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남한산 약사사를 찾아서 (약사사로 인도하는 숲길)남한산 남쪽 자락 성남시 구역에는 백련사와 덕운사, 약사사 등 3개의 현대사찰이 있다. 백련사는 양지동 남한산성입구에서 남한산성으로 올라가는 길목에 자리해 있어서 여러 번 인연이 있으나 덕운사와 약사사는 딱히 갈 기회도, 갈 구실도 없어서 계속 미답처로 버려두고 있었다. 그러다가 약사사에 깃든 지장시왕도가 지방문화재로 지정되었다는 소식을 전해듣고 크게 구미가 당겨 그곳을 찾아나섰다. 8호선 남한산성입구역 2번 출구 밖 남한산성입구역 정류장에서 은행동, 양지동으로 가는 서울452, 성남33-1, 성남51, 성남240, 하남30, 성남55, 성남720-1A번 등을 타고 남한산성입구 정류장에서 내려서 20분 정도 올라가야 되는데, 절까지 차량이 마음놓고 바..

1. 순천 팔마비순천 도심인 순천행동우체국 앞에는 순천 지역의 오랜 명물이자 자랑거리인 팔마비가 있다. 팔마비는 순천 시내에 들어올 때마다 거의 꼭 봤던 존재로 버스 차창에서 보기도 하고, 거리를 걸으면서 접하기도 했다. 하지만 그를 사진에 담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팔마비에 사연은 대략 이렇다. 고려 중기인 13세기 초에 승평부사로 '최석'이 부임했다. 승평은 현재 순천 고을의 예전 이름이라고 하는데, 승평부는 호랑이가 담배 맛을 알기 이전부터 고을 수령에게 말 8필을 선물하는 관례가 있었다고 한다. 그 당시 말 8필이면 지금 시세로 따지면 1~2억은 능히 넘지 않을까 싶다. 그만큼 지역 백성들의 고충이 컸다. 최석이 승평부사 임기를 마치고 비서랑에 임명되어 이곳을 떠나게 되었는데, 관례대로 고을 백..

1. 아차산 주능선 아차산3보루~아차산5보루 구간 (서울둘레길5코스)아차산4보루에서 아차산 주능선길(서울둘레길5코스, 깔딱고개~광나루역 4.6km)을 따라 남쪽으로 10여 분 가면 아차산 정상부를 이루는 아차산3보루에 이른다. 3보루를 지나면 아차산5보루까지 완만한 능선길이 펼쳐지는데, 능선길에 소나무 등 수목이 울창하며, 산길 좌우로 일품 조망이 따라다녀 두 망막을 제대로 호강시킨다. 2. 아차산5보루아차산5보루는 해발 267m 봉우리에 둥지를 튼 보루로 둘레 158m, 내부 면적은 1,818㎡ 정도이다. 봉우리를 활용해 보루를 다졌는데, 보루 성벽은 세월의 격한 흐름에 죄다 휩쓸려 사라지고 겨우 흔적 일부만 남은 실정이다. 북쪽 비탈면에 석축 일부가 남아있으나 보존을 위해 흙으로 덮었으며, 보루를 잡..

1. 아차산4보루 북쪽 치아차산4보루는 용마산과 망우산을 제외한 아차산 식구 보루 중 가장 북쪽에 자리해 있다. 잃어버린 땅을 제외한 우리나라(남한)의 고구려 성곽 유적 중 건물터와 성벽의 구조가 제대로 밝혀진 최초의 현장으로 의미가 아주 남다른 곳인데, 아차산~용마산~망우산 보루 중 거의 유일하게 성벽의 흔적이 조금 남아있었다.복원 이전 성벽의 최대 잔존 높이는 1.8m로 남벽과 동벽은 잘 다듬은 성돌을 이용한 탓에 그런데로 남아있었으나 북벽과 서벽은 훼손이 심해 남아있던 높이가 0.8m를 넘지 못했으며, 부정형의 석재를 사용해 조잡하게 축조되었다. 구리시가 4보루에 숨겨진 옛날 이야기를 풀고자 1997년부터 문화재청과 경기도의 도움을 받아 1998년까지 발굴조사를 벌였다. 하여 온돌과 배수로, 저수조..

