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rWROs/btrOZ9mn9sJ/tJlrJTvmIeYAxc1WwK9Ct0/img.jpg)
1. 강화나들길8코스 택지돈대 서쪽 구간 강화나들길8코스 택지돈대 서쪽 구간은 해안 둑길을 따라 펼쳐진다. 둑길이 온전히 강화나들길이 되어주며 둑길 북쪽은 마을과 경작지, 수풀, 그리고 남쪽은 갯벌과 서해바다이다. 2, 강화나들길8코스 해안 둑길에서 바라본 동검도 검은 피부의 갯벌 너머로 푸른 산을 내민 곳이 동검도이다. 동검도는 선두리 앞바다에 떠있는 작은 뫼로 강화 도의 부속 섬인데 연륙교가 닦여져 다리로 편하게 오갈 수 있다. 3. 여러 민박집과 펜션들을 지나는 강화나들길8코스 선두리 해안 둑길 4. 끝없이 펼쳐진 선두리 서해 갯벌 마치 천하의 끝과 이어진 것 같은 아주 너른 갯벌이다. 지금은 썰물 때라 바다는 저 멀리 밀려났고, 땅을 가장 한 갯벌로 있지만 밀물 때가 되면 순식간에 바다에 잠긴다...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XCxoQ/btrOR3OseuK/XqqYP3KwKhRk1eVgJRRw61/img.jpg)
1. 선두리 택지돈대 택리 정류장(강화군내버스 51, 58, 59번 정차) 동쪽 해안에는 숲이 무성한 작은 언덕이 있는데, 바로 그곳에 강화도에 무수히 널린 돈대의 하나인 택지돈대의 흔적이 아련히 깃들여져 있다. 택지돈대는 1679년에 조성된 것으로 이곳은 선두리 해안에서 가장 남쪽이다. 바다 너머로는 동검도가 자리 해 있고, 동검도 산정에는 동검도돈대(동검북돈대)가 자리해 택지돈대와 함께 선두리와 동검도 사이의 바다 를 지켰다. 구한말 이후, 세월이 무심히 잡아가면서 터만 겨우 남아있으며, 돈대를 받치던 석축 일부와 대자연의 거친 흐 름에 조각난 돌이 흩어져 있다. (택지돈대터는 관람 가능) 2. 대머리처럼 허전한 택지돈대터 잔잔히 돋은 잡초들이 택지돈대의 빈 자리를 아낌없이 채워준다. 돈대터 주변으..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q3bD6/btrOQcLVEm1/8uvTdllTKIOMciJwYn3rzk/img.jpg)
1. 동검도 앞 갯벌 (동검도 연륙교 주변) 이번 강화나들길8코스(철새보러가는길, 초지진~분오리돈대 17,2km) 나들이는 동검도 연륙교 북쪽인 선두리 에서 시작하여 서쪽 방향(분오리돈대)으로 이동했다. 동검도 연륙교 주변으로 서해바다의 백미인 갯벌이 시커먼 피부를 넓게 드러내어 주변이 온통 육지 같은 기분 인데, 이때는 썰물 때라 그런 것이며, 밀물 때는 저 너른 갯벌이 바다에 쏙 잠긴다. 2. 동검도 연륙교 북쪽에서 바라본 동검도 동검도는 강화도 동남쪽 선두리 앞바다에 떠있는 작은 섬이다. 면적 1.61㎢, 해안선 길이 6.95㎞로 옛날 삼남 지방에서 서울로 향하는 배가 이곳을 거쳐갔고, 중원대륙에서 이 땅을 오가던 사신들과 상인들이 많이 지나 갔는데, 그들을 검문하던 동쪽 검문소라는 뜻에서 동검도란..
