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OCQba/btrQ1gd9Jii/M4WB7EfPsHHkCdZfVE6r6K/img.jpg)
1. 김포 덕포진 가포대 강화해협 동쪽 김포 땅에 자리한 덕포진은 조선 선조 때 조성된 것으로 여겨지는 해안 포 대이다. 강화해협 서쪽인 강화도에는 해안을 따라 진, 보, 돈대 등 방어시설이 즐비하나 김포 쪽은 덕포진과 문수산성이 전부인데, 덕포진은 강화해협 너머로 광성보, 덕진진과 마주보고 있으며, 그들과 함께 강화해협 손돌목을 지켰다. 덕포진은 강화에 소속되어 있다가 1666년 통진 관할로 변경되었는데, 1682년 강화부 주 진으로 승격되어 영종도와 안흥진을 관리했다. 1866년 병인양요 때는 프랑스 애들 함대 와, 1871년 신미양요 때는 미국 애들 함대와 처절하게 격전을 치렀으며, 그때 크게 파괴 되었다가 왜정을 거치면서 덕포진의 존재는 거의 사라지고 만다. 1980년 발굴조사를 벌여 땅속에 잠들..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Wvs3a/btrQ2fFjaeT/FsjgF0evKAIEZ3mHB6BxG0/img.jpg)
1. 평화누리길1코스(염하강철책길) 대명항 시작점 평화누리길1코스는 대명항(대명포구) 북쪽에서 강화해협(염하)을 따라 문수산성 남문까지 이어지는 14km의 도보길이다. 대부분의 구간이 염하 옆구리를 따라 이어지며 철책이 둘러 진 해변길과 낮은 언덕길이 주류를 이룬다. 그리고 염하 너머로 덕진진과 광성보, 갑곶진 등 강화도 동쪽 해안이 쭉 시야에 들어와 가는 길도 그리 심심치는 않다. 이번 나들이는 대명항 북쪽에 있는 덕포진을 보고자 찾은 것으로 대명항에서 평화누리길1 코스를 통해 덕포진으로 접근했다. 그 길을 1km 정도 가면 덕포진이 마중을 하면서 자연히 덕포진 경내로 들어서게 된다. 2. 평화누리길1코스 대명항 시작점에 설치된 귀여운 조형물들 3. 철책을 따라 펼쳐진 평화누리길1코스 대명항~덕포진 구..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sa5OK/btrQ1gRxsvV/sxU5Kx9YX0m79iuK2trvs0/img.jpg)
1. 안동권씨 유회당 종가 산수유나무와 사당 2. 무수동입구(침산2교)에 세워진 장승들 3. 대전 무수동의 평화로운 전원 풍경 4. 300년 정도 묵은 유회당 종가 앞 은행나무 5. 안동권씨 유회당 종가 일원 6. 유회당 종가 사랑채 7. 유회당 종가 안채 8. 유회당 종가 산수유나무와 사당, 그리고 낮은 석축과 계단 9. 노랗게 익은 유회당 종가 산수유나무 10. 유회당 종가 사당(가묘) 11. 유회당 종가 연못인 배회담 12. 유회당 종가 광영정(인풍루) 13. 광영정 내부 인풍루 현판 14. 광영정 현판 15. 동쪽에서 바라본 연못(배회담) 16. 마루가 다소 높은 광영정 17. 담장에 둘러싸인 유회당 18. 솟을3문으로 이루어진 유회당의 정문, 충효문 19. 활수담과 돌다리 20. 활수담 연못을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M99eX/btrQTSdxLir/yrRKKmg7BWdprqcpAkXF5K/img.jpg)
1. 늦가을에 잠긴 북악산길 탐방로 2. 백사실계곡 상류 외나무다리 3. 능금마을로 이어지는 백사실계곡 상류 계곡길 4. 북악산길에서 능금마을로 내려가는 길(백석동2길) 5. 북악산길 탐방로 (북악산2번출입문 동쪽 구간) 6. 늦가을에 곱게 잠긴 북악산길 탐방로 (북악산2번출입문~3번출입문 구간) 7. 늦가을의 수채화 속으로 (북악산2번출입문~3번출입문 구간) 8. 늦가을이 질러놓은 산불 (북악산2번출입문~3번출입문 구간) 9. 늦가을의 한복판에서 (북악산2번출입문~3번출입문 구간) 10. 굳게 잠긴 북악산 청운대안내소 (북악산3번출입문) 11. 북악산길에서 바라본 능금마을(뒷골마을) 윗쪽 부분 12. 구불구불 이어진 북악산길 (북악팔각정 서쪽 구간) 13. 북악산길 나무데크 탐방로 (북악산4번출입문 주..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U5u8b/btrQMxzGDud/LXWpDeQUf9b4ePmtPYoNA0/img.jpg)
