머로 설선당과 심검당, 그리고 그 너머 끝에 이곳의 법당인 극락보전이 있다. 3. 은해사 경내 앞 숲길 (보화루 앞)은해사에서 백흥암과 중암암, 묘봉암, 운부암으로 인도하는 길이다. 이..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dBl2x8/btsJVFkUNDI/F8v19nY9icVE059piss731/img.jpg)
1. 은해사 극락보전 아미타여래삼존상과 후불탱(후불탱화)은해사의 법당인 극락보전 불단에는 조선 후기에 조성된 아미타여래삼존상이 봉안되어 있다.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이 자리잡고 있는데, 그들 뒤로 잘 그려진 후불탱이 든든하게 걸려있다. 그 탱화는 세마포에 종이를 여러 겹으로 붙인 바탕 위에 아미타불과 좌우 협시보살을 담은 아미타후불탱으로 남색 하늘 바탕에 갈색과 녹색 구름을 그렸고, 아미타불과 보살상을 홍색과 녹색 위주로 그려 다소 무거운 느낌을 준다. 탱화 아랫부분에 화기가 있는데, 1750년에 화원 보총과 처일 등이 그렸다고 나와있으며, 은해사 괘불탱과 비슷한 시기에 같은 화원이 조성했다. 2. 극락보전의 하늘, 우물천정과 용머리, 극락조 장식물 3. 은해사 극락보전 삼장탱화..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oxGrv/btsJX6iD9jH/rV2381gRMZ2nB6SSEpaOGK/img.jpg)
' 마포구 늦가을 나들이 '(최규하대통령가옥, 망원정) ▲ 서교동 최규하대통령가옥 ▲ 최규하가 이용했던 오래된 차 (1995년식 뉴그랜저) ▲ 망원정 서울에서 태어나 40년을 넘게 서식하면서 남들의 몇 배 이상으로 서울을 구석구석 둘러보 았고, 심지어 10번 이상씩 인연을 지은 문화유산과 명소도 즐비하다. 허나 그럼에도 불구 하고 서울 도처에서 미답처(未踏處)들이 고개를 들고 있어 내 심기를 적지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zBlyv/btsJZl61zBr/oFjCBkNgU3OPdrFgAmOkRK/img.jpg)
1. 서교동 최규하대통령가옥 2. 최규하가 이용했던 오래된 차 (1995년식 뉴그랜저) 3. 망원정 4. 최규하가옥 대문 5. 하얀 피부를 지닌 최규하가옥 6. 늦가을이 깃든 최규하가옥 뜨락 7. 정면에서 바라본 최규하가옥과 현관문 8. 최규하가 탔던 차 (1995년식 뉴그랜저) 9. 최규하 가족이 식사를 했던 부엌(1층) 10. 1층 응접실 11. 응접실에서 손님을 맞이하는 최규하의 빛바랜 사진들 12. 응접실에 있는 여러 그릇과 도자기들 13. 최규하가 사용했던 담배함과 재떨이 14. 유근유공(惟勤有功)과 난이 그려진 하얀 그릇들 15. 최규하 부인이 쓰던 방 16. 최규하 부인이 사용했던 늙은 재봉틀 17. 최규하가 입었던 양복과 구두, 양복 관련 물건들 18. 최규하가 사용했..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1aPLR/btsJWrlEyjG/KJvkjdGqmpZZkPPIcKP6Zk/img.jpg)
' 파주 민통선(DMZ) 겨울 나들이 '(임진각, 도라산역, 도라산전망대, 제3땅굴) ▲ 도라산전망대에서 바라본 북녘 (휴전선과 개성 지역) ▲ 장단역 증기기관차 ▲ 경의선 도라산역 겨울 제국(帝國)이 무심히 깊어가던 연말 한복판에 파주(坡州) 민통선(DMZ)을 찾았다. 늦가을이 저물고 겨울이 천하를 지배하면서 연말(年末)과 나이 1살 누적이란 우울한 선물을 뿌려대니 이때만큼은 참 기분이 꿀꿀하다. 이럴 때 딱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U7hl8/btsJV96oJG2/1ywgfMriM95bJ2ETbvAR7K/img.jpg)
