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원효로 예수성심성당 원효로 성심여중고 교정에는 구한말에 지어진 근대건축물, 예수성심성당과 용산신학교 건물이 있다. 용산신학교의 부속 으로 지어진 264㎡의 고딕풍 성당으로 언덕 지형을 이용하여 지었기 때문에 자연히 3층 구조를 이루게 되었다. 하여 정면 (남쪽)에서 보면 3층, 언덕에서 보면 2층으로 보인다. 1899년에 착공하여 1902년 완성을 보았는데, 프랑스 신부인 코스트가 설계했다고 하나 그는 1896년에 사망했으므로 사망 전에 설계를 했는지 아니면 다른 사람이 설계를 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회색 벽돌과 붉은 벽돌을 섞어서 쌓은 외벽에 부 축기둥을 세웠는데, 전면 2개의 부축기둥을 위로 높게 돌출시켜 수직성을 강조했다. 창문은 뾰족아치창의 고딕양식이며, 성당의 규모는 작지만 당당하고 균형..
' 도심 속에 숨겨진 고즈넉한 산사, 그리고 상큼한 뒷동산 안암동 보타사~개운산 나들이 ' ▲ 이 땅에서 매우 희귀한 유희좌 불상, 보타사 금동보살좌상 ▲ 보타사 마애보살좌상 ▲ 개운산둘레길 봄이 파릇파릇 익어가던 4월 한복판의 어느 따사로운 날, 고려대 뒷쪽에 자리한 안암동 (安岩洞) 보타사를 찾았다. 보타사는 10회 이상 인연을 지은 절로 즐겨찾기 급까지는 아니나 집에서도 가깝고 진귀 한 문화유산을 둘이나 간직하고 있어 매년 1~2회 정도 복습하러 간다. 올해도 변함없이 보타사 보물들의 안부가 격하게 궁금하여 햇님이 하늘 높이 걸린 오후 한복판에 부랴부 랴 카메라와 지갑을 챙기고 길을 나섰다. 보타사 서쪽에 자리한 개운사(開運寺)를 먼저 둘러보았으나 마음은 벌써 보타사에서 나 를 재촉하고 있어 개운사..
1. 현등사 진신사리보탑 현등사 보광전에는 석가여래의 사리를 머금은 조그만 3층석탑(진신사리보탑)과 지장시왕도, 신중도, 동종 등의 오래된 문 화유산이 깃들여져 있다. (내부 관람 가능) 진신사리보탑 1층에 깃든 석가여래의 사리와 사리장엄구는 원래 현등사3층석탑 뱃속에 있던 것으로 수정사리병과 은으로 된 원통형 사리기로 이루어져 있다. 원통형 사리기에 '성화6년(1470년) 원당인 현등사 탑을 고쳐 짓고 사리 5매를 봉안했으며, 대시주는 대방부인인 송씨와 그 의 딸, 길안현주 이억천, 절충장군 중추부첨지사 구수영이다' 란 명문이 새겨져 있어 고맙게도 조성시기와 시주자의 이름을 알려주고 있다. 그들 중 구수영은 세종의 아들인 영응대군의 사위이다. 이렇게 왕실의 지원으로 3층석탑을 중건하고 탑 속에 석가여래..
1. 운악산이 빚은 일품 계곡, 현등사계곡(현등사골) - 현등사 불이문 직전 2. 현등사 불이문 직전 숲길 3. 현등사 불이문 불이문을 지나 계단을 오르면 비로소 현등사 경내에 이른다. 4. 불이문 직전에서 운악산 정상으로 인도하는 숲길 저 숲길로 들어서 1시간 20~40분 정도 오르면 운악산 정상(해발 936m)에 이른다. 중간에 운악산의 일품 폭포로 꼽히는 무 지개폭포가 있으며, 현등사 이후 구간은 아직까지 미답의 길로 남아있다. 5. 불이문에서 경내로 인도하는 계단길 6. 현등사3층지진탑 (하판리 지진탑) 불이문에서 경내로 인도하는 계단길 중간에 지진탑이라 불리는 키 작은 3층석탑이 있다. 그는 보조국사 지눌이 현등사를 크게 일으켜 세웠을 때 땅의 기운을 진정시키고자 세웠다고 전하며, 그래서 이름도..
