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늦여름 산사 나들이, 문경 운달산 김룡사 ' ▲ 문경 김룡사 여름 제국이 서서히 내리막을 보이던 8월의 끝 무렵. 문경(聞慶)에 있는 운달산 김룡사를 찾았다. 아침이 열리기가 무섭게 도봉동 집을 나서 동서울터미널에서 점촌, 상주행 직행버스에 몸 을 실었다. 허나 아침부터 차가 오지게 막혀 무려 1시간이나 늦게 점촌(店村)에 도착했다. 그래서 김룡사로 가는 시내버스를 간만에 차이로 놓쳤고, 다음 버스는 무려 2시간 이후에 나 있다. 하여 다른 곳을 급히 물색했으나 딱히 땡기는 대체 장소도 없고, 다른 지역으로 넘어가기 에도 시간이 애매하여 그냥 계획대로 다음 버스를 타고 김룡사로 들어가기로 했다. 졸지에 2시간 가까운 잉여 시간이 생겨버려 무엇을 할까 궁리했으나 답은 역시 하나 밖에 없었다. 그리 넓지..
' 서울 도심 속의 두멧골, 평창동~부암동 늦가을 나들이 ' ▲ 부암동에서 만난 늦가을 풍경 늦가을이 하늘 아래 세상을 곱게 어루만지던 11월 첫 무렵, 늦가을 풍경을 즐기고자 도심 속의 두메산골인 평창동(平倉洞)~부암동(付岩洞) 지역을 찾았다. 평창동은 성북동(城北洞), 한남동(漢南洞)과 더불어 서울의 1급 부자 동네로 이 땅의 0.1 %가 산다는 우스개 소리가 나올 정도로 그들의 고래등 저택과 고급빌라들이 즐비하다. 이 곳은 북한산(삼각산)과 북악산(백악산) 사이에 깃든 산골로 경관이 아름답고 녹지 비율이 높으며, 서울 도심과 무척이나 가깝다. 게다가 명당 중에서 아주 최고로 친다는 대부대귀 (大富大貴)의 명당인 교쇄명당의 자리라고 한다. 교쇄명당(交鎖明堂)이란 톱니바퀴가 엉키듯 교차하면서 혈(穴)을..
~~~ 인왕산과 북악산 그늘에 깃든 서촌(웃대)의 숨겨진 명소들 ~~~ ▲ 백운동천 바위글씨 (백운동계곡) ▲ 청송당유지 바위글씨 ▲ 경기상고와 북악산(백악산) 경복궁 서쪽에 넓게 자리한 서촌(西村, 웃대)은 나의 즐겨찾기 명소의 하나이다. 10년 넘 게 그 일대를 구석구석 많이도 돌아다녔지만 그럼에도 나의 발걸음이 닿지 않은 사각지대 가 일부 고개를 들며 내 심기를 은근히 건드린다. 다른 지역은 몰라도 서촌 등 서울의 미 답처(未踏處)는 도저히 못참는 성격이라 늦가을의 한복판인 10월의 끝 무렵, 서촌의 미답 처를 잡으러 출동했다. ♠ 경기상고(京畿商高)와 청송당유지 바위글씨 ▲ 경기상고 본관과 그 뒤로 보이는 북악산(백악산) 서촌의 북부(北部)를 이루고 있는 청운동(淸雲洞)에는 100년 역사를 지닌 ..
' 서울 강남의 대표 지붕, 대모산 나들이 ' ▲ 대모산 숲길 ◀ 완남부원군 이후원 묘역 ▶ 대모산 불국사 서울 강남권의 대표 지붕인 대모산은 어린 시절부터 여러 번 인연을 지었던 친숙한 뫼이 다. 보통 접근성이 좋은 일원동(逸院洞)이나 수서역에서 길을 시작했는데, 한 해의 절반 이 끝나가는 시점에 이르러 다시 대모산 앓이가 도졌다. 그 앓이는 대모산에 안겨야 100 % 낫는 병이라 겸사겸사 시간을 내어 그를 찾았는데, 이번에는 산 남쪽인 자곡동(紫谷洞 )에서 산 더듬기를 시작했다. 햇님이 하늘 높이 걸린 13시, 지하철로 수서역까지 이동하여 거기서 강남구 마을버스 03 번을 타고 못골마을 정류장에서 두 발을 내렸다. 여기서 자곡로를 따라 서쪽으로 6분 정 도 가면 래미안강남힐즈아파트가 나오는데, 그 옆..
