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LCb48/btsyTnarjzg/Gcop2ODYwopXjFTAaRmFPk/img.jpg)
1. 태허 유상규 묘 유상규(1897~1936)는 평북 강계 출신이다. 경신중학을 거쳐 1916년 경성의전 1기로 입학했으며, 1919년 3.1운동 때 경성의전의 중심 인물로 참가했다. 이후 상해 임시정부로 넘어가 도산 안창호 의 비서관으로 활동했으며, 이때 흥사단에 가입했다. 도산의 권고로 서울로 돌아와 1925년 복학해 1927년 졸업했으며, 경성의전 강사와 부속병원 외과 의사로 근무했다. 그리고 동아일보사 주최 강연회에 연사로 꾸준히 참여하여 잡지와 신문에 많은 글을 실으며 어리석은 조선 민중의 의학적 계몽활동에 나섰다. 1930년 조선의사협회 창설을 주도하기도 했으나 환자를 치료하던 중에 단독에 감염되어 1936년 39세에 젊은 나이로 병사하고 만다. 그는 안창호와 거의 부자지간처럼 사이가 각별해..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PeREr/btsyTmI6NdJ/zPY1wI1NeJz84UKIhfTemK/img.jpg)
1. 망우산2보루 망우산 정상부(282m)에 망우산2보루가 폐허의 상태로 깃들여져 있다. 정상(망우전망대)과 정상부 북쪽 부분에 걸쳐있는 그는 망우리묘지가 한참 닦이는 과정에서 크게 망가져 안타깝게도 원래 모습 과 규모를 파악하기가 힘든데, 다만 고구려식 토기 조각들이 여럿 나와 고구려가 닦은 보루로 여겨 진다. 2. 망우산2보루 안내문 주변 (망우산 능선길) 망우산에는 3개의 보루터가 발견되었는데, 이중 망우산 남쪽 능선에 있는 망우산1보루만 국가 사적 (아차산 일대 보루군)의 지위를 누리고 있고, 북쪽 능선(망우산 정상 북쪽)에 있는 망우산2보루와 3 보루는 비지정에 머물러 있다. 그만큼 2보루와 3보루의 상태가 영 좋지가 못하다. 3. 망우산3보루 남쪽 부분 4. 망우산3보루 망우산2보루에서 북쪽으..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xk4uz/btsyMyQnqLt/KxI8A9Y6MpfHQO2ONhjvuk/img.jpg)
1. 무덤 사이를 지나는 망우산 능선길 망우산은 아차산의 일원으로 그의 북쪽 부분을 담당하고 있다. (용마산은 가운데, 아차산은 남쪽 부 분) 망우산 능선은 사색의길 서쪽 구간과 동쪽 구간 사이에 솟아있는데, 능선 중간에 망우산 정상 (282m)이 있다. 오솔길처럼 펼쳐진 능선길에는 고구려 것으로 여겨지는 망우산2보루, 3보루 유적이 있으며, 산길 주 변으로 무덤들이 많이 포진해 있어 무덤 사이사이를 지나는 구간이 적지 않다. 특히 20세기 초/중기 에 활동했던 근현대사 인물의 무덤이 능선길 주변에 상당히 자리잡고 있어 그들을 찾아다니는 재미 가 쏠쏠하다. 2. 망우산 능선에서 바라본 천하 (동남쪽 방향) 푸른 숲 너머로 한강과 구리시, 강동구, 하남시, 예봉산, 검단산 등이 두 망막에 들어온다. 3.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dm4v4f/btsyLMgqYXJ/rAWWrZiMFJzLN4jyQZ3mM0/img.jpg)
1. 관룡탑을 만나기 50m 직전 망우역사문화공원 사색의길 동쪽 구간을 따라 남쪽으로 가면 동림정이 나오는데, 여기서 시루봉과 관룡탑, 망우산1보루로 인도하는 산길(구리둘레길1코스)이 마중을 한다. 그 길을 조금 들어서면 갈림길이 나오는데, 여기서 서쪽(남쪽 방향을 기준으로 오른쪽) 길이 망우산 남쪽 능선과 망우산1보루, 용마산, 아차산으로 이어지며, 동쪽(남쪽 방향을 기준으로 왼쪽)은 시루봉 과 관룡탑으로 빠진다. 시루봉으로 인도하는 산길을 5분 정도 내려가면 아차산, 망우산의 숨겨진 명소이자 거대한 돌탑인 관 룡탑이 마중을 나온다. 2. 아차산 관룡탑의 옆모습 망우산 동남쪽 자락이자 시루봉 서쪽 자락에 관룡탑이라 불리는 크고 견고한 돌탑이 숨겨져 있다. 망 우산과 시루봉은 아차산의 일원이라 아차산 관..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dEm4zl/btsyDwlzBLw/LJakoVTmsYzx2Cv4TK0K21/img.jpg)