1. 아차산 헬기장(제2헬기장)용마산5보루에서 용마산 북쪽 능선(아차산~용마산 주능선길)을 따라 남쪽으로 조금 가면 아차산 제2헬기장이라 불리는 너른 공터가 마중을 한다. 이곳은 해발 342m 고지로 아차산 일대에서 용마산 다음으로 높은 봉우리인데, 여기서 남쪽 길로 내려가면 아차산4보루를 3보루를 비롯한 아차산 구역으로, 서남쪽 길로 가면 용마산4보루와 용마산 정상부로 이어진다.서울둘레길5코스(깔딱고개~광나루역, 4.6km)가 이곳을 지나가며, 헬기장 주변으로 인공으로 다져진 석축 무리들이 있는데, 이들은 아차산 주능선을 따라 조성된 아차산장성의 흔적으로 여겨진다. 2. 'H'마크가 박힌 아차산 제2헬기장이곳은 아차산과 용마산, 망우산으로 이어지는 요충지이다. 보통 아차산에서 망우산 방향, 용마산에서 ..

' 대전 무수동 봄맞이 나들이 ' ▲ 안동권씨 유회당 종가 산수유나무와 사당 봄이 겨울 제국(帝國)을 몰아내고 오랜 겨울에 지친 천하만물을 따스히 어루만지던 3월 의 끝무렵, 천하 제일의 첨단과학 대도시, 대전(大田)을 찾았다.우선 대전과 금산(錦山) 경계에 자리한 만인산(萬仞山, 538m)과 그 품에 펼쳐진 만인산 자연휴양림(☞관련글 보기)을 둘러보고 다음 메뉴인 무수동(無愁洞)으로 길을 잡았다.대전 도심의 대표 지붕인 보문산(寶文山, 457m) 서남쪽 자락에 포근히 자리한 무수동은 300년 역사를 지닌 시골 마을로 오래된 기와집과 문화유산을 풍부히 간직하고 있다. 대전 도심에서도 가까운 곳이라 '대도시 대전에 이런 곳이 있었나?' 구미가 크..

1. 용마산5보루 북쪽 구간에서 바라본 천하 (동쪽 방향)나무들이 크게 수해를 이루며 녹음이 거세게 파도를 치는 망우산과 용마산, 아차산 동쪽 자락을 비롯해 구리시와 남양주시, 한강, 하남시, 강동구, 예봉산, 검단산 등이 거침없이 시야에 들어온다. 2. 용마산5보루깔딱고개에서 570계단을 올라 평평한 능선길을 조금 가면 용마산5보루가 깃든 너른 공간이 마중을 한다. 용마산5보루는 아차산~용마산 주능선이자 용마산 북쪽 능선인 해발 316m 고지에 자리한 보루터로 아차~용마~망우산 보루 식구 중 용마산3보루 다음으로 하늘과 가까운 곳이다. 이곳 보루는 둘레 약 132m. 내부 면적은 약 936㎡ 정도로 파악되고 있는데, 보루 북동쪽 비탈면에 성벽으로 여겨지는 석축 일부가 약간 드러나 있을 뿐, 대자연에 제..

