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도봉산고양이의 여행공간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도봉산고양이의 여행공간

검색하기 폼
  • 전체글 보기 (1412) N
    • 여행, 역사정보 (3)
    • 추천 도서, 사이트 (1)
    • 서울 사진 답사기 (702) N
      • 서울 도심(북촌, 서촌, 인왕산, 중구) (163)
      • 부암동, 북악산, 백석동천 (67)
      • 성북구, 성북동 (26)
      • 북한산(은평,종로,성북,강북구) (51)
    • 본인 제작 여행답사기 모음집 (1)
    • 수도권 사진 답사기 (162)
      • 인천 (17)
      • 강화도(강화군) (36)
    • 강원도 사진 답사기 (72)
      • 강원도 영동(동해바다) (18)
    • 충청북도 사진 답사기 (53)
    • 충청남도 사진 답사기 (52)
    • 대전 사진 답사기 (14)
    • 세종시 사진 답사기 (6)
    • 전라북도 사진 답사기 (51)
    • 전라남도 사진 답사기 (55)
    • 광주 사진 답사기 (8)
    • 경상북도 사진 답사기 (49)
    • 대구 사진 답사기 (15)
    • 경상남도 사진 답사기 (49) N
    • 부산 사진 답사기 (32)
    • 울산 사진 답사기 (15)
    • 제주도 사진 답사기 (53)
    • 산동반도(산동성) 서진 답사기 (2)
    • 섬서성 사진 답사기 (2)
    • 맛집, 별미, 후식 (13)
    • 좋은글 (0)
      • 이쁜 그림,자연 (0)
      • 재밌는 것들 (0)
    • 노래, 음악 (0)
    • 신문, 뉴스 (0)
  • 방명록

괴산추천명소 (11)
화양계곡(화양구곡)의 제7곡 와룡암, 제8곡 학소대, 해발고도를 표시하는 수준점 (와룡암 바위글씨)

1. 화양계곡 와룡암 와룡암은 화양9곡의 제7곡으로 계곡가에 길게 누운 바위인데, 그 모습이 용이 꿈틀거리며 누워있는 것처럼 보여 와룡암이 란 이름을 지니게 되었다. 바위 피부에 '와룡암' 바위글씨가 숨바꼭질을 하고 있으니 이곳에 왔다면 한번 찾아보기 바란다. (한문만 알면 의외로 찾기는 쉬움) 2. 계곡가에 길게 누운 주름진 와룡암 3. 와룡암 한복판에 깃든 와룡암 바위글씨 4. 와룡암에서 바라본 화양계곡 상류 쪽 (학소대 방향) 5. 학소대 학소대는 화양구곡의 제8곡으로 청학이 집을 짓고 새끼를 길렀다고 전한다. 청학이 과연 이곳에 살았는지는 확인할 길이 없으나 계곡가에 우뚝 솟은 기암절벽에 노송이 우거져 있어 청학도 흔쾌히 찾을 정도로 빼어난 풍경을 자랑한다. (옛 사람들은 아름다운 경승지에 보통 ..

충청북도 사진 답사기 2020. 7. 15. 05:16
화양계곡에 깃든 고즈넉한 산사, 괴산 채운암 (채운암 대웅전, 채운암 목조여래좌상)

1. 도명산 채운암(채운사) 화양계곡(화양구곡)의 제6곡인 능운대 북쪽에 채운암(채운사)가 자리해 있다. 화양계곡의 유일한 오래된 절로 능운대 옆 에 절로 인도하는 길이 있어 그 길을 조금 오르면 채운암이 활짝 모습을 드러낸다. 채운암은 원래 화양9곡의 제5곡인 첨성대 안쪽에 있던 절로 1277년에 도일선사가 창건했다고 전한다. 1610년에 중창했다 고 하며, 1896년 동학군을 토벌하며 개난리를 피우던 왜군이 절을 불질러 대웅전만 겨우 살아 남았다. 이후 1948년 산사태 로 절이 파괴되자 요사채의 일부를 가져와 현 자리에 있던 환장사에 합치고 절 이름을 채운암으로 갈았다. 환장사는 1653년에 혜일선사가 창건한 것으로 송시열이 화양계곡에 말뚝을 박으며 팔자좋게 놀고 있을 때 사신편을 통해 수집한 명태..