1. 묘비만 남은 이영민묘 차중락 묘 북쪽에는 야구선수로 유명했던 이영민의 유택이 있다. 무덤은 다른 곳으로 이전되고 묘비 만 덩그러니 남아 옛 자리를 지키고 있는데, 이곳의 신세를 잠시 졌던 이영민(1905~1954)은 경북 예 천 출신으로 배재고등보통학교와 연희전문학교를 나왔다. 1928년 육상 400m에 출전해 한국 신기록을 세웠으며, 같은 해 서울운동장(구 동대문운동장)에서 열 린 경성의전과의 시합에서 우리나라 사람 최초로 홈런을 날려 크게 인기를 얻기도 했다. 1931년 잡지 '동광'이 선정한 '조선이 낳은 10대 운동가' 중 최다 득표를 차지했으며, 해방 이후 조선야구협회 초대 이사장, 1954년에는 대한야구협회 부회장 등으로 활동했다. 1958년부터 대한야구협회에서 그를 추모하고자 고등학교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4Asf1/btsyCi02e8f/VO11K4jSDARg4NOi7Fz2Kk/img.jpg)
1. 중랑전망대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망우역사문화공원 사색의길 서쪽 구간 남쪽 부분에 자리한 중랑전망대는 서울 시내가 있는 서쪽을 향 해 고개를 내민 전망대이다. 여기서는 중랑구 일대를 비롯해 봉화산, 동대문구, 성북구, 강북구, 도봉 구, 노원구, 북한산(삼각산), 도봉산, 불암산, 수락산, 구리시 갈매, 남양주시 별내 지역이 훤히 두 망 막에 들어온다. 2. 중랑전망대에서 바라본 중랑구와 동대문구, 성북구, 강북구, 북한산(삼각산), 도봉산 3. 중랑전망대에서 바라본 중랑구와 봉화산, 성북구, 노원구, 도봉구, 북한산(삼각산), 도봉산, 수락산 등 4. 중랑전망대에서 바라본 중랑구와 봉화산, 북한산(삼각산), 수락산, 불암산, 노원구, 구리 갈매지구 등 가운데 부분에 우뚝 솟은 뫼가 중랑구의 북쪽 지..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yczt/btsysouvoh3/5kcdacWKAvEiRDcnKtFZd1/img.jpg)
1. 망우산에 들어서다 (용마랜드에서 올라가는 산길) 충익공 신경진 묘역을 둘러보고 용마랜드 북쪽을 통해 망우산(282m)의 품으로 들어섰다. 망우산은 아차산 식구의 일원으로 아차산 산줄기의 북쪽을 이루고 있는데, 산자락에 그 유명한 망우리묘지(망 우리공동묘지)가 넓게 둥지를 틀고 있다. 이곳은 서울의 최대 공동묘지로 지금은 망우역사문화공원 으로 이름을 세탁했는데, 그렇다고 공동묘지의 기능이 완전히 지워진 것은 아니다. 비록 무덤이 많이 이장되긴 했어도 여전히 7천 기가 넘는 무덤들이 안겨져 있다. 특히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중반에 활동했던 애국지사, 정치인, 문학가, 예술가의 무덤이 적지 않 게 깃들여져 있어 근현대사 무덤 답사지로 크게 명성을 얻고 있다. 망우산 주능선에는 고구려가 심은 것으로..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UeSH3/btsysINwKmf/DtbeKxYZJ5CzEo9c0O9HkK/img.jpg)
1. 망우동 충익공 신경진 묘역 망우산(282m) 서쪽 자락 밑인 면북초교 북쪽에 신경진을 중심으로 한 평산신씨 묘역이 자리잡고 있다. 묘역의 중심은 충익공 신경진(1575~1643)으로 그는 임진왜란 시절 탄금대 전투를 거하게 말아먹고 전 사했던 신립의 아들이다. 신경진의 자는 군수로 서울 출신이며, 아비의 후광으로 선전관에 등용되었다. 이후 오위도총부도사로 전보되어 무과에 급제했으며, 태안군수와 담양부사를 거쳐 부산진첨사가 되었다. 그는 왜열도를 장악한 도쿠가와(덕천가강) 막부와의 화의를 반대하며 그들이 파견한 사신을 접대하지 않고 추방했는데, 그 일로 체임(녹봉을 당분간 받지 못함)이 되기도 했으며, 이후 갑산부사가 되었고, 함경남도병마우후를 지내던 중, 체찰사 이항복의 요청으로 경원부사와 벽동군수..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tG4zg/btsyuIkz1AG/VRYWiKPgqJBMNPWKqjEMxk/img.jpg)
