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9YIpT/btrR2tcQhd5/k39zhbtOddocy8S4HkCh31/img.jpg)
1. 시흥4동 순흥안씨양도공파묘역 (남쪽 산자락 묘역) 호암산 북쪽 자락에는 순흥안씨 양도공파묘역이 둥지를 틀고 있다. 이곳에는 조선 개국공 신인 양도공 안경공을 비롯해 그의 아들과 손자 등 3대의 묘와 양도공의 부조묘가 자리해 있는데, 안경공 3대가 묻힌 중심 묘역의 남쪽과 동쪽 산자락에도 조선 후기~20세기에 조 성된 후손들의 무덤이 적지 않게 자리하고 있다. 양도공 안경공(1347~1421)과 안순(1371~1440), 안숭선(1392~1452), 안숭신(1395~1441) , 안숭효(1400전후~1460) 등 5기의 무덤과 이들 무덤에 딸린 신도비와 석물 32기, 그리고 그에 딸린 토지 2,247.1㎡가 지방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부조묘는 1992년에 이전 중건 했다. 이들 무덤 5기는 조선 초기..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skW0a/btrRY4xbEdg/5lxRGBJIzYPGFlxYm97tm1/img.jpg)
1. 호암산 북쪽 능선길 호암산은 금천구의 오랜 진산이자 대표 지붕으로 석수역 동쪽에서 불영암, 호암산성터, 호압사, 목골산을 거쳐 독산자연공원까지 이어지는 긴 산줄기이다. 즉 금천구의 거대한 동쪽 벽이다. 보통 호암산을 찾으면 호압사와 호압사 동쪽에 솟은 호암산 정상부, 불영암과 한우물로 이어지는 서남쪽 능선길, 삼성산으로 이어지는 동남쪽 능선길, 서울둘레길5코스 주변을 많이 찾는데, 의외로 호압사 이북의 북쪽 능선은 손과 발이 잘 가지 않았다. 호암산은 내 즐겨찾기 뫼의 일원으로 20년 넘게 오지게 찾았음에도 말이다. 북쪽 능선을 처음 가본 것은 2016년 여름이며, 이후로 4~5번 정도 가본 것이 전부이다. 그리고 목골산까지 간 것은 딱 2번에 불과하다. 이번 북쪽 능선 더듬기는 햇님의 퇴근시간 관..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RWlzj/btrRXCzIWbn/XCE2o8tVI4WiM3tuWTDRb0/img.jpg)
1. 호압사 경내 동쪽 느티나무 (서울시 보호수) 호압사 경내에는 500년 이상 묵은 늙은 느티나무가 2그루 전하고 있다. 이들은 약사전에 봉안된 석불좌상과 함께 호압사의 오랜 내력을 밝혀주는 존재들로 서쪽 나무는 높이 7m, 허리둘레 4.2m, 동쪽 나무는 키 11m, 허리둘레 3.6m이다. 2. 붉게 잘익은 경내 동쪽 느티나무 (밑에서 바라본 모습) 3. 호압사 경내 서쪽 느티나무 (서울시 보호수) 4. 호압사 석불좌상(약사불) 호압사의 법당인 약사전에 이곳의 오랜 보물인 석불좌상이 소중히 봉안되어 있다. 그의 정 체는 동방정토의 주인인 약사여래로 문화재청의 예전 지정 명칭은 '석약사불좌상'이었으나 지금은 석불좌상(약사불)으로 갈렸다. 약사여래의 집이라서 건물 이름도 약사전을 칭하게 되었는데, 예전에..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ZxhRZ/btrRT5weLvF/5vJEJU65NSiaatWZYKvD81/img.jpg)
1. 백호부대 소초터 북쪽 바위에 깃든 마애산신상(마애산신부부상) 2. 백호부대 소초터 북쪽 바위에 깃든 또 다른 마애산신상 3. 인왕산 석굴암입구 (인왕산길) 4. 인왕산 석굴암으로 인도하는 각박한 계단길 5. 석굴암 밑 바위에서 바라본 인왕산 동쪽 자락과 북악산, 서울 도심부, 서울 동부 지역 6. 석굴암 밑 바위에서 바라본 서촌(웃대)과 서울 도심부, 서울 동부 지역 7. 석굴암 밑 바위에서 바라본 서촌(웃대)과 서울 도심부, 남산 8. 인왕산 석굴암 직전 계단길 9. 큰 바위로 이루어진 인왕산 석굴암 10. 석굴 법당 내부 석가3존상 11. 옆에서 바라본 석굴 법당 석가3존상 12. 석굴 법당에 깃든 석조 신중탱 13. 석굴암 마애산신도 (옛 산신각 자리) 14. 마애산신도를 품은 바위 (마애산신..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OSUtT/btrRXfdJC6v/PW9sWZKy5O3cB0fLuXiiB0/img.jpg)
