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hEY5j/btsJqZQ7oVt/fXXZWAnJSEXgMb8RTMJuB0/img.jpg)
1. 공릉산 백세문 (서울둘레길3코스)공릉동 노원로에 자리한 공릉산 백세문은 길쭉한 모습의 기와문이다. 절에 있는 일주문처럼 뻥 뚫린 모습으로 불암산의 남쪽 관문 역할을 하고 있는데, 불암산 백세문이라 부르기도 하고 짧게 백세문이라 부르기도 한다.이번 나들이는 백세문에서 시작하여 서울둘레길3코스를 따라 상계동나들이철쭉동산까지 긴 거리를 이동했는데, 나와 같은 서울 하늘 밑에 있음에도 이곳을 찾은 횟수는 정말 손에 꼽는다. 하여 이번에 이 구간을 철저히 익히기로 했다. 2. 백세문에서 불암산으로 인도하는 숲길(서울둘레길3코스)서울둘레길3코스는 화랑대역(6호선)에서 상계동나들이철쭉동산까지 이어지는 6.9km의 숲길이다. 백세문~화랑대역 구간을 제외한 전 구간이 불암산 자락으로 오르락 내리락이 도돌이표처럼 자..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7823l/btsJo1oBTyG/NQsm0Y0bVSdU9hr2ZS4nY1/img.jpg)
' 도심에서 가까운 고즈넉한 산사, 북한산 화계사 ' ▲ 화계사 대웅전과 명부전 봄과 여름의 마지막 경계선인 5월의 한복판에 북한산(삼각산) 화계사를 찾았다.화계사는20번 넘게 인연을 지은 절로 도봉동(道峰洞) 집에서 10리 정도로 아주 가까운 곳인데, 문득그곳이 크게 목말라져 간만에 발걸음을 했다.집에서 가까우니 일찍 나설 필요도 전혀 없어 햇님이 중천에 걸린 16시에 천천히 집을 나섰다. ▲ 화계사입구에 뿌리를 내린 오래된 느티나무 - 서울시 보호수 9-5호 한신대교차로에서 화계사로 인도하는 도로(화계사길)에 커다란 느티나무가넓게 그늘을 드리우며 정자나무 역..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p1wc5/btsJqLdf5Zh/Wkx1njZKbsd2uHoAq7RWtk/img.jpg)
1. 화계사 대웅전과 명부전 2. 화계사입구에 뿌리를 내린 오래된 느티나무 3. 화계사 일주문 4. 화계사에서 북한산(삼각산)으로 올라가는 화계사계곡 산길 5. 계곡 옆에 뿌리를 내린 늙은 느티나무 6. 대적광전(국제선원) 뒤쪽에 있는 늙은 느티나무 7. 대적광전(국제선원) 옆에 자리한 늙은 느티나무들 8. 화계사 대적광전 9. 경내 북쪽 언덕에서 바라본 화계사 10. 명부전 지장시왕상과 지장보살도 11. 화계사 천불오백성전 12. 어른 승려의 생활공간인 조실당 13. 화계사 범종 (사인비구 제작 동종) 14. 화계사 범종각 15. 화계사 동종 (사인비구 제작 동종) 16. 고된 세월에 녹초가 다 된 목어 17. 화계사 대적광전 (3층 부분) 18. 대적광전 내부 19. 화계사 보화루(화장루..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37umV/btsAO8PdkMT/mJNY2kOo0F04OGUDSGB4S1/img.jpg)
1. 벌교천 소화다리(부용교) 벌교읍내 북쪽 벌교천에 걸려있는 소화다리(부용교)는 1931년 8월에 지어진 철근콘크리트 다리이다. 흔히 소화다리라 불리는데, 다리가 완성된 1931년은 왜정 시절로 왜국은 20세기 한복판은 물론 지금 까지도 왜왕의 연호를 날짜에 쓰는 미개함을 보이고 있다. 그때(1931년) 왜왕은 소화(쇼와)로 그가 왕이 된지 6년째 되는 해라 소화 6년을 썼다. 다리가 완성된 이후 누가 부르기 시작했는지 모르지만(왜인들의 소행으로 여겨짐) 자연스럽게 소화 시기에 지어진 다리라고 해서 소화다리가 불렀고, 지금도 그렇게 많이 부른다. 1948년 여순(여수, 순천) 사건과 6.25 시절 비극의 상처가 서린 곳으로 남한(우익)과 북한(좌익)이 벌 교읍을 차지할 때마다 이 다리 위에 적들을 세우..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XbvQ1/btsAM3A6jDa/mbQOVotH5OkJzWz8KZaZJK/img.jpg)