충청북도 사진 답사기 2020. 7. 15. 02:30
화양계곡(화양구곡)의 제4곡 금사담, 제5곡 첨성대, 제6곡 능운대 (능운대 바위글씨)

1. 금사담 금사담은 화양계곡(화양9곡)의 제4곡으로 화양9곡 식구 중 가장 빼어난 곳으로 찬양을 받고 있다. 금사담이란 이름은 수정 처럼 맑고 깨끗한 물 속에 잠긴 모래가 마치 금가루 같다고 해서 붙여진 것으로 계곡에는 암반과 바위들이 즐비하며 물놀이 에 좋게 모래밭까지 갖추고 있어 천연 풀장을 이룬다. 계곡 건너 벼랑에는 암서재란 정자가 있는데 그곳은 송시열이 화양동에 은거할 때 지은 별장이다. 2. 금사담과 늘 한 덩어리를 이루고 있는 암서재 암서재는 노송이 울창한 층암벼랑 위에 닦여진 팔작지붕 정자이다. 송시열이 별장으로 지어 팔자좋게 머물던 곳으로 그는 여기서 '시냇가에 바위 벽이 열리어 / 그 사이에 집 1간을 지었네 / 고요히 앉아 성인의 교훈 받들어 / 한치라도 더위잡고 올라 보 려네' 시..

충청북도 사진 답사기 2020. 7. 14. 03:08
화양서원 만동묘, 화양계곡(화양9곡)의 제4곡인 금사담와 암서재

1. 만동묘 성공문에서 바라본 화양서원 경내 가파른 계단 밑으로 보이는 맞배지붕 문은 만동묘의 외삼문인 추양문이다. (왼쪽은 존사청과 풍천재, 오른쪽은 증반청) 2. 만동묘 내부 만동묘는 화양서원의 일원으로 서원에서 가장 하늘과 가까운 곳에 자리하고 있다. 송시열의 유언으로 1704년에 세운 명나 나 신종, 의종의 사당으로 황색 단 위에 그것들의 위패를 봉안했다. 보통 서원에서 가장 높은 곳에는 그 서원에서 중심적으 로 띄워주는 존재의 사당이 있기 마련인데, 여기는 엉뚱하게도 명 신종, 의종의 사당을 두어 망해버린 명에 대한 꼴사나운 꼴통 사대주의를 징그럽게 보였다. 3. 만동묘 앞 석주 지역 유생과 조선 조정이 얼마나 만동묘를 애지중지했는지 키가 큰 석주까지 닦아놓아 이곳의 분위기를 더욱 엄숙하게 돋 ..

충청북도 사진 답사기 2020. 7. 13. 03:31
괴산 화양계곡에 깃든 오랜 옥의 티, 화양서원 만동묘 (만동묘정비)

1. 화양계곡 만동묘 화양계곡(화양구곡) 제4곡인 금사담 주변에 만동묘와 화양서원 묘정비가 있다. 17세기 문인이자 성리학의 대표급 인물로 쓸데없이 큰 이름을 지닌 우암 송시열(1607~1689)이 화양계곡 경치에 퐁당퐁당 반해 이곳에 별서를 짓고 팔자좋게 머문 인연이 있는데, 그는 조정에 출사를 했다가 그만두고 이곳에 오기를 여러 번 반복했다고 전한다. 그는 왕세자 책봉 문제로 숙종에게 상소를 했다가 제주도로 귀양을 갔고, 심문을 받고자 상경하는 중에 정읍에서 숙종이 내린 사약을 먹고 82세의 나이로 강제 사망했다. 그는 골로 가기 전, 자신의 열성제자였던 수암 권상하에게 이미 망해버린 명나라 신종과 의종의 사당을 지을 것을 요구했다. 하여 권상하와 그 떨거지들은 아름다운 화양계곡에 명에 대한 꼴통 사..