1. 용양봉저정공원에서 바라본 동쪽 방향 바로 앞에 마크힐스아파트와 아크로리버하임아파트가 전방 시야를 가리며 가득 들어차 있 고, 그 너머로 한강과 서초구, 송파구 지역이 시야에 들어온다. (제2롯데월드도 희미하게 보임) 2. 용양봉저정공원에서 바라본 흑석동 지역과 서달산 국립서울현충원을 품은 서달산 너머로 관악산이 원근감을 보이며 고개를 들고 있다. 3. 용양봉저정공원에서 바라본 서쪽 방향 한강대교와 한강철교, 원효대교, 마포대교, 서강대교 등이 주렁주렁 걸려있는 한강을 위시 해 여의도와 용산구(원효로), 마포구 지역이 두 망막에 들어온다. 4. 용양봉저정공원에서 바라본 북쪽 방향 (한강과 용산구 지역) 5. 용양봉저정공원 하늘전망대 주변 6. 용양봉저정공원 안내도 7. 숲내음이 가득한 용양봉저정공원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xEMGc/btrQDciJlAE/exkowWGpzYNo2pRo21oL4k/img.jpg)
1. 용양봉저정공원 숲길 본동(노량진1동)에 위치한 용양봉저정 동쪽 언덕에 용양봉저정공원이 자리하고 있다. 용 양봉저정(용봉정) 동쪽에서 흑석동 아크로리버하임아파트(아파트 이름도 참 길다) 서쪽까 지 펼쳐진 작은 언덕으로 북쪽은 현충로와 한강과 맞닿아있고, 남쪽은 흑석동 주택가를 통 해 노량진고구동산과 이어진다. 이 언덕은 오랫동안 야산으로 방치되어 있었는데, 언덕 자락에는 집들이 여럿 둥지를 틀고 있었다. 동작구에서 '용양봉저정 일대 관광명소화' 정책을 추진하면서 조용히 살아가던 이 곳 야산을 공원으로 상큼하게 닦아 2021년 4월 30일 속세에 내놓았다. 이곳은 비록 작은 언덕이나 한강을 옆구리에 끼고 있고, 북쪽과 서북쪽, 동북쪽이 확 트여 있어 한강과 도심 야경 구경에 최적화되어 있다. 그러다보니..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dBF7D/btrQrD88cMO/bNHHBN2b9xx8PR2S2Dqurk/img.jpg)
1. 효사정에서 바라본 '조석견과 완성군 이귀정 묘역' 동작구 흑석동의 한복판이자 흑석시장 동쪽에 도시에 꽁꽁 둘러싸인 외로운 숲동산이 있 다. 바로 그곳에 조석견과 완성군 이귀정 묘역이라 불리는 오래된 무덤들이 옹기종기 모여 있다. 완성군 이귀정(1454~1527)은 정종의 아들인 덕천군의 손자이다. 1506년 중종반정에 참여 해 익운공신이 되었으며, 완성군에 봉해졌다. 그의 후손들은 조선 중기 이후 소론파에서 크 게 활동했는데, 양명학을 연구해 강화학파를 이루기도 했다. 묘역 가장 윗쪽에는 완성군의 장인인 판관 조석견 부부의 묘가 있고, 그 밑에 완성군 부부묘, 그 밑으로 완성군의 2째 아들인 상산군 이계보, 상산군의 장남인 이억속의 묘, 이억손의 손 자인 이의의묘 등이 자리하고 있는데, 완성군의 장..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A62mS/btrQqmMZdHc/RXVQqhxuPULPgFcF79jrH1/img.jpg)
1. 흑석동 효사정 흑석동 현충로와 한강 사이로 언덕 하나가 높이 솟아 있다. 그 언덕 정상에 한강 조망과 야 경 명소로 명성이 자자한 효사정이 포근히 깃들여져 있다. 한강변 언덕에 자리한 효사정은 조선 세종 때 한성부윤과 우의정을 지낸 노한(1376~1443) 이 세운 별서에서 비롯되었다. 노한의 자는 유린, 효는 효사정, 시호는 공숙공으로 1439년 모친인 개성왕씨대부인이 별세하자 무덤 옆에 초막을 짓고 3년간 시묘를 했는데, 나중에 그 자리에 별서를 지어 말년을 보냈다. 그리고 모친의 무덤 북쪽인 한강변 언덕에 정자(효사정)를 짓고 종종 찾아와 모친과 개성 에 묻힌 부친을 그리워했다고 전한다. 효사정이란 이름은 노한이 지은 것이 아닌 노한과 동서지간이던 호조참판 강석덕이 지은 것으로 그의 아들인 강..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g1uTm/btrQpTEgBgA/I7i3kCyXOhL6AgPcwFqou0/img.jpg)