1. 벌교 현부자네집 벌교시외터미널 북쪽에 보성의 대표 명소로 크게 추앙을 받는 태백산맥문학관이 있다. 조정래가 쓴 대하소설 '태백산맥'과 조정래에 대해 다루고 있는 문학관으로 그 동쪽에 태백산맥에 나오는 '현부자 네집'과 '소화의집'이 있는데, 이들은 기존 기와집에 현부자네집, 소화의집이라 이름만 붙인 것이다. 태백산맥문학관은 유료의 공간으로 입장료를 흔쾌히 치루고 내부를 둘러보았는데, 내부 촬영은 통제 되어 있어 사진에 담은 것은 하나도 없다. 또한 태백산맥의 내용에 대해서도 크게 관심이 없어 본글 에서는 태백산맥문학관과 태백산맥 소설에 대해서는 쿨하게 생략한다. 현부자네집과 뒷쪽에 있는 제각은 본래 박씨 문중의 것으로 지금은 태백산맥 명소로 속세에 개방되 어 있는데, 대문과 안채는 한옥의 기본 틀로..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RBggj/btsAPjwhFld/fLdQBw7sKYkkIhgNL2f2GK/img.jpg)
1. 용마산자락길 순환로3거리 시작점 (망우역사문화공원 사색의길 남쪽 종점) 용마산자락길은 사색의길 남쪽 종점인 순환로3거리에서 용마가족공원 남쪽까지 이어지는 2.2km의 나무데크 도보길이다. 아차산~용마산~망우산의 새로운 도보길로 전 구간이 경사가 완만한 나무데크 길로 이루어져 있으며, 조명이 넉넉히 설치되어 있어 어둑어둑한 저녁에도 편히 이용이 가능하다. 하 여 망우산에서 어둠을 만났을 경우 이 길로 탈출하면 편하다. 급한 경사를 크게 순화시켜 만든 길이라 마치 뱀의 허리에 올라탄듯 길이 구불구불하며, 자락길 주변 으로 면목동으로 빠르게 내려가는 산길도 있으니 취미와 성품에 따라 이용하면 된다. 2. 순환로3거리에서 시작된 용마산자락길 3. 무성한 숲을 지나는 용마산자락길 (순환로3거리 주변) 4.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du9yOM/btsAFwjlSLi/vQ31TNvFQfqyZRo6PJtZO0/img.jpg)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PSHDH/btsAEok4MLI/p6R0c3n4kwBMkxqJnRex21/img.jpg)
1. 금강공원 소나무숲 2. 동래온천 온정개건비 3. 용각의 정문인 온정용문 4. 용각 5. 금강공원 정문 6. 지석영 선생 공덕비 7. 거북바위 8. 금강공원 소나무숲길 9. 독진대아문터 10. 동래금강원 표석 11. 금강공원 연못 12. 금강공원 둘레길 13. 소나무로 가득한 금강공원둘레길 14. 금강공원 북쪽 연못 15. 임진동래의총 외삼문 16. 임진동래의총 외삼문 안쪽에 줄지어 있는 비석들 (동래부사 선정비, 불망비 등) 17. 임진동래의총으로 인도하는 길 (왼쪽 기와집은 금정사) 18. 임진동래의총 내삼문 19. 임진동래의총 충혼각 20. 임진동래의총 21. 임진전망유해지총 비석 22. 금정사 보제루 23. 금정사 경내 (대웅전 주변) 24. 금정사5층석탑 25. 금정사 칠성각 26. 금정사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BjHb/btsAvX2tjQJ/QioHr6G0tboIiepoj8Ig41/img.jpg)