1. 대웅전 맞은 편에 자리한 커다란 돌덩어리들봉화대처럼 높이 닦여진 2기의 돌탑 위에 머리장식을 갖춘 하얀 피부의 3층석탑이 세워져 있다. 3층석탑 밑에는 하얀 피부의 아주 조그만 불상과 보살상들이 가득 자리해 있으며, 돌탑 앞에는 마애약사삼존상이 깃든 바위가 있다. 그리고 돌탑 옆에는 일붕 서경보가 세운 대방광불화엄경 평화통일기원대비가 묵직하게 자리해 있다. 2. 백천감로수 석조백천감로수라 불리는 석조에는 와룡산이 베푼 수분이 가득 담겨져 있다. 석조 주변에는 파란 바가지들이 엎어진 상태로 꾸벅꾸벅 졸고들 있다. 3. 용왕각대웅전 앞에 자리한 용왕각은 1칸짜리 맞배지붕 집으로 용왕의 공간이다. 용왕은 바다와 강, 약수물 등 천하의 모든 수분을 관장한다. 4. 용왕각 용왕탱차분하게 그려진 탱화 한복판에..

1. 신빈김씨묘역 홍살문화성시청 남쪽 산자락에는 세종의 후궁인 신빈김씨의 묘역이 있다. 남양 읍내와 화성시청에서 팔탄으로 넘어가는 시청로 동쪽 언덕에 자리해 있어 찾기는 무지 쉬운데, 묘역 앞에 붉은 피부의 홍살문이 있어 신빈김씨의 묘역을 알려준다. 신빈김씨는 청풍김씨 집안인 첨지중추원사 김원의 딸이다. 일찌감치 궁녀의 길을 걸어서 처음에 내자시에서 일했으며, 13살에 궁궐에 들어갔다. 그러다가 세종의 눈에 흔쾌히 들어 후궁이 되었으며, 1427년 계양군을 생산했다. 이후 세종과의 사이에서 무려 6남 2녀를 두면서 세종의 후궁 중 가장 많은 자녀를 생산했다. 하지만 후궁 소생의 한계와 소헌왕후(세종의 왕후) 심씨 소생의 왕자들이 많아서 그의 아들과 딸은 그 시절 흔한 조선 왕족의 일원으로 평범하게 살았다..

1. 남쪽에서 바라본 산령각과 만덕전 일대만덕전 지붕 너머로 백천사의 주요 명물인 금동 피부의 아미타입불이 높이 자리해 경내를 굽어본다. 2. 오방불전 바깥 복도오방불은 가운데와 동/서/남/북에 자리한 부처를 뜻한다. 오방불전은 그런 오방불을 중심으로 조그만 금동 피부의 원불을 한가득 머금고 있는데, 조그만 원불의 갯수는 아마도 이곳이 천하 최대일 것이다. 3. 오방불전 바깥 복도건물 안에는 조그만 금동원불이 가득 들어있고, 바깥에는 금동 피부의 범종과 두꺼비상 등이 가득 자리해 그야말로 장관을 이룬다. 4. 오방불전의 주인장, 오방불과 조그만 금동 원불의 금색 물결 5. 오방불전에서 바라본 백천사 납골탑과 백운마을(절 밑에 있는 마을), 백천저수지백천사는 경내 밑부분에 납골탑 공간을 크게 만들어 절..

1. 용마산 깔딱고개 북쪽 길 (서울둘레길4코스)깔딱고개는 이름 그대로 깔딱거릴 정도로 각박한 경사를 지닌 고개이다. 그렇다고 무지하게 험한 고개는 아니며, 용마산과 망우산 사이에 움푹 들어간 부분으로 면목동 사가정공원에서 올라갈 때 경사가 조금 있다. 하지만 그 거리는 짧아서 10~20분 정도면 충분히 고개 정상에 닿는다.이 고개는 망우산과 용마산 경계로 북쪽은 망우산과 망우역사문화공원, 남쪽은 570계단을 통해 용마산과 아차산, 서쪽은 사가정공원과 면목동, 그리고 동쪽은 시루봉으로 이어져 아차산 북부(용마산, 망우산)의 주요 요충지이다. 또한 서울둘레길4코스(화랑대역~깔딱고개, 7.7km)가 이 고개에서 서울둘레길5코스(깔딱고개~광나루역, 4.6km)로 간판을 바꾼다. 2. 깔딱고개 쉼터깔딱고개 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