1. 무무대에서 바라본 인왕산 동쪽 자락과 북악산(백악산)의 위엄 2. 청운문학도서관 별당 3, 인왕산길(인왕산자락길) 4. 윤동주문학관 주변에서 바라본 북악산(백악산) 5. 청운공원 '인왕산에서 굴러온 바위' 6. 청운공원 인왕산 호랑이상 7. 윗쪽에서 바라본 청운문학도서관 8. 청운문학도서관 본관 9. 청운문학도서관 별당 10. 청운문학도서관 별당에서 바라본 인공폭포 11. 시원하게 쏟아지는 청운문학도서관 인공폭포 12. 청운문학도서관 서쪽 길에서 바라본 도서관 본관과 별당 13. 청운공원에서 만난 늦가을 풍경 (인왕산자락길) 14. 청운공원 남쪽 부분 숲길 15. 청운공원에서 바라본 윤동주시인의언덕 주변과 북악산(백악산) 16. 인왕산길과 그 옆구리에 펼쳐진 인왕산자락길 17. 구불구불 이어진 인왕..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nBzaT/btrRT4icYOc/jEg7OTsydv3qPwjV24BfK0/img.jpg)
1. '호암산문' 현판을 내건 호압사 일주문 호압사입구 정류장(152, 6515, 5517번 정차)에서 호압사, 호암산으로 들어서는 입구에 자 리한 팔작지붕 일주문이다. 이 문은 호압사 및 호암산의 정문 역할을 하고 있는데, 2000년에 금천구에서 지어준 것으 로 그 시절 금천구가 서울시 25개 자치구 민원행정실적평가에서 우수 구로 선정되어 시상 금을 받았다. 바로 그 돈으로 '활기찬 금천구 만들기 기념' 프로젝트의 일원으로 금천구의 진산인 호암산의 대표 관문이자 호압사입구인 이곳에 세운 것이다. (호압사에서 세운 문이 아님) 문 현판에 쓰인 호암산문은 호암산에 안긴 절, 호압사를 뜻하며, 문 앞에는 호암산 안내문 과 쉼터가 있다. 2. 호압사 일주문(호암산문)에서 호압사로 인도하는 언덕길 (호암산문 방..
' 서울 도심 속의 전원마을, 부암동 늦가을 나들이 ' ▲ 홍지문과 탕춘대성 ▲ 옥천암 마애보살좌상 ▲ 세검정 종로구 북부에 자리한 부암동(付岩洞)은 북한산(삼각산)과 인왕산, 북악산(백악산)에 포 근히 감싸인 산골 분지이다. 전원(田園) 분위기가 진하여 여기가 과연 서울 한복판이 맞 는지 심히 고개를 갸우뚱하게 하는데, 자연과 어우러진 늙은 경승지(세검정, 홍지문. 백 석동천 등)는 물론 미술관 등의 문화공간(환기미술관, 서울미술관, 자하미술관 등)도 풍 부하여 나들이의 깊이와 재미를 더해준다. 바로 그런 매력 때문에 한참 전인 20대의 한복판에 부암동과 백석동천(백사실계곡)에 퐁 당퐁당 빠져버렸고, 이후 1년도 거르지 않고 매년 여러 번씩 발걸음을 하여 나의 마음을 비추고 있다. 사계절 가운데 가장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DjE09/btrRDVM7eLf/8mI7fVhPscUhiOUl1M84zK/img.jpg)
1. 금천고을 동헌관아터 경기도의 일원이었던 금천고을(금천현)은 호암산 그늘인 금천구 시흥동을 중심으로 금천 구와 관악구, 구로구 지역, 경기도 광명시와 시흥시, 안양시, 군포시, 의왕시를 관리하던 너른 고을이었다. 시흥5동 은행나무교차로 일대가 금천고을의 중심지로 관아(동헌)와 향 교, 객사 등이 있었으며, 그 주변으로 도시가 형성되었다, 시흥고을이라 불리기도 했으며, 정조 임금이 사도세자의 묘역인 현륭원으로 참배를 갈 때, 이곳을 거쳐갔다. 고약했던 왜정 시절, 금천고을의 관청 건물들은 모두 파괴되었고 금천향교(시흥향교)는 과천향교에 강제 통합되어 사라졌다. 그래도 시흥고을(시흥군)의 중심지 역할은 유지했으 나 시흥동을 비롯한 현재 금천구 지역이 서울에 편입되면서 서울 영등포구 땅이 된다. 하 여 시..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lOZ2e/btrRzQMAUB4/f089zbvP2EGLnQS0CKT060/img.jpg)