1. 효사정 서쪽 산책로 (심훈 문학길) 흑석동 효사정 정류장에서 효사정 서쪽 밑으로 이어지는 도보길이다. 길 북쪽에는 한강이 푸른 빛깔을 띄며 흐르고 있고, 남쪽에는 노량진과 국립서울현충원을 잇는 현충로가 펼쳐 져 차량들의 굉음이 두 귀를 끊임없이 때려댄다. 이 산책로에는 흑석동 출신의 문학가 심훈의 문학비와 학도의용군 현충비, 효사정 등의 명 소들이 있으며, 효사정은 산책로 동쪽에 솟은 강변 언덕 정상부에 자리하고 있다. 2. 학도의용군현충비 효사정 서쪽 밑에 학도의용군현충비가 자리하여 나그네의 옷깃을 잠시 여미게 한다. 6.25 시절 나라를 지키고자 책을 버리고 전쟁에 참가한 학도 의용군은 30만 명, 그중 직접 총을 들고 전방에서 싸운 사람은 5만 명 정도 된다. 전쟁에서 호국신으로 산화한 그들의..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4Kuh8/btrQezZ1k2I/CfbQfuVIRkR8DzeXCxlGp1/img.jpg)
1. 사육신공원에서 바라본 여의도와 63빌딩, 그리고 푸르른 늦가을 하늘 사육신묘를 품은 언덕은 북쪽은 한강과 접해있고, 서쪽과 동쪽은 한강변 평지, 그리고 남쪽 은 서달산으로 이어지는 산줄기이나 노량진로 개설로 서로가 끊어져 있다. 2. 사육신공원에서 바라본 한강과 한강철교, 용산구, 마포구 지역 용산구와 마포구 지역 너머로 멀리 서울의 듬직한 진산, 북한산(삼각산) 산줄기가 시야에 들어온다. 3. 사육신공원에서 바라본 여의도63빌딩과 한강, 마포구, 용산구 지역 4. 사육신공원 정상부에 닦여진 야생화정원 사육신공원 정상부 서쪽에는 장미꽃 등 여러 꽃들의 공간인 야생화정원이 있다. 사육신묘 일대를 사적공원 겸 시민공원으로 꾸미면서 달아놓은 것으로 내가 갔을 때(10월 말)는 장 미꽃들이 늦가을 향연을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VuvEF/btrQh4KIK6Z/dGRRFaK3sKVvO9YwvYoZ41/img.png)
1. 제주 별방진의 상큼한 봄날 (별방진 남문터 주변) 2. 멀리서 바라본 별방진 3. 별방진 안쪽 밭두렁과 돌담길(올레길) 4. 별방진 동북쪽 성곽 5. 별방진 북쪽 성곽 6. 별방진 옆 동네 돌담길 7. 하도포구(별방포) 동쪽 해변 8. 별방진 용천수 샘터 (북쪽 성곽 앞) 9. 별방진 북쪽 성곽 (성곽 안쪽) 10. 별방진 안쪽 연지 11. 별방진 북쪽 성곽 윗도리에서 바라본 하도포구와 남해바다 12. 별방진 북쪽 성곽 윗도리에서 바라본 동북쪽 성곽 13. 별방진 북쪽 성곽 윗도리에서 바라본 서쪽 방향 (별방진 북쪽 성곽) 14. 별방진 북쪽 성곽 윗도리에서 바라본 연지 15. 별방진 동북쪽 성곽 (성곽 안쪽) 16. 별방진 서문터 17. 퇴락된 모습의 별방진 서쪽 성곽 18. 별방진 남쪽 성곽 1..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231A4/btrQf3L5jBg/QfAEyIlaTbf6gsR3cYVQzK/img.jpg)
1. 사육신묘 의절사 의절사는 사육신묘의 사당으로 1978년에 세워졌다. 사육신 6명(박팽년, 성삼문, 하위지, 유응부, 유성원, 이개)과 김문기 등 7명이 봉안되어 있으며, 흥선대원군 시절에 사라진 민 절서원을 대체하는 존재로 사당 뜨락에는 옛 민절서원의 신도비와 1955년에 세워진 육신 묘비가 있다. 그리고 사당 뒷쪽 언덕에 사육신묘가 자리한다. 2. 의절사 뜨락에 상큼하게 깃든 늦가을 (민절서원 신도비 주변) 3. 의절사와 사육신묘 입구인 불이문 삼문으로 이루어진 불이문을 들어서면 의절사와 사육신묘로 이어진다. 의절사와 사육신묘 구역, 사육신역사관은 9~18시에만 개방을 하며, 그 외에 사육신공원 공간은 24시간 자유 공간이다. 4. 사육신묘 의절사에서 사육신공원 입구, 노량진역으로 내려가는 길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