' 성북동 정법사, 북악산길 5월 나들이 ' 봄과 여름의 마지막 경계선인 5월의 끝 무렵, 후배 여인네와 내 즐겨찾기 명소의 하나인 성북동(城北洞)을 찾았다. 햇님이 하늘 높이 걸린 14시에 한성대입구역(4호선)에서 그를 만나 최순우(崔淳雨) 옛집 과 길상사(吉祥寺) 등 성북동의 여러 단골 명소를 둘러보니 어느덧 17시가 넘었다. 저녁 을 먹기에는 시간도 이르고 입과 위가 섭취 준비가 덜 되어있어서 잠깐 눈요깃감을 생각 하니 번쩍 '정법사'가 뇌리 속에 스친다. 그곳은 길상사에서 북쪽으로 500m 떨어진 절로 성북동을 100회 이상 들락거렸음에도 아직까지 내 손과 발이 미치지 못한 미답처였다. 정법사가 미답처(未踏處)로 버젓이 남아있던 것은 나를 흥분시킬 요소가 전혀 없는 현대 사찰로 보았기 때문이다.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lQeH7/btrN33vO5pJ/YBMM1IntFLoG9Lba4UqOd1/img.jpg)
1. 도봉산의 장대한 산줄기 2. 도봉산 우이암(관음봉) 3. 천축사 비로자나삼신불도 4. 도봉산 우이암(관음봉)의 위엄 5. 우이암(관음봉)에서 바라본 도봉산 (칼바위와 주봉 능선, 만장봉, 자운봉) 6. 우이암(관음봉)에서 바라본 천하 ① 도봉구와 강북구, 노원구, 중랑구, 성북구, 동대문구 지역 7. 우이암(관음봉)에서 바라본 천하 ② 우이동과 방학동, 쌍문동, 강북구 지역, 북한산(삼각산) 동쪽 자락 8. 우이암(관음봉)에서 바라본 천하 ③ 북한산(삼각산) 백운대와 만경대, 영봉 9. 우이암(관음봉)에서 바라본 천하 ④ 도봉산 산줄기와 도봉1,2동, 상계1동, 수락산, 의정부 호원동, 민락1,2지구 등 10. 우이암(관음봉)과 그 너머로 바라보이는 도봉구, 강북구, 노원구 지역 11. 우이암능선에..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Mxxx4/btrN4EIkrEU/uQROrrKuLjfKeGS4mONcuK/img.jpg)
1. 일자산 숲길로 들어서다 (유아숲체험장) 2. 일자산 숲길 (서울둘레길3코스와 만나기 이전) 3. 서울둘레길3코스와 하나가 된 일자산 숲길 4. 일자산 능선길, 정상 북쪽 구간 5. 일자산 정상부(134m), 해맞이광장 6. 둔촌 이집의 시비 (둔촌 선생이 후손에게 이르기를...) 7. 1994년에 세워진 해맞이광장 준공 기념비 8. 일자산 능선길, 정상에서 둔굴 구간 9. 일자산 능선길에서 바라본 하남시 감북동, 감일동 지역 10. 둔굴 입구 쉼터 11. 일자산 둔굴 12. 둔굴 입구에서 바라본 하남시 감북동과 감일동, 남한산(청량산) 13. 둔굴 입구 남쪽 능선길 14. 한강으로 흘러가는 감이천 (서부교에서 바라본 모습)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j6djz/btrN33aMjQs/zYO8XCQh4Xxemp2AboQCxK/img.jpg)
1. 일자산 허브천문공원 내부 2. 일자산 정상, 해맞이광장 3. 일자산 둔굴 4. 일자산 허브천문공원 후문으로 인도하는 숲길 5. 반 정도 열린 일자산 허브천문공원 후문 6. 일자산 허브천문공원 후문 안쪽 7. 다양한 허브들이 존재하는 일자산 허브천문공원 8. 허브천문공원 차의 정원 9. 보라빛 향기를 지닌 레몬베르가못(Lemon Bergamot) 10. 야로우(Yarrow) 11. 허브천문공원 천시원 12. 동쪽 관천대 주변 13. 허브원 14. 감촉정원 15. 아로마 워킹 산책로 16. 남색 허브꽃과 분홍 허브꽃들 17. 콘플라워 18. 에키네시아 화이트스완(Echinacea Whiteswan) 19. 허브천문공원 작은천문대 20. 색의정원과 공원을 동그랗게 둘러싼 남색 피부의 산책로 21. 허브천..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qe59y/btrNXKXc8dU/FSzLU1V66lci5KMlk7vQNk/img.jpg)
1. 용천사 대웅전과 석등(대웅전 옆구리) 2. 용천사 숲길 3. 용천사 사천왕문 4. 용천사 사상루 5. 용천사 대웅전 6. 용천사 대웅전 석가3존상 7. 용천사 대웅전 돌계단 8. 용천사 산신각 9. 용천사 산신각 현판 10. 용천사 산신각 산신탱 11. 1685년에 조성된 용천사 석등 12. 명문이 새겨진 용천사 석등 기둥 13. 용천사 천불전 14. 용천사 천불전 내부 15. 천불전에서 바깥으로 나가는 길 16. 한참 숙성의 과정을 거치고 있는 용천사 꽃무릇들 (5월 풍경) 17. 용천사 숲길 (주차장, 꽃무릇공원 방향) 18. 목포 갓바위의 야경 19. 바다에 떠있는 갓바위 산책로 (하당신도시 방향) 20. 갓바위 동쪽 벼랑 21. 목포 갓바위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4Ip46/btrNXM7887D/zTCu9vc4um5dA3vN4tCbTk/img.jpg)
1. 성북동 정법사 (정법사 입구 표석) 2. 정법사의 법당인 대웅전 3. 옛 복천암 주춧돌 (정법사 경내) 4. 정법사 경내 연못 5. 정법사5층석탑 6. 정법사 대웅전 7. 정법사5층석탑 8. 정법사 강당(선방) 9. 정법사에서 바라본 천하 (성북동, 성북구, 서울 동부 지역) 10. 정법사 대웅전 금동석가3존상 11. 정법사 석조미륵불입상 12. 정법사 산신각 13. 정법사 산신탱 14. 정법사 독성탱 15. 정법사 연꽃석조 16. 정법사 가마솥 부뚜막 17. 뒤쪽에서 바라본 정법사 대웅전 18. 북악산길로 이어지는 정법사 뒷쪽 숲길 (산사길) 19. 정법사 산사길에서 바라본 성북동과 서울 도심 동부, 서울 동부와 동남부 20. 숲속다리 갈림길 (산사길) 21. 북악산길 위에 걸린 숲속다리 22. ..