1. 홍제천에 걸린 홍지문과 탕춘대성 2. 옥천암 마애보살좌상 (보도각 백불) 3. 세검정 (세검정터) 4. 세검정의 내부 모습 5. 세검정 앞에 누워있는 차일암 6. 세검정 옆 산책로 7. 세검정 동쪽 홍제천 산책로 8. 세검정 동쪽 산책로에서 바라본 세검정과 홍제천 9. 석파정에서 떨어져 나온 석파정 별당 10. 석파정 별당 쪽마루와 섬돌 11. 석축 위에 자리한 석파정 별당 12. 석파정 별당에서 바라본 석파랑과 150년 묵은 감나무 13. 석파랑 대문 14. 석파랑 내 만세문 (경복궁에서 가져온 문) 15. 석파랑 본채 16. 석파랑 본채 뒤쪽에 숨겨진 붉은 장독대들 17. 홍지동 산신당 18. 세검정교차로에 있는 부침바위 표석 19. 홍지문과 오간대수문 20. 홍지문의 앞 모습 21. 홍지문의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HYjiu/btrRtdOAjVI/G8WgCqQAvPKd4cV5WxMGFK/img.jpg)
1. 덕포진 다포대 덕포진에 있는 3개에 포대 중 가장 북쪽에 자리한 포대로 강화해협(염하)을 향해 작게 입 을 벌리고 있다. 이들 포대는 토성을 쌓고 그 안에 여러 공간을 숨겨두어 포좌를 설치했는 데, 바깥을 향해 작게 창을 내어 그곳으로 화포를 쏘았다. 2. 토성처럼 둘러진 덕포진 다포대 (손돌묘, 돈대터 방향) 3. 풍년예감, 덕포진 다포대에서 바라본 신안리 들녘 4. 덕포진 다포대의 포좌(포대시설) 토성 안쪽에 포대 공간을 만들고 조그만 창을 내어 그것을 통해 화포를 쏘았다. 토성 안쪽 에 이렇게 위장을 해놓았기 때문에 바깥에서는 잘 눈에 띄지 않는다. 5. 강화해협을 향해 작게 입을 연 덕포진 다포대 6. 덕포진 다포대 안쪽 7. 덕포진 다포대에서 바라본 강화해협과 초지대교 8. 덕포진 가포대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7rHAI/btrRn69uHZ0/AZkmJVzwXjYKpLRxixyO6K/img.jpg)
1. 덕포진 파수청터 김포 덕포진은 신미양요(1871년) 때 심하게 파괴되었다. 이후 고약했던 왜정을 거치면서 완전히 주저앉았고, 그로 인해 그 이름과 존재는 산산히 흩어지고 만다. 1970년대 후반 김기송씨(김포시 문화관광해설사)는 덕포진 해안에 있던 손돌묘 진혼제에 참여했다가 지역 사람들로부터 세월의 저편으로 사라진 덕포진 포대에 대한 이야기를 들 었다. 하여 지역 노인들의 고증을 토대로 손돌묘 주변을 싹 조사하여 고된 세월에 지쳐 쓰 러져 있던 덕포진의 흔적을 건지게 되었다. 1980년에 이르러 정부에서 본격적으로 발굴조사를 벌였는데, 그때 땅속에 묻혀있던 파수 청터을 건졌다. 이 건물터는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로 여겨지는데, 맞담처럼 둘러진 석벽 을 지니고 있었으며 발굴 당시 7개의 포탄과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Crtok/btrRhKzx1gc/cY0k8wzhMjkI2rHD3j9klk/img.jpg)
1. 곡장에서 바라본 북악산 정상(백악마루) 2. 북악산 곡장 여장 3. 청운대 암문~곡장 구간 한양도성 바깥길 4. 북악산2번출입문 (북악산길 북악스카이웨이2교 동쪽) 5. 북악산2번출입문~청운대안내소 숲길 6. 북악산2번출입문~청운대안내소 숲길에서 바라본 북악산 정상 7. 북악산2번출입문~청운대안내소 숲길 8. 북악산2번출입문~청운대안내소 숲길에서 만난 구 경계초소 9. 윗쪽에서 바라본 청운대안내소(북악산3번출입문) 10. 옛 군견 훈련장터 (청운대안내소~청운대 암문 구간) 11. 인공이 심하게 가해진 계곡 (청운대안내소 안쪽 계곡) 12. 청운대 암문(북악산 주능선) 직전 계단길 13. 한양도성 청운대 암문 14. 청운대 암문에서 청운대, 백악마루 방향 북악산 주능선 한양도성 15. 청운대 암문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