1. 망우역사문화공원 계용묵묘 소설가 계용묵(1904~1961)은 1904년 평북 선천군에서 태어났다. 부친 계항교와 모친 죽산박씨 슬하 의 1남 3녀 중 장남으로 1918년 향리의 삼봉공립보통학교를 다니다가 순흥안씨 안정옥과 결혼했다. 1919년 졸업 후 서당에서 공부했으며, 보통학교 시절인 1920년 소년 잡지 '새소리'의 문예 공모에 시 '글방이 깨어져'로 응모해 2등으로 입선한 것을 기회로 문학에 진출했다. 조부 몰래 상경해 중동학교 와 휘문고보를 잠깐 다녔으나, 그때마다 신문학을 반대하는 조부에 의해 귀향해야만 했다. 서울에서는 김억과 같은 하숙집에서 숙식했다. 이때 염상섭, 남궁벽, 김동인 등과 교우하며 문학에 더 욱 뜻을 두었는데, 4년 동안 고향에서 홀로 외국문학서적을 탐독하다가 1928년..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L6g4v/btsAxJJksES/4WLQbfC4mnW0DKUHL83gBk/img.jpg)
1. 잔잔하게 펼쳐진 망우역사문화공원 사색의길 서쪽 구간 (서울둘레길2코스) 사색의길은 망우역사문화공원(망우리묘지)의 중심 길로 4.7km의 순환형 코스로 이루어져 있다. 숲 이 무성하고 경사가 거의 느긋해 거닐기에 아주 좋으며, 길 주변으로 근현대사 인물의 무덤이 많이 자리잡고 있다. 서울둘레길2코스가 사색의길 서쪽 구간을 따라 남북으로 흘러가며, 구리둘레길(사색의길 동쪽 구간) , 중랑둘레길(사색의길 서쪽 구간)도 이곳의 신세를 진다. 2. 사색의길 서쪽 구간 (용마약수와 이중섭묘 입구) 3. 국민강녕탑 사색의길 서쪽 구간 중간 정도에 국민강녕탑이라 불리는 큰 돌탑이 있다. 시루봉 서쪽에 숨겨진 관룡 탑과 함께 아차산에 있는 큰 돌탑의 일원으로 세모 모양으로 조성되었는데, 경남 산청에 있는 전 구형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Rcvfq/btsArfPmZBW/GILoussIdOGQsvkdhLnWb1/img.jpg)
1. 춘파 서동일 묘소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 서동일 묘소) 춘파 서동일(1893~1965)은 경북 경산 출신이다. 1923년 북경으로 넘어가 국민당에 입당하여 재정 부장을 담당했는데, 여기서 국민당은 장개석의 국민당이 아닌 남형우, 배천택 등이 나라의 국권회복 을 위해 군대를 양성하고 무력으로 독립을 쟁취하고자 만든 조직이다. 1924년 1월 군자금 모금의 밀명을 받고 본토로 들어와 대구 일대에서 군자금 1,300여 원을 조달해 다음달 2월 북경에 있는 국민당 본부에 전달했으며, 1925년 1월 남형우의 명을 받고 다시 본토로 들 어가 군자금을 조달했다. 1925년 4월 북경 마사묘에서 항일 비밀결사 다물단의 단원이 되었는데, 여기서 다물은 옛 땅과 영광 을 되찾는다는 의미로 고구려가 옛 조선의 영광..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dXoOe/btsAqKVES5R/IaIaclkuP9FqZ7m1Lhf5K1/img.jpg)
1. 김종서 장군묘 이곳에는 1453년 계유정난 때 처단된 김종서(1383~1453)의 한쪽 다리가 묻혀있다고 전한다. 이곳 에 묘를 쓴 것은 여기가 김종서 집안의 세장지지였기 때문인데, 무덤 옆에 그의 조부인 김태영, 부친 인 김추(김수)의 무덤이 있다. 김종서의 순천김씨 집안이 공주에 세거하게 된 것은 김태영 시절부터이다. (현재 이곳은 세종시 장군 면 땅이지만 예전에는 공주시 장기면이었음) 원래 거주지인 순천과 서울의 거리가 멀어서 중간보다 조금 윗쪽에 자리한 공주에 집과 농장을 마련했는데, 김태영과 김추는 이곳에 유택까지 마련해 사후 안식처로 삼았다. 김종서 묘는 근래 손질된 것으로 커다란 봉분과 묘비 3기(1748년, 1963년, 근래 지어진 비석), 상석, 문인석, 망주석 등을 지니고 있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