1. 충주 호암토성(충주토성) '가'지구 충주 시내 남쪽 끝자락에 위치한 호암지구에는 근래 복원, 재현된 호암토성이 있다. 여기서는 토성 외에도 다양한 시대의 무덤과 가마터가 쏟아져 나왔는데, 장대한 세월의 거친 흐름으로 모두 사라져 땅속에 묻힌 것을 2013~2014년 호암택지지구를 닦는 과정에서 다시 햇살을 보게 되었다. 이곳에서는 구석기시대 문화층 2개, 삼국시대 무덤 48기(석실묘 36기, 석곽묘 12기), 목탄가마 5기, 고려 토성, 고려 무덤 331기, 조선 기와가마 15기, 조선 무덤 1,074기가 나왔는데, 이를 통해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들이 호암동 지역에 살았음을 알려준다. 이렇듯 구석기시대부터 조선까지 다양한 시대 의 유적과 유물이 나와 충주 지역의 숨겨진 이야기를 많이 제공해주었지만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ljUue/btsytYnUJo6/MO2dJA8xvqJY9Ns4kfuy9k/img.jpg)
1. 충주 호암토성(충주토성) 구석기시대 유적 안내문 충주 시내의 남쪽 끝자락인 호암지구에 자리한 호암토성은 최근에 발견되어 복원, 재현된 토성 유적 이다. 이곳에서는 토성 외에 다양한 시대의 무덤과 가마터가 쏟아져 나왔는데, 장대한 세월의 거친 흐름으로 모두 사라져 땅속에 묻혀있던 것을 2013~2014년 호암택지지구를 닦는 과정에서 다시 햇 살을 보게 되었다. 여기서는 구석기시대 문화층 2개, 삼국시대 무덤 48기(석실묘 36기, 석곽묘 12기), 목탄가마 5기, 고 려시대 토성, 고려 무덤 331기, 조선 기와가마 15기, 조선 무덤 1,074기가 나왔는데, 이를 통해 구석 기시대부터 사람들이 호암동 지역에 살았음을 알려준다. 이렇듯 구석기시대부터 조선까지 다양한 시 대의 유적과 유물이 나와 충주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8Vk0t/btsys7Fo7Gt/RLoD5fHdk2TV2TTpm4xftK/img.jpg)
1. 창룡사로 인도하는 고든골길 충주 시내의 동쪽 뫼인 남산(금봉산) 서쪽 자락 280m 고지에 창룡사가 포근히 깃들여져 있다. 이곳 은 석종사 서쪽 산너머로 석종사로 이어지는 직동길에서 남산의 산주름 속으로 인도하는 고든골길을 따라 10여 분 올라가야 된다. 2. 푸른 숲에 감싸인 창룡사 가는 길(고든골길) 3. 석축 위에 높이 자리한 창룡사 경내 남산 서쪽 자락에 깃든 창룡사는 신라 문무왕 시절에 원효대사가 창건했다고 전한다. 원효는 충주 지 역을 지나다가 객주에서 하룻밤 머물렀는데, 꿈에서 푸른 용이 여의주를 물고 희롱하는 것을 보았다. 하여 그를 쫓아가다가 목이 너무 말라서 수분을 찾고자 주위를 두리번 거리다가 아리따운 처자를 만 났는데, 그녀가 표주박에 물을 떠주면서 '이곳이 참 좋지요' 그랬다..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zcKqF/btsymLBsxVw/T1ibKds3Gu6lTzdAZk9ZOk/img.jpg)
1. 석종사 대웅전 앞계단 정연하게 펼쳐진 하얀 피부의 돌계단 끝에 석종사의 법당인 대웅전이 남산을 뒤에 두고 남쪽을 바라 보며 장엄하게 자리잡고 있다. 대웅전은 정면 5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외부 기둥 전부를 춘양목으로 만들었다. 대웅전 현 판과 주련은 서예가인 동강 조수호 선생이 쓴 것이며, 내부에는 석가3존상과 후불탱, 신중탱 등이 봉 안되어 있는데, 이들은 모두 인간문화재 지위를 지닌 장인들이 조성했다. 그만큼 석종사에서 크게 심 혈을 기울여서 만든 이곳의 최대 걸작품이다. 2. 대웅전에서 바라본 남쪽 방향 - 석종사 경내와 발치봉(550m) 대웅전에서 바라보는 남쪽 조망이 이곳의 백미로 꼽힌다. 비록 두 망막에 들어오는 것은 이게 전부이 지만 전통 방식으로 조성된 석종사의 가람 배치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