1. 은해사 극락보전 (옛 대웅전)극락보전은 이곳의 법당으로 정면 3칸, 측면 3칸의 다포식 팔작지붕 건물이다. 원래는 대웅전으로 은해사의 많은 것을 앗아갔던 1847년 대화재 때 극락전을 제외한 모든 건물이 화마의 먹이가 되어 사라졌다. 이후 영천군수와 경상감영, 조선 조정과 왕궁에서 돈을 보내 절을 중수했으며, 살아남은 극락전도 상태가 좋지 못하여 새로 지었다.추사 김정희가 대웅전 편액(은해사 성보박물관에 있음)을 남겼으며, 이후 극락전(극락보전)으로 이름을 갈아 살아가고 있다. 현재 은해사에서 유일하게 지방문화재로 지정된 건물이다. (은해사의 부속암자는 제외) 2. 극락보전 앞 괘불석주괘불을 거는 늙은 돌기둥으로 그의 피부에 '계해팔월일조성'이라 쓰여 있어 1863년(또는 1803년)에 조성되었음을..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rLTrG/btsJW1TS8JC/BS8knRoMfM6OkjZ1lVCwy1/img.jpg)
1. 은해사 경내로 인도하는 은해교은해사계곡 위에 걸린 은해교를 건너면 은해사의 2번째 문인 보화루가 마중을 한다. 여기서 보화루 밑도리를 지나면 바로 은해사 경내로 이어지며, 계곡 옆에 펼쳐진 숲길을 따라가면 은해사의 부속암자인 백흥암과 서운암, 기기암, 묘봉암, 중암암, 운부암으로 이어진다. 2. 은해교 앞에 자리한 하마비난쟁이 반바지 접은 것보다 작은 비석 피부에는 '대소인하마비' 6글자가 쓰여있는데, 이는 신분이 높고 낮은 사람 모두 말에서 내려 절까지 걸어가란 뜻이다. 하마비는 국가와 제왕과 관련된 곳인 궁궐, 관청, 왕릉, 왕실 관련 사당은 물론 향교와 서원 앞에도 세우는데, 절 같은 경우는 하마비를 지닌 곳이 거의 없다. 그럼에도 은해사가 그 비싼 하마비는 지니게 된 것은 명종 시절에 여기서..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YAlKO/btsJU2r0eCS/WGBRv1A9pPKagI5dyX91lk/img.jpg)
1. 은해사 천왕문(일주문)은해사는 팔공산에 무수히 깃든 절 가운데 동화사에 버금가는 큰 절집이다. 경북 5대 본산의 하나이며, 대한불교 조계종 제10교구 본사로 이처럼 대단한 고찰을 이제서야 인연을 지었다. 보통 절은 일주문이 절의 정문 역할을 하고 있으나 은해사는 천왕문을 정문으로 내밀었다. 하여 일주문의 역할도 담당하고 있는데, 다음카카오지도와 네이버지도에는 일주문으로 나온다.팔작지붕을 지닌 큰 덩치의 천왕문에는 '팔공산 은해사' 현판이 걸려있어 이곳의 정체를 알려주고 있으며, 문안에는 석가여래의 1급 경호원인 사천왕이 각자의 자세와 지물을 들며 이곳을 찾은 중생들을 검문한다. 2. 천왕문 사천왕상 식구들 ① (비파를 든 다문천왕와 칼을 어루만지는 지국천왕) 3. 천왕문 사천왕상 식구들 ② (용을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l5cUD/btsJUw7UMhP/lD77Qfhq6nBbv8nk6U0rU0/img.jpg)