1. 현등사계곡 삼충단 운학리 현등사입구에서 현등사로 인도하는 현등사계곡길을 들어서면 일주문 직전에 삼충단이 마중을 나온다. 이곳은 구한 말 왜국의 국권 침탈에 항거하다가 자결한 조병세와 민영환, 대마도에서 사망한 최익현을 기리고자 내시부지사 나세환, 첨 지 김두환, 현등사 주지 정금명 등 가평 지역 유지들이 1910년에 세운 제단이다. 1905년 을사조약(늑약)에 크게 분개하여 조병세와 민영환은 자결을 했고, 최익현은 의병활동을 하다가 체포되어 우리의 옛 땅인 대마도로 유배를 가 그곳에서 밥을 끊고 굶어죽었다. 1931년 왜정에 의해 사라졌으며, 1988년 유지 39인이 삼충단 복원 추진위원회를 만들어 추모비를 복원하고 기념비를 세웠 다. 그리고 2005년 현 자리로 이전해 매년 그들을 추모하고 있다...
' 부산 대마도 나들이 ' (장송사 백제은행나무, 미우다해수욕장, 한국전망대) ▲ 대마도 미우다해수욕장 ▲ 한국전망대 ▲ 장송사 백제은행나무 (킨의 장수 은행나무) * 대마도의 본토는 대한민국(우리나라)이다. * 2020년 이후 부산과 대마도를 잇는 뱃편은 1도 없으며 찾는 이도 없다. * 본글은 2019년 이전에 간 것임을 밝힌다. 봄과 여름의 마지막 경계선인 5월의 끝 무렵, 대한해협에 길쭉하게 떠있는 대마도를 찾 았다. 대마도(對馬島)는 2004년부터 계속 인연을 노렸으나 그때마다 태풍이 초를 치면서 가지 를 못했다. 그러다가 어느 5월에 이르러 1박2일로 갈 기회가 생겼는데 이번에는 날씨가 보우하사 100% 상륙 확정이다. 부산과 구주(규슈, 九州) 사이에 자리한 대마도 는 708㎢의 덩치로 유인..
' 단종애사의 현장, 영월 청령포 ' ▲ 서강 너머에서 바라본 청령포 봄이 천하만물의 격한 지지를 받으며 겨울 토벌에 여념이 없던 3월의 끝 무렵에 친한 후배 와 강원도 내륙 지역을 찾았다. 아침 일찍 서울을 출발하여 홍천(洪川)의 여러 벽지 명소를 찍고 평창(平昌)을 거쳐 영월( 寧越) 땅으로 들어섰다. 이날 최종 목적지는 충북 단양(丹陽)으로 갈 길은 아직 멀지만 일 몰까지는 아직 여유가 넘치고 오랜만에 들어온 곳이라 그냥 지나치기는 섭하다. 하여 읍내 직전에 있는 선돌을 보려고 했으나 실수로 놓쳐버려 이미 2번이나 인연을 지었던 청령포를 복습하기로 했다. 청령포는 영월읍내와 무척 가까운 곳으로 주차장에 이르니 16시가 넘은 시간임에도 주차장 은 거의 만땅이다. 간신히 자리를 잡아 차량을 잠재우고 매..
1. 호암산 정상 남쪽 암릉에서 바라본 호암산 서남쪽 능선 서울 서남쪽 끝으머리에 우뚝 솟은 호암산(393m)은 삼성산의 일원이다. 호랑이 모습의 바위산이라(또는 호랑이를 닮은 바 위가 있어서) 호암산이란 이름을 지니게 되었는데, 풍수지리적으로 관악산과 함께 서울을 위협하는 뫼로 인식되었다. 하여 호암산의 기운을 누르고자 비보풍수의 일환으로 정상 밑에 절을 짓고 호랑이를 누른다는 뜻에서 호압사라 했다. 사진 한복판에 우뚝 솟은 봉우리는 호암산의 서남쪽 봉우리로 바로 저곳에 호암산성터와 한우물, 석구상 등의 오래된 문화 유산과 칼바위, 신랑각시바위 등의 자연산 명소가 깃들여져 있다. 또한 호암산 정상부에서 서남쪽 봉우리로 이어지는 서남 쪽 능선길은 경사도 느긋한 부드러운 길로 중간에 암릉이 있긴 하나 그리..