충청북도 사진 답사기 2020. 7. 12. 03:01
화양계곡(화양9곡)의 제2곡인 운영담과 제3곡인 읍궁암, 화양서원 묘정비

1. 운영담 운영담은 화양9곡의 제2곡으로 계곡과 소(못), 직각으로 솟은 벼랑이 어우러진 경승지이다. 운영담이란 이름은 소(못)에 뜬구름의 그림자가 맑게 비쳐서 유래된 것으로 한여름에는 피서의 성지로 바쁘게 살고 있으며, 벼랑 밑도리에는 '운영담' 바위글씨가 새겨져 있으니 잘 찾아보기 바란다. 2. 운영담 동쪽 벼랑 운영담은 피서의 성지로 물놀이에 좋은 곳이나 벼랑 쪽은 수심이 깊으니 금줄 안쪽은 가급적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3. 화양계곡에 깃든 우암 송시열 유적 안내도 (화양서원, 만동묘) 4. 읍궁암 비석 읍궁암은 화양9곡의 제3곡으로 계곡에 있는 너른 바위이다. 화양계곡에서 팔자좋게 머물던 송시열이 효종의 승하 소식을 듣고 매일 새벽마다 이곳 바위에서 서울 쪽을 향해 弓처럼 엎드려 통곡했던 곳이..

충청북도 사진 답사기 2020. 7. 10. 00:31
화양계곡(화양9곡)의 제2곡인 운영담

1. 녹음이 짙게 우거진 화양계곡 숲길 (화양계곡 주차장에서 운영담 방향) 2. 유유히 흘러가는 화양계곡(화양동계곡) 3. 화양계곡 옆 숲길 (포장길 탐방로와 화양계곡 사이 숲길) 4. 화양계곡은 이렇게 만들어졌다고?? 5. 운영담 (화양2교에서 바라본 모습) 콸콸 쏟아지는 둑 너머로 물이 많이 모인 곳이 있는데, 저곳이 화양계곡(화양9곡)의 제2곡인 운영담이다. 전날까지 폭우가 내려 운영담과 화양계곡에 물이 한가득 모여있는데, 운영담 서쪽에 둑을 닦아 물을 더 크게 모아두었다. 지나가던 구름이 이곳 풍경에 반해 잠시 머무르니 그 뜬구름의 그림자가 수면에 비치므로 운영담이란 이름을 지니게 되었 다. 즉 구름, 해, 달도 길을 멈추어 거울로 삼을 정도로 아름다운 절경이란 뜻이다. (화양계곡 주차장에서 도보..

충청북도 사진 답사기 2020. 7. 9. 02:47
괴산 화양계곡(화양9곡) 들어서기 (제1곡 경천벽, 성황당)

1. 화양계곡(화양동계곡) 성황당 (팔각정휴게소 옆) 이곳 주민들이 당제를 지내던 곳으로 늙은 나무(느티나무) 옆에 높이 돌탑을 쌓아 마을의 성역으로 삼았다. (화양동계곡 주차장 남쪽에 있음) 2. 푸른 덩굴 옷을 걸친 두툼한 모습의 성황당 돌탑 3. 성황당의 뒷모습 4. 화양계곡(화양구곡) 안내도 속리산국립공원 북쪽 끝에 자리한 화양계곡은 괴산 지역 및 충북 제일의 경승지로 택리지를 작성한 이중환(1690~?)이 금 강산 다음 급이자 삼남지역(충청, 전라, 경상) 제일의 명소로 격하게 찬양을 했던 곳이다. 우암 송시열이 이곳에 퐁당퐁당 반해 여기에 별장을 짓고 계곡 이름을 화양동이라 했는데, 여기서 '화양'은 그가 그렇게나 그리워하고 숭상했던 명나라 중원대륙을 뜻한다. 성리학에 쓸데없이 능했던 그는 성..

충청북도 사진 답사기 2020. 7. 8. 01:36
피서의 성지를 찾아서 ~~~ 첩첩한 산주름 속에 묻혀있는 아름다운 옛길, 괴산 산막이옛길 (괴산호, 한반도지형, 앉은뱅이약수)