' 강원도의 깊은 내륙, 양구 여름 나들이 ' (양구 근현대사박물관, 한반도섬) ▲ 양구 가오작리 선돌 여름이 무심히 깊어가던 6월의 끝 무렵, 한반도의 배꼽을 자처하는 강원도 양구(楊口) 땅 을 찾았다. 아침 일찍 경춘선 전철을 타고 그림처럼 펼쳐진 북한강을 벗삼으며 강원도의 중심 도시인 춘천(春川)으로 이동했다. 오랜만에 발을 들인 춘천이지만 마음은 이미 양구에 넘어간 상 태라 남춘천역 인근에 있는 춘천시외터미널에서 양구로 가는 직행버스에 몸을 실었다. 그 렇게 춘천을 콩 볶듯이 떠나 첩첩한 산주름 속을 50분 정도 내달려 양구읍 한복판에 자리 한 양구시외터미널에 두 발을 내린다. 이 땅에 바람직하지 않은 나쁜 선, 휴전선을 강제로 짊어지고 있는 양구 땅은 거의 8~9년 만에 방문이다. 서울보다 높은..
' 우리나라 수돗물의 고향, 수도박물관 (뚝도수원지 제1정수장) ' ▲ 수도박물관 본관 (뚝도수원지 제1정수장 송수실) ▲ 성수동 느티나무 ▲ 정수지와 정수지 환기장치 ♠ 우리나라 수돗물의 탄생지, 수도박물관 입문 ▲ 수도박물관 입구 (저 고개를 넘으면 수도박물관임) 봄이 힘겹게 겨울 제국을 몰아내고 하늘 아래 세상을 곱게 수놓던 4월의 한복판에 서울숲 옆 구리에 자리한 수도박물관을 찾았다. 서울숲역(수인분당선)에서 남쪽으로 5분 정도 가면 뚝도아리수정수센터 교차로로 여기서 한강 사업본부 쪽으로 가면 하늘색 피부의 수도꼭지 모형이 마중을 하는데 그를 지나 야트막한 고 개를 넘으면 바로 수도박물관이다. ▲ 20세기 초, 뚝도수원지 상수도 보호구역을 표시하고자 세운 '경성 수도상수 보호구역표(京城水道上水 保..
' 충남의 내륙을 거닐다. 청양 겨울 나들이 ' ▲ 천장호와 출렁다리 ▲ 청양 우산 숲길 ▲ 겨울 운무에 잠긴 우산 겨울 제국의 한복판인 1월의 어느 덜 추운 날, 충남의 지붕인 청양(靑陽)을 찾았다. 청양 땅은 20대의 한복판인 2000년대 이후 딱 2번째 방문으로 인연이 참 지지리도 없던 곳이다. 하여 몸뚱이와 정신이 더 늙기 전에 청양의 신선한 공기도 맛보고 그곳의 미답처(未踏處) 도 여럿 지우고자 흔쾌히 청양을 택했다. 아침 일찍 강남고속터미널(센트럴시티)에서 청양으로 가는 직행버스에 몸을 싣고 90분 정 도를 달려 청양시외터미널에 도착했다. 정말 오랜만에 발을 들인 청양읍내는 겨울 안개가 두텁게 내려앉아 가시거리가 100m 이내였는데, 마치 무너진 하늘의 구름 속에 갇힌 듯 눈 에 뵈는 것이 제..
~~~ 볼거리가 풍부한 서울의 숨겨진 명산, 호암산 ~~~ (호압사, 정상 주변) ▲ 호암산 정상에서 바라본 서울시내 ▲ 호압사 석불좌상 ▲ 호암산 남쪽 봉우리 천하를 접수한 가을이 늦가을로 숙성되어 가던 10월의 첫 무렵, 친한 후배와 나의 즐겨찾 기 뫼의 하나인 호암산을 찾았다. 1년에 여러 번씩 발걸음을 하고 있는 호암산(虎巖山, 393m)은 삼성산(三聖山, 480m)의 일 원으로 삼성산 서북쪽에 우뚝 솟아 있다. 서울 금천구와 관악구, 경기도 안양시에 걸쳐있 는 그는 산세(또는 산에 있는 바위의 모습)가 호랑이를 닮았다고 해서 호암산이란 이름을 지니게 되었는데, 옛 금천 고을의 주산(主山)으로 금지산(衿芝山), 금 주산(衿州山)이라 불리기도 했다. 호랑이를 닮은 잘 생긴 뫼이나 풍수지리적으로 활활..