1. 봄이 내려앉고 있는 서리풀공원 서리풀길 (서리풀터널 윗쪽 구간)서리풀공원은 고속터미널 남쪽에서 방배동 청권사까지 이어지는 길고 완만한 산줄기이다. 서초구 한복판에 누워있는 이 산줄기는 지금은 서리풀공원으로 살아가고 있지만 원래는 서초구의 대표 지붕인 우면산(293m)의 북쪽 자락이다. 허나 개발의 칼질로 산줄기가 끊어지고 그 사이에 도시와 신작로가 들어서면서 서리풀공원 산줄기와 우면산은 거의 남남이 되었다.서리풀공원의 서리풀은 서초동을 순수 우리말로 풀이한 것이며, 공원 능선을 따라 4km의 서리풀길이 상큼하게 닦여져 있다. 2. 살짝 곡선을 보이는 서리풀공원 서리풀길 3. 푸른 숲에 감싸인 서리풀공원 숲길 (서리풀길에서 방배동으로 내려가는 길) 4. 청권사 북쪽을 지나는 서리풀공원 서리풀길청권..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xVMS6/btsJRaZEJLa/Ipiy7Ycml60asTXzgwHs5k/img.jpg)
1. 서리풀공원 서리풀길 (서리풀다리 남쪽)서리풀공원은 고속터미널 남쪽에서 방배동 청권사(효령대군 사당)까지 이어지는 긴 산줄기에 씌워진 근린공원이다. 서리풀은 서초동의 '서초'를 한글로 표현한 것으로 이 길쭉한 산줄기는 서초구의 대표 지붕인 우면산의 북쪽 자락에 해당된다. 허나 무분별한 도시 개발과 도로 개설로 산줄기가 끊기면서 이제는 거의 남남처럼 되었는데, 서리풀공원 산줄기는 도로로 끊어진 부분에 다리를 놓으면서 서로를 가늘게나마 이어준다. 2. 오르막길이 다시 펼쳐지는 서리풀공원 서리풀길 (서리풀다리 남쪽)서리풀길은 고속터미널 남쪽에서 방배동 청권사까지 이어지는 서리풀공원 능선길에 닦여진 4km의 산길이다. 몽마르뜨공원에서 서리풀다리를 건넌 서리풀길은 다시 오르막길이 펼쳐지는데, 산길 경사는 그렇..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7tmXP/btsJK3dTmiK/ozuUcw0eBo4gnVmcUG3VAK/img.jpg)
~~~ 여수 겨울 나들이 ~~~(충민사, 석천사) ▲ 여수 충민사, 석천사 모형도 (충민사 유물전시관) 겨울의 차디찬 바람이 옷깃을 더욱 여미게 하던 1월의 끝 무렵, 겨울 제국의 핍박에서 잠 시 벗어나고자 일행들과 따뜻한 남쪽으로 길을 떠났다. 햇님이 막 출근을 하던 이른 아침에 서울을 떠나 충북과 충남, 전북의 여러 곳을 두루 거 쳐 21시가 넘어서 여수(麗水) 땅에 들어섰다. 여수는 원래 계획에 없었으나 광양(光陽)에 서 저녁으로 광양불고기를 섭취할 때, 그곳 이야기가..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FAaLD/btsJM21wHFy/kKBJcQcqKFNxBjxNEadxX0/img.jpg)
1. 서리풀공원 몽마르뜨공원국립중앙도서관 남쪽 언덕이자 대법원과 대검찰청 북쪽 언덕에는 서리풀공원의 일원인 몽마르뜨공원이 상큼하게 펼쳐져 있다.외래어로 이루어진 몽마르뜨공원은 2000년에 서초구청에서 서울시와의 협의를 통해 조성한 것으로 예전에는 아카시아나무가 우거진 평범한 야산이었다. 여기서 가까운 반포동 서래마을에 프랑스 양이들이 많이 서식하고 있는데, 그것들의 취향을 저격할겸, 서양문화에 대한 모화사상도 줏대없이 부릴 겸, 프랑스 파리의 유명 관광지인 몽마르뜨의 이름을 가져와 공원 이름으로 삼았다. 이곳에는 산책로와 숲, 장미화단, 여러 석물들이 있으며, 늙은 존재는 딱히 없으나 가볍게 둘러볼 수 있는 산책, 나들이 명소로 바쁘게 산다. 2. 몽마르뜨공원 장미화단 한복판에 있는 춤추는 서양 애들 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