1. 죽령고개 정상 소백산 남쪽 자락에 깃든 죽령은 단양과 영주를 잇는 해발 689m의 높고 험준한 고개이다. 백두대간 소백산맥 구간의 주요 고갯길이자 경상도에서 충청도 동부, 경기도, 서울을 잇는 주요 교통로로 신라 아달라왕 시절인 158년에 죽죽이 개척했다 고 전한다. 고갯길 개척이 얼마나 힘들었는지 죽죽은 과로사로 세상을 떠났는데, 고갯마루에 그의 사당을 세웠으며, 그의 이름을 따서 고개 이름을 죽령이라 했다. 고구려와 신라의 팽팽한 경계선으로 고구려 장수태왕은 죽령을 넘어 경북 포항까지 세력을 넓혔으며, 신라 진흥왕은 551년 거칠부 등 8명의 장수에게 명해 백제와 함께 고구려를 공격하여 죽령 이북에 10개 고을을 점령했다. 고구려 평원태왕 때는 태왕의 사위인 온달장군이 죽령 이북의 영토를 되찾겠..
1. 의림지 한복판에 두둥실 떠있는 순주섬 2. 의림지 북쪽 둑방길에서 바라본 푸르른 의림지 3. 의림지 동쪽 둑방길에서 바라본 의림지 4. 우록정 의림지 동쪽 둑방에는 우록정이 자리해 있다. (서쪽 둑방에는 경호루, 남쪽 둑방에는 영호정이 있음) 의림지 축조설 중 우록 의 축조설이 있는데, 그는 돌봉재에서 살았다고 전하며 그의 유적으로는 우록당 옛터와 우물인 우록정, 그리고 가야금을 탔 다는 제비바위 등이 있다. 제천시는 2007년 의림지 명소화 사업으로 우록의 예술혼을 기리고자 의림지 동쪽 둑방에 6각형 정자를 짓고 우록정이라 했 다. 그렇다고 이곳이 우록당의 옛터는 아니다. 5. 우록정에서 바라본 의림지 6. 우록샘 표석 우록샘은 우록이 이용했다는 샘터이다. '조선환여승람'에는 우록정이 의림지 동북..
' 서울 도심 속의 두메산골을 거닐다 ' (부암동 능금마을, 백사실계곡, 북악산 북쪽 자락) ▲ 부암동 능금마을(뒷골마을) ▲ 은덕사에서 바라본 부암동 ▲ 평창동 소나무 여름 제국의 무더위 갑질이 극성이던 8월의 첫 무렵, 일행들과 북악산(백악산) 북쪽 자락 을 찾았다. 북악산 북쪽 자락(부암동, 평창동 지역)에는 나의 오랜 즐겨찾기 명소인 백석동천(白石洞 天, 백사실계곡)을 비롯해 능금마을(뒷골마을), 평창동(平倉洞) 소나무 등의 명소가 깃들 여져 있는데 여름 제국의 핍박도 피할 겸, 간만에 그들을 복습할 생각으로 북악산의 품을 찾은 것이다. 세검정초교 정류장에서 홍제천(弘濟川)을 건너 백석동천의 북쪽 관문인 현통사(玄通寺)와 백사폭포로 접근했다. 그곳을 지나면 백사골(백사실)의 속살로 들어서게 되는데..
1. 제천 의림지 제천시내 북쪽인 모산동(의림지동)에 의림지가 넓게 누워있다. 의림지는 중/고등학교 국사책에도 절찬리에 등장하는 아주 오래된 저수지로 언제 지어졌는지는 귀신도 모르는 실정이나 원삼국시대(삼한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신라 진흥왕 시절에 충주에 머물던 우륵이 개울물을 막아 둑을 쌓아 만들었다는 이야기도 있으며, 13세기에 제천현감 박의 림이 크고 단단하게 새로 쌓았다는 이야기도 덧붙여 전한다. 세종실록에는 의림제라고 나오는데 그 시절 규모는 길이 530 척, 관수 면적이 400결이라 하며, 조선 세조 때 정인지가 체찰사로 이곳을 둘러보고 3도에서 병력 1,500명을 동원해 2차례 보수를 했다. 의림지를 조성한 이유는 바로 농업용수 확보 때문이다. 저수지를 닦고 주변으로 소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