' 송파구, 서울둘레길3코스 자연 나들이 ' ▲ 방이습지 방이동(芳荑洞) 생태경관보전지역(방이습지)은 서울 동쪽 변두리 끝으머리에 숨겨진 늪지 대로 조그만 우포늪(경남 창녕 소재) 같은 곳이다. 천하 제일의 대도시로 콧대가 높은 서울에 이런 늪지대가 있었다니 그저 놀라울 따름인데, 같은 서울 하늘 밑에 있음에도 오랫동안 인연이 없다가 1년의 절반이 끝나가는 시점에 서 울 지역의 미답처(未踏處)를 여럿 지울 겸, 그곳을 찾았다. 햇님이 하늘 높이 걸린 13시 경, 도봉동(道峰洞) 집을 나서 130번 시내버스(우이동↔길동 4거리)를 타고 쌍문역과 미아사거리, 경동시장, 답십리역, 군자역, 광나루역를 지나 한강 (천호대교)을 건너 천호동(千戶洞)에서 두 발을 내렸다. 여기서 바로 3316번 시내버스(마천동↔천..
' 도심 속에 숨겨진 달달한 쉼터 - 인왕산 수성동계곡 ' ▲ 인왕산 수성동계곡 (기린교 주변) 늦가을이 절정에 이르던 11월 첫 무렵 주말에 일행들과 수성동계곡을 찾았다. 햇님이 하 늘 높이 걸린 14시에 그들을 만나 내 즐겨찾기 명소인 백사실계곡(백사골)과 부암동산복 길(백석동길), 인왕산자락길을 거쳐 16시 넘어서 수성동계곡에 이르렀다. 이곳도 즐겨찾기의 하나로 정말 지겹도록 찾은 곳이라 계곡 윗도리만 주마등처럼 통과하 려고 했으나 고양이가 생선가게를 못지나친다고 기린교가 있는 계곡 밑도리까지 싹 복습 을 하였다. ♠ 개발의 칼질에 희생되었다가 다시 복원된 현장, 서울의 경승지로 오랫동안 명성을 누렸던 인왕산 수성동계곡(水聲洞溪谷) - 서울 지방기념물 31호 인왕산 동쪽 자락이자 서촌(西村, 웃대)..
1. 서해바다를 가로질러 굴업도로... (왼쪽에 아득하게 보이는 섬이 덕적도) 덕적도 진리선착장에서 굴업도로 가는 배로 환승하여 굴업도로 접근하고 있다. 덕적도에서 굴업도까지는 홀수날에는 1시 간, 짝수날에는 2시간 정도 걸리며, 승용차 수송이 가능한 여객선이 운항하고 있다. 인천/대부도~덕적도를 운항하는 여객 선보다는 작은 배로 방으로 된 객실이 2개 정도 있으며, 평소에는 1일 1회, 봄과 여름, 가을 성수기 휴일에는 2회 운항한다. 2. 드디어 굴업도에 이르다. (목기미해변과 연평산, 덕물산) 3. 굴업도의 동부와 서부를 가늘게 이어지는 목기미해변 목기미해변은 굴업도해수욕장(큰말해수욕장)와 더불어 굴업도에 2개 있는 모래 해변이다. 여기서 물놀이와 해수욕도 가능 하나 편의시설이 없으므로 대부분은 마..
1. 푸르른 서해바다 (인천에서 덕적도로 가는 배에서) 9월 끝 무렵, 신비의 섬 굴업도를 찾고자 인천항연안여객터미널에서 덕적도로 가는 여객선에 몸을 실었다. 인천에서 옹진 군 덕적도까지는 겨울 기준으로 1일 3회 다니며, 봄과 피서철, 명절 연휴에는 증회 운항한다. 또한 대부도 방아머리에서도 대부도로 가는 배가 1일 1회(겨울 기준) 떠나는데, 봄과 피서철, 명절에는 증회운항한다. 인천에서 덕적도까지는 1시간 30~50분 정도 걸리며, 큰 배로 운항하기 때문에 차량 수송도 가능하다. (대부도에서 들어가 는 배도 차량 수송 가능) 2. 드디어 모습을 드러낸 덕적도와 소야도 3. 소야도(빨간등대 왼쪽)와 덕적도(빨간등대 오른쪽) 4. 점점 가까워지는 덕적도와 소야도 5. 덕적소야교(왼쪽에 보이는 다리)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