' 함평 용천사, 목포 갓바위 늦봄 나들이 ' ▲ 용천사 대웅전과 석등(오른쪽) 봄과 여름의 마지막 경계선인 5월의 끝 무렵, 일행들과 1박2일 일정으로 전남 서남해 지역을 찾았다. 아침 일찍 서울을 출발하여 4시간 정도를 달려 전남 함평에 이르렀다. 함평읍내 동부 에 자리한 함평오일시장 주변에 육회비빔밥을 다루는 식당이 여럿 있는데 그중 한 곳 에 들어가 점심으로 육회비빔밥을 섭취했다. 비빔밥에는 선지국이 딸려나왔으나 그리 입맛이 맞지 않아(선지를 별로 좋아하지 않음;) 비빔밥만 후다닥 먹고 자리를 나왔는 데, 후식용 커피로 밀려온 졸음을 단죄하고 함평(咸平) 북쪽 끝자락에 자리한 모악산 용천사로 이동했다. 그곳이 이번 나들이의 첫 답사지이다. ♠ 꽃무릇의 성지이자 함평 제일의 고찰, 용천사(龍泉寺) ..
' 강동구의 지붕을 거닐다. 일자산 ' (허브천문공원, 둔굴, 서울둘레길3코스) ▲ 일자산 허브천문공원 ▲ 일자산 정상 ▲ 일자산 둔굴 여름이 무심히 깊어가던 6월 한복판의 어느 평화로운 날, 강동구의 대표 지붕인 일자산( 一字山)을 찾았다. 일자산은 서울에 버젓히 남아있는 미답처(未踏處)의 일원으로 그곳에 안겨있는 허브천문 공원과 일자산 능선길(서울둘레길3코스), 둔굴을 둘러보고자 그곳을 택했다. 허브천문공 원을 빼면 모두 인연이 없는 곳들로 아직까지도 서울 하늘 밑에는 나의 발걸음을 느끼지 못한 미답처들이 적지 않아 나를 참지 못하게 한다. ▲ 허브천문공원 후문(부출입구)으로 인도하는 숲길 ▲ 반쯤 열린 허브천문공원 후문(부출입구) ♠ 허브식물과 천문을 한곳에 다룬 서울의 이색 명소 일자산 허브천문공..
' 서울의 북쪽 지붕, 도봉산 ' ▲ 도봉산의 위엄 ▲ 우이암(관음봉) ▲ 천축사 비로자나삼신불도 봄과 여름의 마지막 경계선인 5월의 한복판에 서울의 북쪽 지붕인 도봉산(道峯山, 739m) 을 찾았다. 도봉산은 내가 살고 있는 도봉동(道峰洞)과 도봉구의 듬직한 뒷산으로 그의 그늘에 머문 지도 어언 20년이 넘었다. 북한산(삼각산)과 북악산(백악산), 아차산, 호암산 못지 않은 나의 즐겨찾기 뫼로 매년 여러 번씩 그의 품을 찾아 나의 마음을 꾸준히 비추고 있다. 햇님이 하늘 한복판에 걸린 12시, 집에서 가까운 도봉역(1호선)에서 일행들을 만나 김밥 과 간식 등을 사들고 무수천(無愁川)을 따라 도봉산의 품으로 들어섰다. 서울 도심 속에 숨겨진 상큼한 산골, 무수골의 논두렁과 밭두렁, 울창한 숲길을 주마등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