' 괴산 산막이옛길 봄나들이 ' ▲ 등잔봉에서 바라본 신비로운 운해 ▲ 괴산호 ▲ 산막이옛길 봄이 한참 무르익어가던 4월의 한복판에 괴산(槐山) 지역 제일의 명소로 추앙을 받고 있 는 산막이옛길을 찾았다. 가는 날이 장날이라고 했던가? 산막이로 가는 그날은 공교롭게도 빗방울이 떨어졌다. 전 날까지는 마음이 싹 정화될 정도로 화창한 날씨였는데, 불과 하루만에 날씨가 안면을 바 꾼 것이다. 하여 비의 대한 불안감을 약간 품은 채, 아침 일찍 집을 나서 집결지인 신도 림역(1,2호선)으로 이동했다. 물론 우산은 챙겼다. 신도림역에서 일행들을 만나 관광버스 2대에 나눠 타고 동남쪽으로 길을 향했다. 구름이 당장이라도 비를 투하할 기세로 나를 쫓아왔는데, 안성(安城)을 지날 무렵, 비가 쏟아지 기 시작했다. 버스..

충청북도 사진 답사기 2019. 7. 22. 14:42
충청도의 내륙, 괴산 역사기행 ~~~

' 겨울맞이 괴산(槐山) 나들이 ' ▲ 괴산 원풍리 마애2불병좌상 겨울의 제국(帝國)이 가을을 몰아내고 하늘 아래 세상을 접수한 11월 하순 주말에 충북 괴산 을 찾았다. 이번에는 멀리 남쪽(창원)에서 온 일행분들과 같이 갔는데, 그들이 괴산(槐山)으 로 답사를 온다고 하여 간만에 그들도 볼 겸, 미답지를 하나 지워볼 겸해서 답사에 동참했다. 사는 곳이 서로 반대라 괴산의 첫 답사지인 원풍리 마애불에서 그들과 합류하기로 했다. 괴산은 창원보다는 서울이 더 가깝다. 아무리 가깝다고 해도 나 역시 아침 일찍 길을 떠나야 된다. 그래서 찬란한 여명(黎明)이 비추기 전인 5시에 대문을 나섰다. 원풍리는 교통편이 매 우 얄미운 수준이기 때문에 차 시간을 딱 맞춰야 된다. 다행히 동서울터미널에서 6시 20분에 충주..

충청북도 사진 답사기 2013. 3. 18. 16:15
첩첩한 산주름에 묻힌 심산유곡의 절집 ~ 괴산 각연사

' 겨울맞이 산사 나들이 ~ 괴산 각연사(覺淵寺) '♠  각연사를 들어서며▲  각연사 일주문(一柱門)겨울의 제국이 가을을 쫓아내고 천하를 접수하던 11월 하순 주말에 멀리 남쪽 바닷가에서 온 손님들과 첩첩한 산주름에 묻힌 괴산 각연사를 찾았다. 우선 연풍(延豊) 북쪽의 원풍리마애석불상(院豊里磨崖石佛像)을 둘러보고 연풍과 괴산(槐山) 중간에 자리한 태성리로 이동했다. 태성리에서 각연사까지는 4.7km 거리인데, 간신히 수레 1대가 다닐 정도로 길이 좁아 우리를 태운 관광버스는 그야말로 온갖 진땀을 다 빼며 조심스럽게 바퀴를 움직여야 했다. 길 옆에는 각연사계곡이 졸졸졸 흐르고 있는데 괴산 지역의 식수원이라 계곡에서의 물놀이가 통제되어 있어 청정함을 자랑한다. 비록 거리는 길지만 계곡이 여기저기 절경을 빚어..

충청북도 사진 답사기 2012. 1. 31. 22:39
이전 1 다음
이전 다음
최근에 올라온 글
글 보관함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TAG
  • 북악산
  • 수도권추천명소
  • 여름추천명소
  • 추천피서지
  • 경북추천명소
  • 강원도추천명소
  • 서울도심추천명소
  • 추천공원
  • 봄추천명소
  • 추천조망
  • 가을추천명소
  • 추천산
  • 제주도추천명소
  • 추천계곡
  • 추천산사
  • 서울추천명소
  • 전남추천명소
  • 추천나무
  • 추천섬
  • 추천한옥
  • 겨울추천명소
  • 인왕산
  • 추천바위
  • 추천숲길
  • 충북추천명소
  • 대웅전
  • 충남추천명소
  • 경남추천명소
  • 추천사찰
  • 추천바다
more
«   2025/05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

개인정보

  • 티스토리 홈
  • 포럼
  • 로그인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